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초보자 BEST]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너바나, 주우이,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일기쓰듯 꾸준히 노력하는 삶을 쌓아가는
삶은일기 입니다
한창
사전임장보고서를 완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사전임보 마감 주간입니다!
어느새 시간이 빠르게 흘러 마감이 코앞이지만,
' 내가 중요한 걸 빼먹지 않았을까?'
' 조금이라도 업그레이드 하고 싶은데..'
' 한 장이라도 더 추가해보자!'
라는 생각으로
BM을 통해 사전임보 업그레이드를
시도하시는 분들을 위해
그동안 써보신 임보를 기준,
임보 10개 이하 VS 10개 이상 임보
로 나누어
사임에 들어갈 핵심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명확한 선을 긋는 기준은 아니며
아직은 기본을 탄탄하게 다지고 싶다면
왼쪽의 '10개 이하' 임보 내용을,
임보 업그레이드를 위해
어떤 내용을 더 넣을지 고민이시라면
오른쪽의 '10개 이상' 임보 내용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1
개요
개요파트의 핵심은
왜 사람들이 여기 모여 살고,
어떤 선호요인이 있을지 둘러보는 것입니다
핵심가치 요소를 파악하려 노력하고
지역에 대해 상상하며 궁금증을 가지는 것이
개요파트의 주요 목표입니다
[임보 10개 이하]
나무위키를 통해 지역을 대략적으로 이해하고,
위성지도를 통해 지형과 빈땅(입지독점성) 확인,
아실에서 임장지의 최고가 순위(84기준),
지역의 대장 위치와 가격을 통해 천장을 확인합니다
[임보 10개 이상]
위성지도를 자세히 보며 도로, 대로, 순환도로를 통해
거주민의 이동경로와 확장을 고민해봅니다
(지하철 노선도 함께 보면 좋아요)
아실에서 지역의 대장도 보지만,
각 생활권별 대장(지방은 각 구 별 대장도)의
위치와 가격까지 확인해봅니다
2
인구/소득
이 파트는 앞서 살펴봤던 개요보다
좀더 깊이감 있게 생각을 확장하는 단계입니다
가장 핵심은
바로 '수요'인데요,
지방에서는 '인구 수' 자체가 수요의 크기이며
서울수도권에서는 어떤 수요로 이곳에 정착하는지
핵심가치를 파악해야 합니다
[임보 10개 이하]
인접한 도시 또는 구의 인구를 파악하여
임장지의 규모를 확인하고,
지역에서 출퇴근 할 업무지구의 규모나 연봉
또는 원천지/주소지 기준의 소득을 봅니다
부동산지인의 최근 3년간 인구이동을 통해
연관성이 큰 지역과 위상을 확인,
이를 통해
완성형 가족은 어디에 살고 싶을까
추측하며 생각을 많이 써봅니다
[임보 10개 이상]
비슷한 규모(인구/소득 등)의 다른 앞마당과 비교하여
현재 임장지의 투자가치를 고민하고,
인접 지역과의 교류와 그곳의 정보를 통해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곳에 거주민이 사는 이유를
파악해봅니다
3
입지 [직장 / 교통]
본격적으로 지역내의 직장과 인근 직장을 보며
거주민의 소득과 지역내 직장의 연봉,
투자가치를 판단하는 파트입니다
직주근접을 위해 이곳 사람들은 어디에 거주하는지,
어떤 교통수단을 통해 출퇴근 하는지 확인하여
투자가치의 우선순위를 알기 위함입니다
[임보 10개 이하]
부동산지인 또는 호갱노노 등으로
업무지구의 주요 산업군은 어떤 직종인지,
300인(또는 500인) 이상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를 통해 규모를 확인합니다
서울권역의 경우
강남까지의 거리(지하철)확인이 중요하며,
지방의 경우
대장과 가장 가까운 산업단지(산단)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임보 10개 이상]
주요 업무지구까지 가는 경로와 이동시간 등을
좀더 자세히 파악하는데,
강남 뿐만 아니라
시청/여의도/판교/구디가디/마곡/DMC
로 출퇴근이 얼마나 가능한지 확인합니다
지방의 경우
가장 가까운 산단 외에
주변의 중요한 산단 또는 업무지구가 있는지
규모와 연봉 등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4
입지 [학군 / 환경]
이 파트는
직장 외에도 수요를 끌어당기는
특별한 요소가 있는지 확인하는 게 핵심입니다
학군을 위해 거주지를 옮기기도 하고,
좀더 쾌적한 신규 택지에 살기 위해
이동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임보 10개 이하]
네이버부동산을 통해 초등학교의 위치를 확인,
학급당 학생 수가 21명 이상(과밀일 정도로 선호)인
초등학교를 표시하기도 합니다
아실의 학군으로 중학교 별 학업성취율을 확인,
호갱노노에서 학원가의 위치와 규모도 파악하고,
이 요소가 특별히 지역 외의 수요를 끌어들이는지
고민해봅니다
기본적으로
백화점, 종합병원, 스타벅스 갯수도 확인합니다
[임보 10개 이상]
네이버부동산 초등학교 전교생 수를 확인해
지역내 선호하는 초등학교를 파악해봅니다
아실의 중학교 특목고 진학율로
인근 거주지의 소득수준과 선호도를
가늠할 수도 있습니다
환경을 좀더 세밀하게 관찰하고,
인접 도시의 특이점(학군지, 신도시 등)도 확인합니다
5
입지 [공급]
핵심은 리스크 확인입니다
투자 이후 전세를 놓을 때
투자단지 전세에 영향을 주는 거리인지,
전세 시기와 겹치는 입주가 주변에 없는지
미리 알아야 합니다
지방의 경우
200세대 이하의 작은 신축 오피스텔도
때때로 나의 구축 단지 전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구체적인 전략을 짜고 대응을 마련해야 합니다
[임보 10개 이하]
부동산지인으로
내가 투자한 단지와 전세 시기가 겹치지 않도록
지도와 달력에 기입해 남겨둡니다
지역내의 공급 뿐만아니라
이동이 많은 인접도시의 중요 공급도 확인합니다
[임보 10개 이상]
인접도시의 공급과 함께
상급지의 주요 공급도 파악해두고,
미분양 물량도 확인해봅니다.
분양가를 통해 임장지역에 미칠 영향을 가늠하기도 합니다
오늘 아무것도 하지 않은 사람은
1년이 지나도 아무 변화가 없지만,
오늘 0.01%라도 어제보다 더 노력한 사람은
1년 뒤 몰라보게 성장한다고 합니다
:)
조금이라도 더 성장하기 위해
오늘을 노력하시는 여러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