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은 소액으로 투자해 1억 정도의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사이클이 짧은만큼 실력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건, 지방의 투자 기준을 알고 투자 방법에 맞는 접근을 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강사님의 지역분석 방법을 통해 그 통찰력을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방은 서울/수도권과 달리,
수요에 대한 영향이 그 지역에 거주하고자 하는 인구수가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았다.(차이점!)
그리고, 수도권은 직장의 출퇴근을 위한 교통이나, 꼭 그 지역에 살아야하는 이유가 있기에 땅의 위치가 중요하다.
흔히 입지독점성이라고 칭하는데, 지방은 입지독점성이 약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 이유는 지방의 경우 빈땅이 많기 때문에 땅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지역에 따른 차이 있음)
따라서, 연식, 상품성에 대한 선호를 잘 봐야한다는 것을 알았다.
자연스럽게 선호도에 대해 어떤 기준이 중요할까? 둘러보니,
지방은 커뮤니티 형성이 되어 지역별 선호하는 동네가 따로 있다는 것을 알았다. 흠.. 이건 좀 어렵게 느껴지는데,
그 지역 주민들이 왜 그 지역을 좋아하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해야겠다. ㅎㅎ(우선 그 지역 잘 아는 거주민 인터뷰도 좋을 듯? 부사님~~>ㅁ< 또는 우리의 지역 동료들?ㅎㅎㅎ)
더 깊이 파보자면, 지방은 가장 큰 지역권으로 광역시를 기준으로 구분지을 수 있는데, 역시 인구 수요에 따라 대장단지의 가격 고점도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을 알았다. 역시 수요의 힘!
다만, 그 수요 규모에 따라 시장의 크기가 다른 것이기에 우선순위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고만 알고 있었는데, 인구수가 무조건 법칙은 아니라고 강조해 주셔서 무조건 절대적으로 둘 조건은 아니라는 걸 염려해서 언급해 주신것 같다.
그리고, 무엇보다 계속 강조해 주셨던 입주에 따른 영향력! 신축에 대한 영향이 정말 크구나 라는 걸 알았다. 다만, 수요의 크기에 따라, 그 상품성의 범위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 언급해주시며, 이분법적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자꾸 정답은 있다고 따로 떼어서 편견을 가져서는 안 되겠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군의 힘이 있는 지역이 있는데, 이는 구축임에도 불구하고 선호도가 있는지 여부를 따져야 한다는 걸 참고해 전/매임을 하면서 파악해야겠다.
특정학교 배정이 된다던가, 직장,환경,학군 등 종합적으로 만족스럽다던가, 전통적으로 원래 좋아하는 곳(부촌, 커뮤니티)인지 다방면으로 봐야한다는 걸 머리에 새겨야겠다.
충격… 지방에선 1기신도시 같은거 안 좋아해… 브랜드, 연식, 쾌적한느낌 잘 봐야함~…ㅎㅎ(띵~)
유디님께서 계속 강조를 해주신다. 현장에서 눈으로 보이는 느낌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지방은 다른다. 달라.
머릿속에서 착각하면 안되겠다. 기준이 다름을 인지하고 탈바꿈 해야 한다.
지방이 사이클이 변동이 심한 만큼, 전세가에 매매가가 굉장히 영향을 많이 해주셨다.
근데, 이는 땅의 가치가 낮기 때문에, 주변 입주 때문에 영향이 큰 것이고, 이를 알고 매수/매도 해야 할 수 있는
순차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서울/수도권의 경우, 웬만하면 버텨낼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을 고려해 대응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치만 지방에선 그 부분에 대해 굉장히 민감하겠다는 걸 알았다.
댓글
탈피87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