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2월 돈버는 독서모임 - 인간관계론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루틴의 힘
2. 저자 및 출판사: 댄 애리얼리, 그레첸 루빈, 세스 고딘 / 부키
3. 읽은 날짜: 2025.10.16~ 10.18
4. 총점 (10점 만점): 9점/ 10점
[에필로그]
앞으로도 지금까지처럼 살 것인가?
강력한 통찰에 고도로 집중하다보면 새로운 깨달음과 불편함이 동시에 찾아온다.
하루하루의 일상이 주변의 모든 잡다한 것들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었다.
문제의 본질이 실행에 달려있다는 점이 확실해지면 사람들은 재빨리 비난의 화살을 환경 탓으로 돌린다.
어쩔 수 없는 환경에 매달리는 걸 그만두고 자신이 책임질 수 있는 일을 생각할 때다.
완벽한 일터란 없다.
✅ ㅇㅇ때문이라고 더이상 탓하지 말기.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기.
결국 개인의 실천 습관이 우리 일의 완성도를 결정한다.
아이디어의 실현을 좌우하는 요소는
최적화 능력
루틴과 관련된 가장 큰 문제는 그 루틴을 우리가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채 살아간다는 점이다.
가장 큰 문제는 반응적 업무 흐름이다.
메신져, 이메일 등을 열어보고 그에 대응하면서 하루하루를 그럭저럭 살아가기 급급하다.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을 주도적으로 해내기보다는 눈 앞에 닥친 일에 반응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업무 습관이 자기 욕구에 맞춰 변한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에 순응하는 쪽으로 바뀌어 왔다.
단지 일상에 대한 지배력을 되찾는 것만으로도 자신의 가장 중요한 부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 항상 집중하는 시간에 오는 알람, 카톡을 처리하느라 정작 덩어리 시간을 다 사용하지 못했음
✅ 반응하는 시간을 따로 정해둘 것.
📌 좋아하는 일일수록 자주 실천하라
우리가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일 했을 때,
단기간에 해낸 일은 과장하는 반면, 장기간에 걸쳐 해낸 일은 오히려 과소평가하곤 한다.
일을 자주하는 습관이 붙으면 독창성과 성취도가 높아진다. (매일 하루 15분이라도 글을 쓴다는 작가의 일화)
자주하면 시작이 수월해진다.
항상 시작이 문제. 일을 시작하는 것은 언제나 힘들다.
그러나 매일매일 하다보면 그 감각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자주하면 부담이 줄어든다.
일을 자주하지 않으면 결과를 아주 뛰어나게 내야한다는 부담이 생긴다.
반면, 나는 매일 쓰기 때문에 하루치 정도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잘되는 날도 있고, 안되는 날도 있다.
그래도 괜찮다. 왜냐면 분명하게 꾸준히 하고 있으니까.
✅ 매일 매일 해서 허들 낮추기. 매일 임보 5장쓰기
.
자주 하면, 생산성이 높아진다.
매일 성과를 낸다는 사실만으로 다음날 일하기가 즐거워진다.
가장 중요한 점은 지속성이다.
그러나 일하는 간격이 넓어질수록 그로 인해 누릴 수 있는 혜택은 줄어든다.
📌 남이 아닌 나를 위해 일해라
인생에서 뭔가 기치있는 것을 창조하고 싶다면, 세상의 요구와 자신의 야망 사이에 확실한 선을 그어 둘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삶에는 해야 할 일과 하고 싶은 일 사이에 넓은 중간 영역이 존재한다.
업무 습관을 창의접 업무 (먼저) > 대응적 업무 (나중) 방식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 업무 방식은 다른 사람의 기대치와 압력에 배짱으로 버티는 것이다.
단 1시간이라도 세상과의 연결고리를 끊으려면 의지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꿈을 포기하느니 사소한 일로 몇몇 사람을 실망시키는 게 더 낫다
➡️ 해야하는 일과 하고 싶은 일 사이에 명확한 선이 필요하다. 남들로 인해 꿈을 포기하지 말 것
📌심지어 하고 싶지 않을 때에도 시작한다는 것
일을 하고 싶지 않을 때에도 한다는 것은 대단히 중요
하기 싫은 일을 해낼 때 전문가 대열에 합류할 수 있다.
하기 싫다는 감정에 휘둘리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취미가 아닌 일이기 떄문.
