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추천도서후기

[열중47기 8지 않을 좋은 자산만 사조 행복한행복이] 10. 나는 나의 스무 살을 가장 존중한다

25.09.26

 

책 제목 : 나는 나의 스무 살을 가장 존중한다

저자 및 출판사 : 이하영 / 토네이도

읽은 날짜 : 2025.09.25.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마음공부 #삶의 기본기 #즐겁게 살자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점

 

*이 책을 통해 무엇을 얻고 싶은가? (목차를 보고 배우고 싶은 목표 정하기)

: 가난의 벽을 넘어 부와 성공을 이룬 저자를 통해 부와 인생의 비밀을 알고 싶다

 

*월부 추천 이유

 

“가난과 뜨거운 노력을 진정한 부와 성공으로 바꾸기까지의 과정과 노하우가 담겨있는 책"

 

1. 저자 및 도서 소개

: 흙수저에서 대한민국 1% 부를 이루게 된 의사인 저자가 전하는 꿈과 성공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방법

 

2. 내용 및 줄거리 + 느낀점

 

16p. 중요한 것을 먼저 계획하라

 

나는 하루의 계획을 끝에서 시작한다. 마지막에 있는 ‘강의 준비’를 하기 위해 회의 시간을 조절한다. 오늘 나에게 가장 의미 있는 시간은 ‘강의준비’이기 때문이다. 그 시간을 최우선순위에 둔다. 그러면 나머지 일정이 정리된다. 

 

  1. 힘이 덜 든다

    긴장감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 시간을 위해 일정을 조율하면 충분한 시간이 생긴다. 그 시간에 대한 보장이 정신적 긴장을 낮춰준다.

     

    매일 아침 원씽 정하기 → 충분한 시간 확보 → 스트레스 감소 → 다른 일에도 집중 가능

     

  2. 항상 성과가 나온다

    끝에서 시작하면 그 끝에 해당하는 결과물이 반드시 나온다. 벼락치기와 데드라인의 법칙이다. 그럼 몰입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이 시간만 지나면 오늘 일정이 끝나게 된다. 데드라인이 있기에 즐겁게 마무리할 수 있다.

     

    데드라인 정하기 → 그 시간이 지나면 해결되어 있다는 생각에 즐겁게 임할 수 있음 → 몰입도 상승 → 성과

     

    몰입을 위해 항상 정하는 것이 ‘데드라인’이라 반가웠다. 무엇보다 그 시간이 끝나면 문제가 해결되고 성과가 기다린다는 생각에 즐거워진다. 그걸 해낼 스스로를 믿고 더욱 집중하게 된다. 타이머와 핸드폰금고와 함께하면 집중력 2배 상승!

     

인생도 마찬가지다. 중요도가 높은 순으로 시작한다. 

 

 

18p. 삶을 바꾸려면 3가지를 기억하라

 

성공을 꿈꾸고, 목표한 인생을 살고 싶다면 3가지를 하면 된다. 

1. 마음공부를 하고 2. 삶의 기본기를 다지고 3. 즐겁고 충실하게 살면 된다

 

  1. 삶이 변하려면 먼저, 현실 회로가 바뀌어야 한다

    우리의 현실을 출력하는 현실 출력 회로는 무의식이다. 그 무의식에 있는 생각의 씨앗이 바뀌어야 한다. 그 씨앗인 관념과 열매인 현실이 하나임을 알아야 한다. 그래서 마음공부를 하는 것이다. 마음공부는 도인이 되려고 하는게 아니라, 부자가 되려고 하는 것이다. 


    늘 느끼지만 무의식은 정말 무섭다. 스스로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인식하기 어렵고, 인식하더라도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기가 정말 쉽지 않다. ‘마음공부’라는 말을 듣고 청렴결백한 선비의 이미지가 바로 그려졌는데, 독자들의 마음을 안 듯이 마음공부는 도인이 되려고 하는게 아니라, 부자가 되려고 하는 것이라는 설명이 흥미로웠다. 부자가 되려면 내 마음을 들여다보고, 무의식 속 생각의 씨앗인 관념을 찾아내어 뿌리부터 바꿔야 한다. 

     

  2. 삶의 기본기를 쌓아야 한다

    그 기본기가 독서, 운동, 명상이다. 뻔하고 진부한 이야기 같지만, 이 3가지를 매일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나는 매일 1시간 독서, 1시간 운동, 3분 명상을 하고 있다.


    모르는 사람은 없다. 실천하지 않을 뿐(뜨끔). 

     

  3. 마지막으로 즐겁게 살자

    굳이 열심히 살 필요 없다. ‘열심히’는 오늘을 위해 사는 것이 아니다. ‘열심히’는 내일을 위해 오늘을 희생하는 모습이다. 대신 ‘충실히’ 살면 된다. 지금 이 순간을 충실히 보내면 그걸로 족하다. 더 나아가 ‘즐겁게’살면 최고다. 

