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공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사이의 마인드 차이는 무엇일까? (목차, 서문을 읽으며 책에서 내가 배우고자 하는 것을 여기에 작성해주세요.)
[ ] 6-20점 무독 ‘지금 당장 급하지 않은 책’
[ ] 21-24점 발췌독 ‘부분적으로 필요한 것만 읽는 책’
[x] 25-27점 열독 ‘꼭 필요한 책(직업과 밀접)
[ ] 28-30점 심독 ‘패러다임을 바꿔줄 책’
👀보다
💡 관심이 가는 내용,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가장 중요한 단 하나의 내용은 빨간색
p60. 자질이 고정되어 있다고 믿는 사람들은 성공해야 한다는 압박에 시달리고, 실제로 성공하게 되면 단순한 자존심 이상의 기분에 휩싸이게 됩니다. 그들이 그렇게 우월감을 느끼게 되는 이유는, 그들에게 성공이란 ‘자신의 자질이 남들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인 것입니다. 그러나 고정 마인드셋이 내세우는 자존심이 이런 것이라면, 아주 단순한 질문 하나가 아프게 꽂힐 수밖에 없습니다. ‘당신이 성공해야만 뭔가 대단한 사람인 것이라면, 성공하지 못했을 때 당신은 대체 어떤 존재인 것인가?’ 👉성공해야지만 소중한 존재라는 생각이 든다면 성공하지 못한 나는 무엇일까에 대한 생각, 실패했다는 좌절감으로 인해 삶의 의욕을 잃게 되는 이유가 이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투자를 하다보면 한 번쯤 실패할 수 있지만 그 순간 좌절하지 않고, 왜 실패했을까를 복기해보면서 성장하는 투자자가 되자.
p66. “남을 탓하기 전까지는 누구도 패배자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의 말은 곧,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기만 한다면 누구든지 아직 그 실수로부터 배울 수 있다는 뜻일 겁니다. 👉실수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그 실수로부터 배우는 사람이 진짜 멋진, 성장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닐까? 항상 OO 때문이야. 라는 말을 달고 사는 사람은 결국 계속 그 자리에 머물게 될 것이다. 아이들에게도 항상 남 탓하지 말라고 이야기하는데 지금처럼 지도하면서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p123. 성장 마인드셋은 사람들이 자신의 마음을 충분히 이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해줍니다. 심지어 부정적인 꼬리표가 붙어 있는 사람들이라고 해도 말이죠. 이런 사람들의 머릿속에는 어떤 제한된 믿음이나 취약한 소속감,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규정할 수 있다는 믿음 따위는 들어설 공간이 없는 겁니다. 👉나에 대한 믿음이 성장 마인드셋의 가장 중요한 점이 아닐까? 자존심이 센 사람과 자존감이 높은 사람 중 성장 마인드셋에 가까운 사람은 자존감이 높은 사람이다. 나는 어떤 사람인지 생각해보면 어릴 때는 자존심이 센 편이었는데 어떤 분야에서든 나보다 더 잘하는 사람들도 있고, 내 생각이 항상 맞는 게 아니라는 것을 알고 이를 인정해나가는 과정 속에서 후자로 바뀐 것 같다. 그만큼 훈육과 교육이 중요함을 느끼게 되었다.
p199. 성장 마인드셋을 배운 사람들은 자신에게 보다 유리한 결과를 얻기 위해 협상이 난관에 부딪히거나 교착상태에 빠지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매달렸던 겁니다. 👉매물에 대해 깊이 파고드는 것, 매도자가 원하는 것, 내가 줄 수 있는 것을 끈질기게 파고들면서 협상을 이루는 것이 투자자로서 해야 할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역지사지의 마음으로 협상을 이끌어내자. 사람은 본인이 손해를 본다는 생각을 하면 움직이지 않는다.
p312. 당신이 해야 할 일, 배우고 싶은 것, 또는 해결해야 할 문제를 떠올려 보세요. 그리고 구체적인 계획을 짜는 겁니다. 언제 그 계획을 실행할 건지, 어디서 할 건지, 어떻게 할 건지,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그려보는 것이죠. 시간, 장소, 방법까지 마음속으로 그릴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인 이런 계획들은 실행으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아주 높고, 그에 따라서 성공할 확률도 높아집니다. 👉각 시기별로 구체적인 계획을 짜고, 매월 복기하기, 장기간의 그림 또한 구체적으로 그려보기
👀깨닫다
💡 (깨) 책을 통해 깨닫게 된 점. *가장 중요한 단 하나의 내용은 빨간색
p203. 성장 마인드셋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사람들의 성공을 독려할 수 있다는 겁니다. 다음과 같이 실행함으로써 그런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능력은 학습 가능하다는 점을 공표하라.