➡️ 하고 싶지 않은 때에도 일을 하는 사람은 전문가이다.
✅ 화가 나도 힘들어도 그냥 지금 해야할 일에 집중하기. 놓지말자.
📌 고독할 권리
하루 20분 - 1시간 만이라도 고독을 위한 시간을 비워두기
고독을 느낄 수 있는 최고의 시간은 아침 시간.
이렇게 이른시간에는 정해놓은 계획을 방해할 요소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
✅ 아침 루틴 재정비, 명확한 시간 활용
2. 정말 중요한 일에 집중하게 해주는 루틴의 힘
📌 창의적인 스케줄에서 성과가 시작된다.
스스로의 습관은 결국 자기가 관리해야 한다.
집중할 수 있도록 상당 분량의 시간을 확보해두기
✅ 정말 중요한 일은 미리 캘린더 박아두기. 내 시간 확보는 나만이 할 수 있다.
📌 끝내지 않은 업무는 숙취와 같다.
주의력 잔여물 효과
끝내지 못한 과제에서 작업을 보류해두고 다른 일을 시작하기란 매우 어렵다.
다른 작업으로 넘어가기 전에 기꺼이 손을 놓을 수 있는 중간 지점을 찾아내는 것이 좋다.
✅ 중간 지점 명확히 두기. 여기까지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임보 질질 끌기 X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
📌 시간 관리를 더 잘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진전의 가시화
일이 진척되고 있다는 감각은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움
발전의 기록이 눈에 보이도록 자신의 진전 과정을 일깨워 줄 수 있는 장치를 고안해봐야 함
(예) 일기
➡️ 발전의 과정은 눈에 보여야 한다.
✅ 월부 생활 기록부 적용
📌 자제력 전략
자제력은 한정되어 있다.
에너지 수준이 올라가고 떨어지는 시간을 기록해두면 의식적 ↔ 무의식적 업무를 전환하는 스케줄을 짤 때 유용하다.
✅ 퇴근 후 9시부터 12시까지가 풀집중 가능한 시간. 이때를 잘 활용할 것
3. 창의력의 날을 날카롭게 세우는 루틴의 힘
📌 자신을 위한 창조에 매달려라
실제로 매일 할 수 있는 일과 해낼 수 있는 일 사이에는 명확한 차이가 있다.
여유 시간에 시도하고 싶은 프로젝트의 목록을 만들어 뒀다가 일정 시간을 할애하여 그 일들을 진헹헤야 한다.
그러나, 자신의 삶을 오로지 실용적인 일에만 투자할 경우 치르게 될 기회 비용을 생각해보라
✅ 나눔글 목록과 초안 미리 채워둘 것
📌 통찰력에 불을 붙이는 방법
항상 뭔가를 해야 한다는 강박 관념을 가진 사람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은 매우 중요하다.
통찰력을 만들어 내는 확실한 방법은 확실하지 않지만 우리가 확실하게 아는 것은
뇌가 일정한 패턴을 인지하고 지나치게 편해질 때 창의성이 정체된다는 점.
바로 그 때가 새로움을 추구해야 할 때라는 점이다.
➡️ 뇌에 계속 새로운 자극을 줘야한다. 편해질 때 정체된다.
✅ 새로운 사람 만나기 > 조모임 / 새로운 장소가기 > 임장
📌 창작의 리듬 유지하기
가장 어려운 일을 아침 일찍 처리하기
우리의 뇌는 놀라울 정도로 반복적인 사고에 능숙함
새로운 사람과 함께 일하고 새로운 장소에서 출발하는 것은 뇌에게 반복적 사고에서 벗어나라는 트릭이 된다.
진행 중인 일이 많을 때 어떻게 다른 작업을 또 시작할 수 있는가?
일주일 중 금요일을 아에 통으로 영화 찍는날로 비워 놓았음.
시간이란 공들여 내야하는 것이고, 그렇게 만들어 낸 시간은 무슨 일이 있어도 다른 일로 허비하면 안된다.
계획 수립의 기본은 정말 하고 싶은 일을 미리 일정표에 적어두는 것
➡️ 결국 시간 관리란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
✅ 시간을 정하고 통으로 비우기
📌 완벽함의 강요에서 벗어나기
과거 행동 패턴과 관계없이 현재의 선택에 따라 다르게 행동할 수 있다.
