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Q&A

미국주식 투자 근황, 포트폴리오 얘기(AI, 양자컴, 비트코인, 버블, 원화가치 어쩌구 저쩌구..)

25.10.05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포트폴리오 점검도 할 겸 오랜만에 글을 남깁니다. 

최근 이직 후 본업에 집중하느라 투자에 많은 시간을 쏟아붓지는 못했지만,

계획을 세우고 투자를 실행한 포트폴리오는 미국주식 최고점과 함께 큰 수익을 안겨주고 있는 기쁜 상황입니다.

 

1. 투자 방식 / 근황

  • 연금저축계좌로 최소한의 노후대비를 하고
  • 미국주식 직투(및 다른 투자)는 큰 리스크를 감수하고 큰 수익을 노린다

제 투자 전략을 두 줄로 요약하면 위와 같습니다.

 

연금저축계좌에서 꼬박 꼬박 월에 30~50만원씩만 적립형으로 미국 지수 투자를 진행한다면, 안정적으로 시장의 수익률만큼 노후자산이 불어나는 효과를 가져갈 수 있는데요. 이를 통해 최소한의 노후 대비, 즉 내가 늙은 뒤 폐지는 줍고 다니지 않아도 되겠지? 하는 안정감이 생깁니다. 제대로 시작한지는 이제 3년정도 되었는데, 연금저축계좌에서 투자를 하면서 정말 좋은 점 중 하나는 노후에 대한 걱정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연금저축계좌 이외의 투자에서도 적극적으로 리스크를 감수하는 결정을 마음 놓고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미국주식 직투의 경우, 저는 배당은 과감하게 포기하고 성장을 추구하는 ETF와 개별주들을 담고, 최소한의 자산 분배만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 관세를 포함해서 큰 하락도 맞이했지만 광화문금융러님의 수업이나 개별적으로 진행했던 공부를 통해 미국 주식시장의 기업들을 충분히 신뢰하고 견딜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지금은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35%정도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 추가/변경된 투자 포트폴리오

연금저축계좌를 통해 미국주식 시장에 폭넓게 투자를 진행하는 것에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
기존에 직투에서는 테슬라, 엔비디아 두개 빅테크 기업을 담고 M7을 비롯하여 QQQ ETF를 통해 빅테크 기업과 나스닥 상위 기업의 시장 수익률을 충실히 따라가고자 했으며, 거기에 더해 바이오 기업, 일본종합상사, 국제금 정도에 투자하고 있었습니다.(거기에 미국 장기, 단기채권을 조금씩 들고 있어요)

 

직투 포트폴리오에는 나름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4월 관세전쟁 이후 시장이 다 회복 되었을 때 8월쯤 저는 금 관련 상품을 전부 매도하였습니다. 
최근 금이 신고가를 찍고 있는 것을 보면 꽤나 씁쓸함이 밀려오기도 하네요. 하지만 크게 후회는 없습니다.

금을 매도한 이후, 저는 추가 자금과 함께 세 가지 분야에 신규 투자를 진행했습니다.

  • 비트코인채굴+데이터 센터 기업 1개
  • 원자력발전소 관련 기업 1개
  • 양자컴퓨팅 관련 기업 5개
  • 암호화폐 현물(이더리움)

다행히 4개 분야 모두 큰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양자컴퓨팅 영역의 기업들은 AI버블시장의 초입에 진입한 것을 보여주기라도 하려는 듯 미친듯한 상승률을 보여주고 있어요.

 

 

3. 어떻게 신규 투자 분야를 발굴하는가?

직투 포트폴리오를 다소 공격적으로 변경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연금저축계좌에서의 투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 정도면 내 노후에 큰 차질이 없겠는데?’라는 생각이 ‘직투에서는 더 큰 리스크를 감수하고 투자를 진행 해보자’라는 생각을 갖게 한 것이죠. 투자의 성공과 실패가 곧 내 인생의 성공과 실패인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과감하게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었습니다.

 

여기에 더해, 내가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려고 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트럼프의 당선과 관세, 빅테크 기업들의 성장과 투자, 빅테크 기업 CEO들의 생각과 인터뷰 등을 보면서 지금이 둘도 없는 미국주식 투자 타이밍을 느끼게 되는 순간이 있었어요. 구구절절이긴 하지만, 아래에 제 생각의 흐름을 간단하게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여러분은 IT 닷컴 버블을 어떻게 기억하시나요? ]

인터넷은 마치 인류가 불을 발견했을 때와 비슷한 임팩트로 인류라는 종 전체의 삶을 크게 바꾸어 놓았습니다.

인터넷의 잠재력을 알아본 시장에는 큰 버블이 끼고 버블이 꺼졌으며, 이후에 선별된 IT기업들은 현재 세계를 주도하는 빅테크 기업들이 되었습니다. 

