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다나다입니다.
월부학교 1강 강의는 양파링멘토님께서 해주셨습니다.
현재는 1,2,3급지 중심으로 상승했고, 그 열기가 4급지에도 퍼지고 있음.
상승순서는 있다. 하지만 누적상승률로 치면 비슷
지난장 1차급등기 (18년)후 조정기(19년) 발생
이번상승기 1,2,3급지 중심 상승했는데 나머지 지역도 시가닝 지나면 누적상승률은 비슷할 것이다.
→ 추격매수 금지. 덜오른 단지 공략하기
→ 이번 규제로 수도권시장이 얼마나 조정될지는 모르지만 이 시기는 기회일 수 있으니 앞마당 잘 만들자!
매수시 현재 지역/단지의 입지가치 비교를 먼저 해야 한다
투자프로세스 실행을 하는것이 먼저가 아니라 시장/가격판단이 우선이다.
협상보다 중요한건 ‘현재 가격’을 제대로 판단하는것
→ 현재 단지의 가치,가격을 먼저 판단하고 싸다고 판단되면 매수하자! 무리한 협상은 no!!
→ 무턱대고 가격협상하지말고 win-win할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자
투자원칙은
쌀 때 사서 비쌀 때 판다. 즉 수익이 날 때까지 보유해야 하는데 예외는 있다.
매도후 정확한 전략이 있다면 가능하다. 손실이 거의 없고 더 좋은 것으로 바꿀 수 있을 때
시스템투자는 무조건 쌓는 것(채수를 늘리는 것)이 시스템투자일까? 아니다!
중소도시->광역시
지방->수도권
구축->신축 (입지검토가 우선)
자산을 쌓으면서 기회가 된다면 좋은 자산으로 바꾼다
→ 더 좋은 자산으로 갈아끼우기 위해서는 역시나 실력이 필요하다.
가치 : 팔아야 하는 / 입지가치, 상품가치
가격 : 팔만 한 가격인지? / 전고대비 현재가격 수준
실익 : 파는 게 이익이 되는지? / 더 좋은 것을 바꿀 수 있는지
(기타월등한 편익:비과세 취득세)
대안 : 팔고 난 후 계획은? / 후보단지 유무
→가가실대!! 기억했다가 매도를 해야 하는 시기가 오면 위의 의사결정과정을 적어서 판단해보자
절대가
N억대라면 어떤곳이 있지? 어디가 더 좋지? 그럼 어떤 걸 사지?
투자금
N억이면면 무엇을 살 수 있지? 어디가 더 좋지? 그럼 어떤 걸 사지?
→ 더 좋은 자산으로 갈아끼우기 위한 투자자의 실력을 만들어야 한다.
1~2채 투자하는것에서 끝내는 것이 아니다
→ 가치를 알아야 기다릴 수 있다. 즉 내가 어떤 시점에서 어떤 물건에 투자했는지 알아야 기다릴 수 있다.
지역, 단지, 물건마다 상승의 순서가 있기 때문이다. 내 물건은 아직 순서가 안온거지 가치가 없는 것이 아니다 라는 생각을 해야 한다.
큰 방향 : 길게 보고 꾸준히 안전하게 투자하며 자산을 늘린다
지방 : 2~4년정도 보유한다고 생각 / 이미 어느정도 올랐다면 2년
*울산같은 곳은 매도시기를 짧게 잡아야 한다.
수도권 : 기본적으로는 장기 / 수도권 외곽 구축투자시 지방투자와 비슷하게 접근 (갈아타기)
→ 지방/수도권 갈아타기 : 더 좋은 것으로 바꿀 수 있따면 매도 가능
1강을 들으면서 느낀점
상승의 시기는 다르지만 결국 상승률은 비슷하다.
현재 10.15규제로 수도권시장이 잠시 조정기를 갖게 되는데
이 시기 투자자로서 실력을 키우는 시기로 만들어야겠다 생각했습니다.
더 좋은 자산으로 갈아끼우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해야하고
그를 뒷받침할 실력을 키워야 하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배웠습니다
1강 강의 해주신 양파링멘토님 감사합니다!!!♡
투자자로서 실력을 키우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느끼게 된 강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