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도롱입니다.
지난주 부동산 규제와 함께
폭풍같은 일주일이 지났습니다.
(한달 같았던 일주일...)
최근 매매 계약을 하신 분도 계시고
근시일 내에 매수를 계획중인 분도 많으신 것 같아요.
주택을 매수할 때
주택가격이 6억이상이거나 규제지역에 집을 매수하는 경우 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하는데요.
최근 지자체나 한국부동산원을 통해
자금조달 소명 요청을 받는 사례가 꽤 있습니다.
큰 문제가 없더라도 막상 소명 요청을 받으면
혹시나 잘못되면 어떡하지..
라는 걱정이 커지게 되는데요.
제가 자금조달 소명을 위해
세무 상담도 받고 자료를 준비하면서
'매매할 때 미리 대비해뒀으면 훨씬 좋았겠다..'
하는 것들에 대해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자금조달 소명, 슬기롭게 대비하기
(매수 전부터 잔금 후까지)
이 글이 도움이 될 분들은요.
✔️ 매수 계획이 있는 분
✔️ 매수 진행중인 분
✔️ 최근 매수 잔금한 분
세 가지에 해당되신다면?
끝까지 읽어보시면서 지금 바로 준비하세요!

우선, 매매 계약 후 작성하는
자금조달계획서에 대해서는
아래 코쓰모쓰님의 글을 참고해주시고
자금조달 소명시에는 이전에 제출했던 계획서와 달라지는 부분을 설명하면 되기 때문에
계획서 작성시 사소한 부분에 대해
너무 큰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사실대로 작성!!)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자금 조달 관련해 문제가 되는 것들을 알아야
문제가 없도록 미리 대비할 수 있겠죠.
자금 조달 관련 문제될 수 있는 부분
1. 금융기관 예금액 등
추후 부동산 실거래조사시 입출금내역을 제출하는데요. 입출금내역 속에 당시엔 생각하지 못한 문제소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현금 등 그 밖의 자금
현금 등 출처를 명백히 증빙하기 어려운 자금은 불법 증여로 추정해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현금 대금 지급은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그 밖의 차입금
실거래 조사시 불법 증여를 집중해서 살펴보기 때문에 개인간 차용이 있는 경우 증여세, 이자소득세 납부여부를 주의해야 합니다.
이제, 무엇이 문제인지 알았으니
자금조달 소명에 대비하는
액션플랜 세가지를 말씀드릴게요.
1. 부동산 거래(계약금 등)
전용 통장을 확보하세요
자금조달 소명을 할 때
가계약금, 계약금, 중도금, 잔금 이체
앞/뒤 2주간의 이체내역을 제출하는데요.
부동산 거래용 통장을 미리 확보하지 않으면...
계약금, 잔금 이체 전후로 무수한 입출금(카드결제)과 간과하고 있던 현금입금(atm) 등으로
자금 소명 난이도가 올라가게 됩니다.
따라서, 매수 계획이 있는 분이라면
잘 사용하지 않는 통장 중에서
부동산 거래용 통장을 따로 확보해두시고
(이체한도가 충분해야겠죠!?)
생활비 사용은 다른 통장을 활용하시는 게
추후 자금 조달 소명시에 좋습니다.
2. 매매자금 관련 입출금은
전용 통장에서 하세요.
부동산 거래용 통장을 확보해두었다면
이제 매매대금의 출처가 되는 거래는 모두
전용 통장으로 하는 건데요.
예를 들어,
갖고 있는 자산(주식, 부동산, 보험 등)을 정리할 때
해당 대금을 전용 통장으로 바로 입금하는 겁니다.
그러면 1번 통장 입금내역에
주식이라면 증권사가
부동산이라면 매수자가
보험이라면 보험사가
찍혀있겠죠.
따라서 자금조달을 소명할 때
자금 출처에 의심의 여지가 줄어듭니다.
3. 차용증 작성시 빌려준 사람이
이자소득세를 내야합니다.
마지막으로, 간과하기 쉬운 부분인데요.
개인 간 차입으로 자금을 조달한 경우
차용증을 작성해야 하는데,
차용증 내용에 따라 이자를 지급할 때
이자를 받은 사람이 소득세(일반적으로 15.4%)를 납부해야합니다.
따라서 차용증을 작성시 돈을 빌려주는 분께
이자소득세에 대해 미리 고지하는 게 좋겠죠.
(현시점 무이자 차용 가능금액 2억 1700만원)
****************************************
자금조달 소명 대비하기
(매수 전부터 잔금 후까지)
1. 부동산 거래용 통장 확보하기
생활비 결제는 다른 통장에서!
2. 매매자금 입출금은 전용통장으로
자금 출처 투명하게
3. 차용증 작성시 이자소득세 주의
빌릴 때 이자소득세 고지하기
****************************************
오늘은 매수 전부터 잔금 이후까지
자금조달 소명에 대비해
반드시 챙겨야 하는 세 가지를 말씀드렸는데요.
규제로 혼란할 수 있는 시기이지만
노후대비라는 변하지 않는 목표에 맞게
할 수 있는 것들을 해나가시는
모든 분들을 응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