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빛나는 금요일을 만들고 싶은
윤이나입니다:)
어느덧 10월의 5주차입니다:)
환절기 감기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이번주 역시 전국적으로
매매, 전세가가 모두 오른 모습입니다.
자세한 부동산 분위기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0월 5주차 주택시장동향 조사결과입니다.
2025년의 42번째 KB시계열 자료입니다.
#KB시계열 #주간주택시장동향 #KB부동산 #KB통계
10월의 랜드마크 아파트 시세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https://weolbu.com/s/GmRzuqeIwQ
전국 랜드마크(대장) 아파트 순위 및 시세 (25.10_윤이나)
서울의 매매가 상승률은 0.49%
경기도는 0.15%로
서울은 상승폭이 커졌다가 (0.66%)
2주 연속 감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수도권 - 경기 역시
0.15%로 감소하는 모습입니다.
인천 매매가 증감률은 0.01%
전주와 거의 유사하게 보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5개 광역시에서는
울산 0.14%
부산 0.02%
광주 -0.01%
대전 -0.01%
대구 -0.02%
울산의 상승흐름에 이어
부산 역시 상승흐름으로 돌아선 모습입니다.
전국 평균 매매 증감율은 0.12%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대구는 지난주 하락을 멈추고 상승 전환했다가
이번주 다시 하락으로 돌아선 모습입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은 0.07%로
여전히 상승 흐름입니다.
서울의 전세가 증감률은 0.17%
경기는 0.08%
인천은 0.02%으로
모두 상승세입니다.
5개 광역시에서는
부산 0.10%
대구 0.08%
울산 0.06%
광주 0.05%
대전 0.0%
대구,부산,울산, 광주 모두
도드라져 보입니다.
전국적으로 전세증감은 0.07%로
상승률이 유지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KB부동산 주간 KB주택가격동향
(25.10.27)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번주 전국의
매매 상승지역은
동작구 1.27
광진구 1.02
성동구 0.96
마포구 0.96
서울 중구 0.82
양천구 0.80
동대문구 0.78
강서구 0.74
성남 분당구 1.08
성남 수정구 0.97
매매 하락지역은
부산 강서구 -0.24
부산 영도구 -0.12
부산 사상구 -0.09
평택 -0.21
동두천 -0.10
안성 -0.10
고양 일산서구 -0.09
이천 -0.09
포항 남구 -0.11
천안 동남구 -0.09
입니다
서울의 경우 상승률 0.49%대로
39주 연속 상승한 모습이 보입니다.
지방의 경우 부산 강서구,부산 영도구, 포항 남구의 매매가 하락이
눈에 띕니다.

이번주 전국의
전세 상승지역은
성남 수정구 0.64
하남 0.37
광진구 0.57
강동구 0.45
동작구 0.30
서초구 0.30
부산 남구 0.44
부산 동구 0.35
대구 중구 0.32
진주 0.30
전세 하락지역은
부산 강서구 -0.22
부산 사하구 -0.11
평택 -0.11
부천 오정구 -0.10
고양 일산서구 -0.06
시흥 -0.05
포항 남구 -0.10
포항 북구 -0.09
천안 동남구 -0.08
익산 -0.07
입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변동률은 0.07%으로
33주 연속 상승했습니다.
수도권은 0.10%,
서울의 경우는 0.17%으로 37주째
연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성남 수정구, 하남, 광진구, 강동구의
전세가 상승이 돋보입니다.
지방의 경우 지역마다 분위기가
다른데요.
이번주 돋보이는 지역은
부산 남구, 동구, 대구 중구등의
전세가 상승률이 도드라집니다.

매매 상승지역은
동작구 1.27%
광진구 1.02%
성동구 0.96%
마포구 0.96%
중구 0.82%
매매 보합지역은
금천구 0.0%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39주째 상승하고 있지만
오름폭은 2주째 둔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서울 총 25개의 자치구 중에서
한강라인 중심으로 20개의 구 상승폭이
감소되었습니다.
동작구(1.27%), 광진구(1.02%),
성동구(0.96%), 마포구(0.96%), 강동구(0.82%) 등이
상승률 상위지역입니다.
특히 동작구는 10.15 대책 발표 전 세낀 매물을 찾는 수요 급등으로 인해
매물이 소진, 매매가 급등의 모습을 보였으며
현재는 잠잠해진 모습입니다.