기존에 완성된 천재성이나 재능이 아닌 배움과 끈기를 기업의 가치로 삼아라.
학습과 미래의 성공을 장려하는 방식으로 피드백을 전하라.
관리자를 학습의 원천으로 삼아라.
👉환경의 중요성! 내가 변했듯이 사람은 충분히 변할 수 있다. 배움과 끈기를 자연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게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피드백 또한 결과에 대한 부분이 아닌 성장에 대한 부분으로 구체적으로 해 주자.
p223. 노력하지 않는 관계는 훌륭한 관계로 발전할 수 없고, 불행한 결말만이 있을 뿐입니다. 정확하게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는 일, 또 서로의 희망사항과 신념이 충돌하는 부분을 드러내고 해결하는 일에는 노력이 필요하지요. ‘그들은 영원히 행복하게 살았답니다’가 불가능하다는 뜻은 아닙니다. 다만 ‘그들은 영원히 행복할 수 있도록 노력했답니다’가 보다 정답에 가깝다는 뜻이지요. 👉세상에 나랑 똑같은 사람, 모든 부분에서 나와 의견이 같은 사람은 존재할 수 없다. 서로 맞지 않는다고 그냥 끝!이 아니라 항상 노력하는 관계, 서로 노력하는 관계가 가장 소중한 관계 아닐까? 유리공에게도 항상 서운하거나 속상한 게 있는지 묻고 함께 노력해가는 관계가 되자.
👀적용하다
💡 (적) 나의 변화를 위해 바로 적용해볼 것
p189. ‘결국 내가 진정 찾는 인재는 일을 완성시키겠다는 열정과 열망이 가득한 사람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력서로는 그 사람이 가진 갈망을 잘 알 수 없었죠.’ 👉임장보고서를 쓰다보면 결론 파트까지 일단은 점을 찍고 가라는 말씀을 해 주시는데 이 부분과 일맥상통한 것 같다. 완벽은 어렵더라도 일단 시작한 앞마당은 완성을 하고 넘어가자!
✅ After Reading
[ ] 6-20점 무독 ‘지금 당장 급하지 않은 책’
[ ] 21-24점 발췌독 ‘부분적으로 필요한 것만 읽는 책’
[ ] 25-27점 열독 ‘꼭 필요한 책(직업과 밀접)
[x] 28-30점 심독 ‘패러다임을 바꿔줄 책’
#️⃣ 핵심 키워드 3개
#마인드 #성장 #관계
💡 이 책에서 얻은 것은 무엇인가?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 중요한 성장 중심 마인드셋
직업적으로 가져야 할 마인드셋셋
💡 책 속의 책, 또는 연관 지어 읽어볼 책이나 내용은 무엇인가?
아주 작은 반복의 힘
One action
💡 이 책을 읽고, 내 삶을 바꾸기 위해 실천하고 싶은 단 한가지 행동. ’적용할 점(벤치마킹)’들 중에서도 가장 실천으로 옮기고 싶은 단 한가지를 적어봅니다.
p247. 당신의 파트너가 다른 의견을 얘기할 수 있게 하고, 주의 깊게 들어주며, 배려와 인내를 가지고 함께 논의하세요. 아마 당신은 이로써 더 가까워진 둘의 사이를 발견하고 놀라게 될 겁니다. 👉’너는 어떻게 생각해?’라고 묻는 것, 어렵지 않은 일이니만큼 항상 묻고 의견을 조율해나가자.
📒독서 메모
💡 인상 깊은 내용들을 발췌하며 적어봅니다. 발췌한 문장에 대해서는 아래의 예시처럼 자신의 생각 등을 짧게 적어보는 걸 권해드립니다.
👉 p343. 오늘 내가 (또는 내 주변 사람이) 배우고 성장할 기회는 무엇인가?
👉 p345. 지금 당신이 변화해야 할지 결정할 수 있는 사람은 당신뿐입니다. 변화가 당신에게 필요할 수도, 아닐 수도 있지요. 하지만 어느 쪽이든 부디 성장 마인드셋만은 마음속에 담아 두세요. 그럼 어떤 장애에 부딪힐 때마다 그 성장 마인드셋에 의지할 수 있을 겁니다. 성장 마인드셋은 미래를 향한 길을 당신에게 보여주며 항상 당신과 함께할 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