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추천도서후기

[오로라로라] 나를 정말 변화 시키고 싶다면 본깨적!

25.09.22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본깨적
  2. 저자 및 출판사: 박상배, 예담
  3. 읽은 날짜: 2025.09.18-21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 독서경영의 시초: 이랜드의 본깨적( 직원들이 본 것, 깨달은 것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성과를 이룸)

 

본깨적

  • 보는것 - 저자의 관점에서 보기. 책을 읽고 평가하려면 저자가 말하려는 이 책의 핵심을 파악하고 난 후. 설령 동의하지 않더라도 저자의 관점에서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그런 노력들이 사고를 확장하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
  • 깨닫는 것 - ‘나’의 관점에서. 깨달음은 변화의 시작이다 생각이 바뀌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면 습관이 바뀌고, 습관이 바뀌면 인생이 바뀐다.
  • 적용 - 깨달은 것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것, 구체적이어야 실현가능성 높아짐

     

필요한 부분만 골라 읽어도 충분

  •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어야 한다’는 오해와 편견을 버리고 흥미를 끄는 부분만 읽어도 좋고, 재미없으면 포기하고 다른 책 읽어도 괜찮다.
  • 개관독서법(대충보고 필요한 부분만 골라읽기)/ 분석 독서법(꼭꼭 씹어서 읽는 방법)/ 종합독서법(여러 권의 책을 주제별로 종합적으로 읽는 방법=연역법적 독서법)
  • 처음부터 끝까지 책을 읽는 힘을 기르지 않고 개관 독서만 하면 책 읽기가 늘지 않는다. → 정독 독서의 필요성

     

1124재독법

  • 1일, 1주, 2주, 4주 재독하기

     

제대로 읽기

  • 제대로 읽으면 속도는 저절로 빨라진다. - 배경지식이 많을 수록 속도가 빨라짐.
  • 준비20, 읽기 70, 마무리 10

     

실행을 방해하는 것

  • 아는것 과 실행은 다르다: 인식과 생각의 변화는 행동을 부르기 마련, 인식의 변화가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 역할을 하는셈. → 그래서 아는 것과 실행을 동일시 하게 됨.
  • 너무 많이 아는 것: 정보가 너무 많으면 생각을 정리하는 것도 어렵고, 실행하기 어렵다. 정보가 많아 과부하가 걸리면 생각을 방해하고 더 나아가 행동을 방해하기 때문
  • 부정적사고방식: ‘어차피 변하지 않는데 해봤자 무엇하나’,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않으니 당연히 삶은 변하지 않고 “역시 내생각이 맞았어”라며 자신의 부정적 사고를 더욱 강화함.

     

병렬독서

  • 수평적 병렬독서: 비슷한 주제를 다룬 책들을 동시에 읽으면 주제를 심도 깊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 사고를 확대하고 유연하게 만듬. 창의력, 상상력 키우는데 도움이 됨.
  • 수직적 병렬독서: 크게 비슷한 주제를 다룬 책들을 여러권 함께 읽기. 깊은 고민과 해답이 필요할 때

     

본깨적 준비단계(Before Reading)

  • 책과 나와의 연관성 점검 - 책의 흥미성/ 직업 연관성/ 생활 연관성 → 앞,뒤표지 점검>목차,에필로그>
  • 성장성 점검 - 책의 고전성(오래도록 두고두고 읽을만한 책)/작가의 전문성/ 적용 가능성
  • 예상 핵심키워드 3개
  • 이 책에서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 짧게라도, 책을 읽는 목적 정리

     

귀접기, 손으로 책읽기

  • 귀접기: 준비를 할 때 후루룩 넘기다가 관심이 가는 페이지가 나오면 책 상단 끝 귓퉁이 귀접기 → 읽다가 귀퉁이 접힌 페이지가 나오면 속도를 줄이고, 읽다가 중요한 페이지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페이지를 풀면 된다. (핵심을 담은 차들이 )
  • 밑줄과 박스: 책 내용을 얼마만큼 이해했는지 보여주는 지표. 최소한 어떤 내용이 중요한지를 구분할 수 있어야 밑줄을 그고 박스를 칠수 있다.

     

책 속 본깨적

  • 본 것은 책상단에(키워드로)/깨닫고 적용할 것은 하단에(깨, 적, 아)
  • 책을 이해하는 능력 향상, 재독 할 때 큰 도움!

