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안녕하세요 전생입니다.


이번 3주차 강의는 자모님의 강의였는데


C지역의 현 상황과 흐름을 복기하면서


알아가는 시간이였습니다.

 

1. 비입지 언덕 대비 세대수로 투자판단

 

C지역은 언덕이 많은 곳으로 1차,2차 언덕이 있고
입지 좋은곳은 언덕에도 수요가 있지만 
그렇지 못한 비 입지 언덕에는 1,2차 언덕을 봐야하고
제일 중요한건 비입지 언덕에 신축과 세대수가 많은지를 봐야
단지내 상가를 끌고 와야 편의성이 있으므로 
중요하게 봐야한다는 내용이 새로운 업데이트 
내용이라 인상 깊었습니다.

 

2. 공급이 정리되가고 있다.

 

C지역은 공급이 거의 정리 되가고 있으며 
공급이 있다해도 행정구의 전출입으로 
디테일하게 보면 공급이 많은곳도 
투자를 생각할 수가 있다고 설명해주셨고
실제로 월별로 공급을 이해하려고 
계속 노력중에 있어서 그런지 
이해가 확 와닿는 시간이였습니다.

 

3. 준신축과 구축도 같이 봐야한다.

 

신축이나 입지 좋은 대장급 단지들은 2년전에 비해
가격이 회복한 상태라서 준신축, 입지좋은 구축도 
같이 유의깊게 봐야한다고 설명주셨는데
입지 좋은 구축은 매매가가 높고 
전세가가 못받치는것도 있고 오래된 건물이라
투자금 + 수리비까지 나오면 감당이 안될거 같아
최종에서 빼고 보았는데 이제부턴 자세히 봐야할거 같습니다.

 

4. 지방은 입지등급순서가 안맞는경우가 많다.

 

수도권은 입지등급순서가 어느정도 맞지만
지방은 옛날부터 내려오는 커뮤니티 특징에 의해서
잘 안 맞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지역의 선호도를 반영한 입지분석(임장, 선호도파악)을 
반드시 해야 투자판단에 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

실제로도 시세옆에 입지등급순서를 넣을때도 
단지대단지 비교하면 매치가 안되는 순간이 종종있었는데
이렇게 말씀해 주시니 잘하고 있구나 하고 
안심했던 순간이였습니다.


5. 신축과 구축의 가격을 상중하로 나눠야 기억에 남는다

 

신축과 구축의 가격을 따로 그룹핑해서 상중하로 나누고 
각자의 가격대에서 금액이 날라가면 상과 중사이의 가격도 찾아보고
중과 하의 중간의 가격도 찾아봐야 기억이 많이 남는다.

 

이 부분은 특강으로 보완하면서 올초부터 계속 했던거여서 그런지

설명해주시는게 이해가 잘되는 순간이였습니다.

 

 

[자모님과 약속]
자모님 어쩌다 작년 1호기를 완벽하게 하지 못해서 
2호기는 종자돈은 모으면서 준비하고 있었는데요.


딱 얼마가 모이면 내년에 해야겠다고 계획까지 준비하고 있었는데
자모님 강의를 듣고 앞마당중에 소액으로 할 수 있는것들을 찾아서 
할수 있으면 해야한다는 말씀이 많이 와닿게 들려서 

계획 기간보다 좀 더 앞 당겨서 2호기 준비하겠습니다!


23년에 지기반 들었던 수강생인데 이번에도 많은 도움주셔서 감사드리며
좋은것만 보시면서 밝은 모습만 보이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주유밈
25.10.23 21:12

강의들으시며 힘드셨을텐데 과제제출 해내시느라 정말 고생많으셨습니다❤️❤️

그뤠잇v
25.10.23 23:15

완강 하시느라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