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부동산Q&A

제1,2 금융권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25.09.15

주택담보대출을 받으려고 하는데, 제2 금융권이 금리가 가장 낮습니다.

 

금리가 가장 낮은 제2 금융권, 신협을 이용해도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제2 금융권이 이율이 더 낮은데도 제1 금융권을 이용해야 한다면 이유가 궁금합니다.  

 

신용이나 대출한도에는 전혀 이상없이 제1금융권에서도 받을 수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드림텔러
25. 09. 15. 12:32

BEST | 가치행복님 안녕하세요~ 제가 아는 것은 1금융권은 금리가 낮고 DSR이 40%까지 적용이 되지만 2금융권은 금리가 1금융권에 비해 높고 DSR이 50%까지 적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꼭 1금융권에서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금리, 중도상환수수료, DSR등 여러가지 비교해보시고 나에게 알맞는 곳으로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미요미우
25. 09. 15. 12:43

가치행복님 안녕하세요 :) 1금융권과 2금융권은 금융기관의 성격과 감독 체계에 따라 구분됩니다. 1금융권은 은행업을 하는 기관이고, 2금융권은 은행 이외에 예금, 대출을 하는 기관인데요 2금융권이 위험 보전을 위해 대출 금리가 높은 반면 대출 조건은 좀 더 유연한 편입니다. 2금융권이 1금융권보다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은행의 재정 상태가 용이하다면 금리, 대출 조건을 따져보고 더 유리한 은행에서 대출 받으셔도 괜찮습니다. 모쪼록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후바이
25. 09. 15. 12:43

행복님 안녕하세요~! 이율에 대한 부분은, 은행별로 다르긴하나 텔러님께서 말씀해주셨듯 통상 1금융권의 금리가 2금융보다는 더 낮은 편입니다. 텔러님께서 말씀해주신 부분 외에 2금융이 가진 장점? 특징?이라면, 1금융권 대비 금융당국의 규제나 입김이 조금은 더 느슨하거나 느리다는 점입니다. 이를테면 조건부 전세대출 및 조건부 담보대출 등의 경우 1금융권에서는 빡빡하게 적용한다면, 2금융권에서는 의외로 느슨하게 대출 내규를 적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장단점들을 함께 체크하셔서 1금융이라서 2금융이라서 우선한다기보다 본인 상황에 가장 알맞은 은행과 상품을 정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그리고 통상 담보 대출이나 신용 대출 같이 잔금을 치루는 것 같은 일시적인 변통 자금의 융통할 경우에는 장기가 아닌 단기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낮은 이율만을 참작하기보다는 중도상환 수수료가 없거나 저렴한 또 대출 내규가 좀 더 완만한지 여부를 같이 고려하시는게 더 유리하기도 합니다.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