    즐겁게 사는 게 충실히 사는 것이고, 재밌게 살면 적어도 열심히 사는 사람보다 뭔가를 이루게 된다. 뭔가를 이루려면 의지가 있어야 하는데, 그 의지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즐거워야 한다. 그래서 의지보다는 유지고, 유지보다는 유희다.
     

    단어 하나 차이일 뿐이지만 ‘열심히’는 수동적인 마음가짐, ‘즐겁게’는 능동적인 마음가짐이 된다. ‘열심히’라는 말 보다는 ‘최대의 즐거움을 위해서’ 한다는 마음을 가져야겠다. 나는 아름다운 1호기를 반드시 가질 거니까 오늘부터 5개월 간의 과정을 최대한 즐길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모든 사람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바뀌지 않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삶의 습관은 그렇게 무서운 것이다. 하지만 우리 인생이 습관으로 이루어진다는 걸 아는 것, 그것이 변화의 시작이다. 그 습관을 바꾸면 인생이 원하는 방향으로 바뀐다. 

 

그 시작이 마음이다. 마음 속 현실 회로가 바뀌어야 현실이 변한다. 그 회로가 바뀔 때, 생각과 말과 행동이 바뀌고, 그것들이 바뀔 때 주변으로부터 이 말을 반드시 듣게 될 것이다. 

 

“ 너, 뭔가 좀 변한 것 같아.”

 

 

[ 인생을 쓰고 수정하고 만들어라 ] 66p.

 

“하영아, 삶은 한 편의 인생 영화일 뿐이야. 그냥 영화를 보듯 삶을 살아봐.”

 

착각하면 안 된다. 망상에 빠지는 순간 ‘영화 밖’ 작가가 아닌, ‘영화 속’등장인물이 된다. 인생의 주인공이 되라는 말은 거짓말이다. 아무리 멋진 영화 속 주인공이라도, 그들은 영화를 바꾸지 못한다. 리셋은 작가의 몫이다. 

 

영화 밖 시나리오 작가다. 그게 당신이다. 

 

이것을 깨달을 때 경제적으로 풍요롭고, 내면으로도 충만한 삶을 살게 될 것이다. 그 시작이 바로 인생 영화의 작가가 되어 각본을 쓰고, 수정하고, 각색하는 것이다. 

 

이 챕터는 정말 놀라웠다. “내가 내 인생의 주인공이다.” “시련이 오면 이렇게 생각해요. 인생이 점점 더 재밌어지는걸.”

이런 말들을 듣고 인생을 너무 무겁게 바라보지 말고 해피엔딩을 향해 가는 영화 속 주인공처럼 살자고 생각했었다. 그럼 다가오는 시련도 조금은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인생을 작가의 시선으로 본다는 생각은 한번도 해 본 적이 없었다. 메타인지가 반영된 무척 신선한 시각이다. 단순히 긍정적으로만 사는 게 아니라, 내가 인생을 미리 설계하고 예상 밖의 전개가 오면 원하는 방향으로 고쳐 써 내려가는 것이다. 

 

지금 나의 영화(투자)는 어디쯤일까. 어떤 시련이 기다리고 있을까. 그리고 나는 어떤 방법으로 위기를 넘고, 어떤 해피엔딩(1호기)을 맞이할지 구체적으로 그려보고 원하는 방향으로 수정해 나가야겠다. 구체적인 해피엔딩이 현실이 된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인생을 바라보는 관점을 배웠다. ‘나는 인생의 주인공이 아니다. 인생이라는 작품을 쓰는 작가다.’

 

4. 적용할 점

1) 매일 아침, 일정의 원씽을 정하고 그에 맞춰 다른 일정을 조율한다

2) 무의식은 제대로 인식하기 어렵다. 그렇기에 관념을 바꾸기 어렵다. 계속 스스로의 관념을 바꿔나가야 부자가 된다. 

3) 나는 내 인생의 작가이므로 구체적인 해피엔딩, 다가올 법한 시련들, 해결방법을 미리 알아 두고 수정해나간다. 

 

5. 기억하고 싶은 문구


내가 잘하는 방식과 못하는 방식이 무엇인지 알고 있었다. 

 

접근방식을 다르게 하고 문제를 보면, 어느새 새로운 돌파구가 보이고, 답이 도출되었다. 

 

결국 세상은 MRI다. 당신은 당신의 마음과 마음속 무의식이 펼쳐낸 세상을 경험하고 있다. 그리고 그 씨앗을 현실에 틔우는 힘 역시 자신에게 있다.  

3학년의 학창 시절을 보낸 독서실 자리에서 수술복을 입고 재수를 시작했다. 


감사하고, 감동하고, 감탄해라. 그러면 말투가 바뀐다. 감사의 말, 감동의 단어, 감탄의 느낌표가 함께할 것이다. 


영화 밖 시나리오 작가다. 그게 당신이다. 


댓글


행복한 행복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