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추천도서후기

[부마니] 원씽 독서후기(게리켈러/제이 파파산)

25.09.24
1. 책의 개요

책 제목

원씽

저자 및 출판사

게리 켈러/제이 파파산

읽은 날짜

2025.09.13. ~ 09.18.

총점 (10점 만점)

10점/10점
2. 책에서 본 것

독자들에게

Key words:  #성공 #도미노 효과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24그러니 앞으로 성공을 생각할 때는 항상 달을 목표로 삼아라. 남다른 성과를 얻기 위해선 삶에서 도미노 효과를 만들어야 내야 한다.
2. 책에서 본 것

1장 거짓말

Key words:  #파레토의 법칙 #80/20 #단순화

3. 책에서 깨달은 것

[깨달은 점]

- 내가 이대까지 성장이 더딘건 왜 그런가 생각이 들었는데 지극히 단순화하려는 작업이 덜 되되 그런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앞으로는 계속 더 단순화할 것이 무엇인지 더 뾰족하게 할것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계속 성장하려고 노력하고 디벨롭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 같다. 그것은 무엇보다 투자로 연결할 수 있는 임보를 투자로 연결하려는 작성이지 않을까 생각이 들고 더 뾰족하게 해보려고 하자.

4. 책에서 적용할 점

[적용할 점] 

.- 파레토의 법칙처럼 80/20으로 계속 단순화하면서 뾰족하게 하는 것을 찾자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50

20퍼센트의 사람들이 전국 토지의 80퍼센트를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중요한 소수와 사소한 다수’

‘불평등한 분배에 대한 페레토의 법칙’

P. 51당신이 원하는 것 중 대부분은 당신이 실천하는 몇 개의 일에서 비롯될 것이다.
P. 54성공에 있어 80/20법칙은 시작이지 끝이 아니다. 계속해라. 20퍼센트만 남기고,  거기에서 다시 20퍼센트만 남기는 식으로 가장 중요한 단 하나에 이르기까지 계속해라! 반드시 필요한 단 하나를 찾아낼 때가지 멈추지 마라. 없어서는 안 될 단 하나. 바로 그 하나를 찾아라.
P. 56가장 중요한 일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 되어야 한다.
P. 57모든 일이 똑같이 중요할 순 없고, 성공은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일에 숨겨져 있다.
P. 61이와 같은 잠재적인 비극들은 모두 사람이 한 번에 너무 많은 일을 하려고 애쓰다가 반드시 해야 할 일,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을 잊어버리는 데서 발생한다.
P. 65“작업 전환에서 비롯되는 추가 시간이라는 대가는 해당 작업이 얼마나 복잡한가,  혹은 단순한가에 달려 있다. 단순한 작업의 경우 시간이 25퍼센트 혹은 그 이하로 늘어날 수도 있고, 매우 복잡한 작업의 경우에는 시간이 100퍼센트 혹은 그 이상 늘어날 수도 있다.” 작업 전황에는 대가가 따른다.
P. 70심지어 가벼운 통화를 하는 것도 전체 집중력의 40퍼센트를 잡아먹는데 놀랍게도 이것은 음주운전을 하는 것과 같은 수준의 영향이라고 한다.
P. 75생각보다 훨씬 적은 자기통제력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단 하나다. 성공은 옳은 일을 해야 얻는 것이지, 모든 일을 다 제대로 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P. 77지나치게 단순화하려는건 아니지만 펠프스가 자신의 모든 에너지를 하나에, 그리고 다시 그것을 하나의 습관, 즉 매일 훈련하는 것에 쏟아 부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단 인생이 더 두렷하게 보이고 덜 복잡해진다. 무엇을 자해야 하는지,  무엇을 할 필요가 없는지 알게 되기 때문이다.
P. 78힘든 일이 습관이 되면 습관은 그 힘든 일을 쉽게 만든다.
P. 79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데는 평균 66일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P. 84

의지력은 늘 꺼내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었다.

의지력이 늘 발휘될 수 있다는 말은 거짓말이다.