 

[ 여러분은 앞으로 IT 닷컴 버블과 같은 비슷한 버블이 온다면 어떤 분야에서 찾아올 것이라 생각하시나요? ]

곰곰히 3분만 생각해보셔도, ‘뭔가 AI랑 연관된 것에서 버블이 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실 겁니다.

AI는 실제로 우리의 인생에 큰 임팩트를 지금도 미치고 있으며, 세상을 크게 바꾸어 놓고 있습니다. 
아직 우리는 챗 GPT같은 생성형 언어 모델 정도에서 체감을 하고 있지만, 저는 개인적으로는 앞으로 AI가 바꿀 산업 구조에 대한 임팩트는 IT 닷컴 버블 시절의 인터넷과도 비슷하거나 더 클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어요.

 

오지 않은 버블의 초입에서, 우리는 어떤 기업이 옥석 가리기의 승자가 될지 잘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데이터 센터, 원자력 발전 등 AI 분야의 성장에 함께 편승할 수 있는 분야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것을 선택했으며, 추가적으로 큰 기대를 받지만 아직 구체적인 실체와 실적이 없는 양자컴퓨팅 영역의 여러 기업에 분산 투자를 진행해야겠다고 판단하였습니다.

 

[ 자본주의 시스템의 핵심, 화폐 ]

위에 더해, 저는 암호화폐의 중요성이 미래에는 지금보다도 훨씬 부각될 것이라고 판단하였습니다.

미국, 한국, 중국, 일본, 유럽, 할 것 없이 각국의 정부는 매년 화폐를 찍어내고 있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통용되는 진리가 있다면 ‘흔해지면 싸지고 귀해지면 비싸진다’일 것입니다.

화폐는 계속해서 흔해지고 있습니다.

인터넷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눈부실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 구시대적인 화폐 시스템에 우리의 자본주의를 맡기고 있습니다.

화폐는 오래된 유산이기 때문에 한 순간에 이 시스템이 없어지거나 변화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충분한 기술과 보안 시스템 아래, 화폐는 천천히 디지털 자산의 영역으로 옮겨지고 변화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정 개수 이상 채굴 되면 더 이상 추가 발행되지 않는다는 크립토 자산, 블록체인 기술은 현 시대의 화폐 정책을 대체할만한 충분한 후보라고 생각이 되는 것이죠.

 

우리가 비트코인이 어쩌구, 블록체인 시스템이 어쩌구 하는 이론적인 것을 다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건 위와 같은 아이디어를 전 세계가 천천히 받아들이고 있으며, 미국의 제도권, 자산운용사에서 이를 받아들이고 있다는 흐름이 생기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조금씩,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도 매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마침 오늘 비트코인의 가격이 다시 신고점을 경신했네요 😅

 

 

4. 원화 가치의 박살😭

정말 가슴 아픈 일이지만, 또 똑바로 직시하고 대응해야 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다시 돌파했습니다. 

근데, 이 문제를 ‘달러가 진짜 비싸네?’라고 생각하고 넘길 문제가 아닌 상황입니다.

 

주요 6개국의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기준인 달러 인덱스 수치는 현재 97 정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과거, 1월에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일 때에는 달러 인덱스 수치가 111정도였거든요

절대적인 기준으로 달러 인덱스의 수치가 97정도라면, 1305원 정도의 원달러 환율이 정상적인 기대 환율입니다.

 

  • 달러의 상대적 가치는 낮아 졌는데
  • 원화의 상대적 가치가 더 낮아져서
  •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는 상황

인 상황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이 괴리율은 1월 당시 상황으로 볼때 약 1581원에 해당하는 환율을 기록하는 수치입니다.

생각보다 원화가치의 하락의 수준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이럴 때 일수록, 우리는 원화를 그냥 예적금으로 들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환 노출 시키고 자산분배 시켜야 합니다.

 

만약 아직까지 미국주식 투자를 망설이셨다면, 마치 돈이 녹아내리고 있는 것을 방치하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절세계좌에서 미국 주식을 추종하는 자산을 사는 것, 또 직투를 하거나 금을 사는 것, 미국채, 엔화 등을 사는 것 모두 훌륭한 자산 분배의 방법입니다.

 

아직 시작을 안하셨다면! 꼭 올해 안에 해외 자산을 내 자산 포트에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하시면 좋겠습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나에게투자란
25. 10. 05. 18:14

젴크크님 !!!!!! 오랜만이라 너무 반갑습니다 기다렸습니다😁 좋은 투자 포트폴리오와 아이디어 감사합니다 신기하게도 비슷한 형식을 가지고 있어서 놀랬습니다 !! 즐거운 추석 되세용 젴크크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