     

마무리 5분

  • 인덱스 붙이고 키워드 적기(본-파란색/ 깨-노란색/ 적- 빨간색)
  • After reading - 나에게 유용한 책인지 평가하기/ 얻은 것은 무엇인지/ 책속의 책(자연스럽게 관심 분야 확대)

     

본깨적 노트 작성

  • 중요한 내용 적기, 책 읽고 깨달은 것, 적용할 것도 정리
  • 중요한 대목 베껴쓰기 - 베껴쓰는 것만으로도 이해력, 글쓰기 실력 향상, 명언은 한곳에 정리(책제목과 페이지 같이적기)
  • 도형, 색깔을 이용해 형상화시켜 핵심요약 정리하기 - 한두페이지로
  • 깨.적은 사유를 바탕으로 적어야 한다. 본 것도 생각하지 않으면 잘 적지 못하는데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을 적을 때는 더욱더 깊이 있는 사유가 필요하다. (사고 확장의 한계, 삶을 변화시키는 데에도 한계가 있음 → 이 한계점을 넘기 위함.)
  • 작은 것이라도 변화 되었다면 훌륭한 적용!

     

함께하기(독서모임)

  • 남이 뽑은 키워드와 내가 뽑은 키워드 비교하기 → 남들의 키워드와 비슷하다면 핵심을 잘 파악한 것!
  • 의견 공유를 통한 생각의 확장
  • 함께라야 오래간다. 독서의 습관화
  • 누군가 긍정적으로 변하면 전염된다. 분위기도 달라진다.

     

333본깨적

  • 보기 위한 세가지 SKI - Subject 주제/ Keyword키워드/ Impressive 인상적인 문장(마음에 와닿는 문장 말고 저자의 핵심 내용이 담긴 문장)
  • 깨달음을 위한 세가지 MRK - Motivation 동기(행동을 유발하거나 혹은 행동을 부르지 않더라도 마음이 움직이는 것) / Role-model 역할모델(책속의 인물을 자기와 동일시하여 그속에서 문제해결을 하다보면 스스로 해결책을 찾게 되면서 깊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Knowledge 지식(아는 것을 넘어 명확하게 인식하고 이해할 때, 내 입장에서 분석. 통합한 것)
  • 적용을 더 잘하기 위한 세가지 KIA - Kaizen 개선(작은변화부터)/ Idea 아이디어(휘발성이기 때문에 꼭 적어놓기)/ Action plan(개선과 아이디어를 포괄하는 개념)

     

One book, One Message, One action

  • 한가지라도 확실하게 실천하는 것이 중요!
  • One action의 지속성이 중요 - 21일 지속하기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 문제는 인식과 생각의 변화가 있어야 행동도 변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인식이 변했다고 반드시 행동을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도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해 행동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다보면 어느순간 마치 실행한 것 같은 착각에 빠진다. 아는 것과 실행은 다르다. 이 점을 확실하게 인식해야 책을 읽고도 변화하지 않는 함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
  • 인상적인 문장도 저자의 핵심을 파악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인상적인 문장은 마음에 와닿는 좋은 문장이 아니다. 저자가 이야기하려는 핵심 내용을 담은 문장이라 이해하는 것이 정확하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 독서후기 본깨적노트 꼭 쓰기
  • 독서후기 쓰고 괜찮다 싶은 책은 1124 재독하기(시간없음 후기라도)
  • 마무리 시 삼색 인덱스 붙이기(본-파란색/ 깨-노란색/ 적- 빨간색)
  • 중요한 대목 베껴 쓰기→ 명언집 만들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166pg 본 것을 적는 데도 기본적인 사유가 필요하다. 중요한 문장을 그대로 베껴 쓴다고 해도 아무런 생각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아니다. 최소한 왜 그 문장이 중요한 지를 생각해야 어떤 문장을 베껴 쓸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순히 중요한 문장을 옮겨 적는 수준을 넘어 본 것의 핵심 내용을 요약 정리하려면 생각을 많이 해야한다. 이처럼 본 것도 생각하지 않으면 잘 적지 못하는데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을 적을 때는 더욱더 깊이 있는 사유가 필요하다. 책을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깨닫고 적용할 것이 생각나는 경우도 많지만 그것만으로는 사고를 확장하기도 어렵고, 삶을 변화시키는 데도 한계가 있다.


댓글


오로라로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