P. 87의지력의 수명은 정해져 있다.
P. 88사람은 누구나 한정된 자원을 잘 관리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의지력이 그러한 자원 중 하나라는 사실은 잘 모른다.
P. 95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한다. 다시 말해 중요한 일은 하루 중 가장 의지력이 충만한 시간에 하라는 뜻이다./
P. 96하루라는 시간을 투자해 최고의 성과를 얻고 싶다면 의지력이 떨어지기 전에, 당신의 가장 중요한 일, 그 한 가지 일을 일직 해치워라.
P. 107시간을 가지고 도박하는 것은 결코 되찾을 수 없는 돈을 거는 것과 같다. 설사 이길 수 있다고 자신한다 하더라도 그동안 잃어버린 것에 대해 후회하지 않을 자신이 있는가?
P. 109직업적인 성공에서 중요한 것은 업무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입하느냐가 아니다. 핵심은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되느냐다. 탁월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 선택한 다음 그것을 성취하는 데 필요한 모든 시간을 드려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다른 업무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관련해 극단적으로 균형을 깨뜨려야 한다. 악화되지 않도록 가끔씩 중심을 잡아 주면 된다.
P. 125크게 생각하고 크게 살아야만 자신의 삶과 일에서 진짜 잠재력을 경험할 수 있다.
P. 126어찌 해야 할지 모를 대는 어딜 가든 가능성을 두 배로 높여라. 당신의 목표가 10이라면, “20까지는 어떻게 도달할 수 있을까?”라고 물어라.

2장 진실

Key words:  #질문 #해답

3. 책에서 깨달은 것

[깨달은 점] 

- 내가 매번 질문이 없었는데 투자에 대해 너무 관심이 없었던 것도 있고 질문의 중요성을 아직 깨닫지 못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니 튜터님께 공식적인 질문을 해도 개인적인 질문을 잘 하지 않았던 것 같은데 언제나 의문이 생기거나 모르겠으면 질문을 던지는 습관을 가지자 그게 내가 성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일인 것 같다.

4. 책에서 적용할 점

[적용할 점] 

- 애매하거나 모르면 일단 질문을 정리해서 튜터님이나 동료들에게 질문하자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133내가 배운 성공의 핵심은 이렇다. 삶의 매순간마다 가장 적합하게 행동을 하는 것이다. “여기가 지금 내가 있어야 할 곳이고, 나는 내가 이 순간에 해야 할 일을 하고 있다.”
P. 136답의 질은 질문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P. 137질문을 하면 우리의 비판적 사고가 가동된다. 연구에 따르면 질문을 할 때는 하지 않을 때보다 학습 효과와 성과가 최대 150퍼센트까지 향상된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때로는 질문이 답변보다 더 중요하다.”라고 한 작가 낸시 윌러드의 말은 옳다고 볼 수 있다.
P. 164새로운 해답은 언제나 새로운 행동을 요구한다.

3장 위대한 결과

Key words:  #아니오 #예

3. 책에서 깨달은 것

[깨달은 점] 

- 항상 원씽을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아직 멀었다. 무언가를 하면 쉴세 없이 하나가 끝날때까지 해야 하는 것인데 나는 할때마다 쉬는 것 같아서 다음에는 내 하나의 원씽에 맏게 행동하려고 노력해야겠다. 그 하나를 끝짱내자는 마음으로 하자

4. 책에서 적용할 점

[적용할 점] 

- 하나를 하나에 목표만큼 끝내지 않은 이상 무엇도 하지말자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175삶이란 일련의 연속된 선택이며 우리의 목적의식이 우선순위를 정하고, 우선순위가 행동의 생산성을 결정한다는 것을 일깨워 준다.
P. 182행복은 더 많은 재산보다는 더 큰 목적의식을 가졌을 때 나타난다. 그래서 행복은 만족으로 가는 길에 나타난다고 하는 것이다.
P. 185

1. 행복은 만족으로 가는 길에 나타난다.

2. 자신만의 ‘큰 이유’를 발견하라.

3. 정답을 고르기보다 방향을 정해라.

P. 186

계획을 세우는 건 미래를 현재로 가져오는 일이다.

지금 당장 미래를 위해 무슨 일이라도 할 수 있도록.

-앨런 라칸(미국의 시간관리 전문가)-

P. 188목표와 계획을 세우는 이유는 단 하나다. 삶에서 중요한 순간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다.
P. 1905년의 목표를 바탕으로, ‘최종목표-5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올해 내가 할 수 있는 단 하나는 무엇인가?
P. 192지금 당장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알 때까지 생각하는 법을 훈련하고, 하나의 목표를 다음 목표와 연관 짓는 법을 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P. 196

목표와 가장 중요한 것을 적어 두는 것은 우선순위에 따라 살기 위해 당신이 해야 할 마지막 단계다.

그리고 무슨 일을 해야 할지 알게 된 다음 해야 할 단 한가지는, 아는 것을 실천하는 일이다.

P. 202대부분의 사람들은 늘 시간이 부족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중요한 시간을 미리 정해 두면 절대로 부족하지 않다. ‘시간 확보’는 시간을 일의 중심에 두는 매우 결과지향적인 방식이다. 해야 할 일은 반드시 끝나도록 만드는 방법이기도 하다.
P. 206

1. 휴식 시간 확보하기

2.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 확보하기.