완벽주의자는 자신의 기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 완전히 무너지고 만다.
어정쩡한 결과를 낼까봐 시도 자체를 피한다.
이는 성장에 필수적인 피드백과 조언, 방향성을 완전히 걷어차는 일
실용주의자는 피드백을 결과를 점검하고 다듬는 데 도움이 되는 고마운 존재로 여긴다.
타인의 통찰력으로 내 작업은 향상되고 내 세계는 보다 넓어진다.
✅ 피드백을 받으면 수용할 것. 완벽하지 않아도 나아가고 있다는 점에 집중하기
📌 슬럼프 건너기
첫째, 아무리 스타 작가라고해도 슬럼프를 피할 수 없다.
둘째, 일단 문제를 정확히 간파하면, 해결책은 놀랍도록 간단할 수 있다.
2년차 슬럼프를 극복하는 법
처음에는 열정 > 다음에는 부담감이 따라옴
보상에 대한 생각은 전부 버리고 오로지 일 자체에만 집중하라.
개인사가 앞길을 막을 때
창의성에는 집중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게 안좋은 일들은 대게 2-3가지씩 한꺼번에 밀려온다.
자신의 일을 일종의 피난처로 정하라.
➡️ 2년차 슬럼프는 누구에게나 오는 것
✅ 보상이나 결과에 대한 생각을 버리고 과정과 지금 할 수 있는 일에 몰두하기
4. 기술과 도구를 최적화하는 루틴의 힘
📌 하루를 28% 더 현명하게 쓰는 법
목표를 눈에 보이도록 드러나게 하라
✅ 블럭 식스 활용
📌 나를 믿어라
노력하는 과정 자체가 곧 목적이다.
[에필로그]
📌 내 인생의 전문가는 나 뿐
전문성에 이르는 3단계
1단계. 단 1시간이라도 앉아있기
2단계. 1단계를 반복하기
이 단계에서는 질적인 면에 대해서 생각하기 어려움
3단계. 결승선을 넘는 것. 끝을 내는 것.
질적으로 성장하는 단계
➡️ 내 인생을 가장 잘 다룰 수 있는 전문가는 나 뿐이다.
📌 프로란?
자신의 주변이나 내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도 고차원적 노력과 윤리로 무장한 채 계속해서 일을 해나갈 수 있는 사람.
우리는 무언가를 내놓음으로써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의 전문가가 된다.
Page8. 루틴의 힘에는 우리 앞에 펼쳐진 신세계에서 성공하기 위해 숙달해야하는 4가지 핵심기술
Page16. 어쩔 수 없는 환경에 매달리는 걸 그만두고 자신이 책임질 수 있는 일을 생각할 때다. 완벽한 일터란 없다.
Page23. 매일매일 해낸다면 헤라클레스의 업적도 넘어설 수 있다. -앤서니 트롤럽-
Page28. 내가 매일 하는 일이 가끔하는 일보다 더 중요하다.
Page29. 반복적으로 무엇을 하느냐가 우리를 결정한다. 그렇다면 탁월함은 행위가 아닌 습관이다. -아리스토텔레스-
Page33. 그러나 꿈을 포기하느니 사소한 일로 몇몇 사람을 실망시키는 게 더 낫다
Page89. 이상적인 경우는 드물며, 모든 것이 완벽해지길 기다렸따가는 십중팔구 일이 지연되기 일쑤다.
Page95. 반복 자체가 중요합니다. 반복은 일종의 최면이니까요. -무라카미 하루키-
Page120. 항상 뭔가를 해야 한다는 강박 관념을 가진 사람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은 매우 중요하다.
Page136. 나는 과거 행동 패턴과 관계없이 현재의 선택에 따라 다르게 행동할 수 있다
Page145. 창의성은 재능이 아니라 재능을 운영하는 방식이다 -존 클리즈-
Page153. 어차피 해야한다면 이왕이면 잘 해내야 한다는 마음 가짐으로
Page191. 책임이란 반응과 능력의 결합(Responsibility = Response + Ability. 즉 자신의 반응을 선택하는 능력이다 -스티븐 코비-
Page194. 가장 곤란한 점은 우리가 긴급함과 중요함을 제대로 구별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소위 긴급하지만 사소한 일이 중요한 일보다 먼저 처리될 가능성이 높다.
Page203. 저항은넘어가는 순간 우리를 죽이려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