3. 계획할 시간 확보하기.

P. 207실제로 큰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자신이 여러 번의 휴가 사이사이에 틈틈이 일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반면 성공을 거두지 못하는 사람들은 휴식 시간을 따로 데어 두지 않는다. 자기에게 그럴 자격이나 여유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P. 209

생산적인 사람들은 업무에 걸리는 시간에 따라 일한다. 그들은 자신이 해야 할 단 하나의 일을 완수할 때까지 일을 중단하지 않는다.

관건은 하루 중 최대한 이른 시간 중에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따로 확보해 놓는 것이다.

내가 추천하는 것은 하루에 네 시간씩을 따로 떼어 두는 것이다.

그게 최소 권장 시간이다.

P. 210기본적으로 오전이 집필을 하는 가장 주된 시간이다.
P. 214사인펠트에게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코미디언이 될 수 있을지 물었다. 그러자 사인펠트는 매일 재미있는 농담을 하나씩 만드는 것이 비결이라고 대답했다. 그는 커다란 달력을 사서 벽에 걸어 놓고 새로운 농담을 지어낸 날마다 커다랗게 빨간 X 표시를 한다고 했다. 이때 당신이 해야 할 유일한 일은 그 사슬이 끊어지지 않게 하는 겁니다.  사슬을 끊지 마세요.”
P. 215하루하루 자신의 가장 중요한 도미노를 넘어뜨리면 마법이 일어날 것이다. 당신이 해야 할 일은 사슬이 끊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하루에 하나씩 할 일을 완수하는 것이다. 시간을 따로 정해 두는 습관, 강력하고 새로운 습관이 몸에 익을 때까지 말이다.
P. 221

시간 확보하기를 통해 남다른 성과를 올리려면 세 가지 약속을 지켜야 한다.

첫째, 자신의 일을 완벽하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최고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둘째, 끊임없이 최적의 길을 찾으려 노력해야 한다. 노력에 상응하는 결과를 가져다주지 못하는 방식을 써서는 아무리 최선을 다해도 소용이 없다. 

셋째, 자신만의 단 하나를 달성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고 있다고 기꺼이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

P. 223유명한 기타리스트 에드워드 밴 헤일런의 형인 알렉스는 자기가 밤에 외출을 할 때마다 동생은 침대 맡에 앉아 기타를 연습했고, 몇 시간 후 집에 돌아와 보면 여전히 같은 자리에 앉아 연습 중이었다고 말한적이 있다. 그것이 바로 결코 끝나지 않는 전문가가 되는 길이다.
P. 225“단순히 최선을 다하고 있는 겁니까, 아니면 이룰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겁니까?”
P. 227목적의식을 가진 사람은 ‘색다른 결과를 내려면 무언가 색다른 일을 할 필요가 있다’라는 단순한 규칙을 따른다. 이것을 당신의 신조로 삼아라.
P. 231책임감 있는 사람들은 다른 이들이 꿈에만 그리는 결과를 손에 넣는다.
P. 238

현명해지는 기술은 곧 무엇을 무시할지 아는 기술이다.

-위릴엄 제임스(미국의 심리학자)-

P. 239

생산성을 훔쳐 가는 네 종류의 도둑들

  1. ‘아니오’라고 말하지 못하는 것
  2. 혼란에 대한 두려움
  3. 건강에 나쁜 습관들
  4. 목표 달성을 도와주지 않는 환경
P. 242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할 수는 없다.

명심하라. 자신이 해야 할 단 하나의 일에’예’라고 말하는 것이 당신이 가진 최고의 우선순위다.

P. 244자신의 단 하나에 가장 강력한 ‘예!’를 말하고 나머지는 ‘아니오!’라고 외칠 수 있을 때, 비로소 남다른 성과가 가능해진다.
P. 252성공하려면 주변 환경이 당신의 목표 달성을 도와줘야 한다.
P. 256성공으로 가는 길을 깨끗이 치워 둘 때 비로소 일관되게 성공에 이를 수 있다.
P. 259더 큰 삶을 상상할 때에만 큰 삶을 가질 수 있는 희망이 생긴다.
P. 265당신의 모든 일 중 단 하나의 일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당신의 모든 시간에서 단 하나를 위한 시간을 맨 위에 두어라. 그리고 이 모두를 한 걸음부터 시작하라.
P. 267밑에서 보니 신문 뒷면에 사람 사진이 있더라고요. 거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죠! 사람을 맞추면 세상이 저절로 맞춰지겠구나!하고 말이에요

 

 


댓글


부마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