전세 상승지역
광진구 0.57%
강동구 0.45%
동작구 0.30%
서초구 0.30%
강서구 0.29%
서울아파트 전세가격은 37주 연속 상승하고 있는데요.
상승률은 전주 대비 소폭 증가했습니다(0.17%)
지역별로 광진구(0.57%), 강동구(0.45%), 동작구(0.3%),
서초구(0.3%), 강서구(0.29%) 등이 눈에 띕니다.
특히 광진구는 가을 이사수요, 근처 송파 재건축 이주수요로 인해
신규전세 물량이 줄어들면서
매매가격/전세가격이 오름새를 보입니다.


매매 상승지역은
성남시 분당구 1.08%
성남시 수정구 0.97%
하남시 0.71%
광명시 0.67%
용인시 수지구 0.66%
과천시 0.65%
매매 하락지역은
평택시 -0.21%
동두천시 -0.10%
안성시 -0.10%
경기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5% 상승하고있으며,
11주째 상승흐름을 보입니다.
이번주 역시 성남시 분당/수정구, 하남시,광명시가
높은 상승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성남시 분당구의 경우
매수매도가 모두 관망하는 분위기가 되면서
규제 전 거래가격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여전히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매매가는 상승흐름을 유지합니다.
그에 비해 평택시, 동두천천시는
하락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세 상승지역은
성남시 수정구 0.64%
하남시 0.37%
성남시 분당구 0.26%
광주시 0.26%
전세 하락지역은
평택시 -0.11%
부천시 오정구 -0.10%
고양시 일산서구 -0.06%
경기 아파트 전세가격 역시 0.08%의 상승폭을 보이고 있으며,
39주째 연속 상승흐름을 보입니다.
이번주 눈여겨볼 지역은
성남시 수정구, 하남시,
성남 분당구, 광주시입니다.
하남시는 송파구 가락/오금의 재건축 이주수요,
그로인한 전세수요 유입으로 인해
위례/미사 중심의 전세값 강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천(0.02%)은 4주 연속 오름새이지만
상승폭은 미미한 수준입니다.
그 외 평택시, 부천 오정구등은
이번주도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울산 0.14%
부산 0.02%
광주 -0.01%
대전 -0.01%
대구 -0.02%
이제 울산 뿐 아니라
부산 역시 서서히 오르고 있습니다.
장기간 하락세를 보이던 부산은
지난주 상승으로 돌아선 뒤
3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대구는 지난주 하락을 멈추고 상승 전환했다가
이번주 다시 하락으로 돌아선 모습입니다.
-
부산 수영구 0.37
부산 연제구 0.2
부산 동래구 0.07
부산 중구 -0.02
부산 강서구 -0.24
대구 중구 0.24
대구 북구 -0.03
대구 동구 -0.05
대구 수성구 -0.06
광주 북구 0.0
광주 서구 -0.03
광주 동구 -0.04
대전 서구 0.01
대전 유성구 0.0
대전 중구 -0.03
대전 동구 -0.07
울산 울주군 0.29
울산 남구 0.16
울산 북구 0.09
울산 동/중구 0.07
-
부산은 선호도 높은 동래구 / 수영구 뿐 아니라
연제구 / 남구 까지도 서서히 상승폭이 커지고 있으며
강서구의 경우 공급으로 인해 오히려 매매가 하락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대구의 경우에는 이번주에도
중구가 가장 큰 상승폭을 보입니다.
울산의 경우
여전히 모두 상승흐름을 보입니다.

부산 0.10%
대구 0.08%
울산 0.06%
광주 0.05%
대전 0.0%
5개 광역시의 전세가격은
8주 연속 오름세입니다.(0.07%)
전세가격 증감률에서
유의깊게 봐야할 곳은 여전히 부산, 대구입니다.
전세가 뿐 아니라
매매가 역시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
부산 남구 0.44
부산 동구 0.35
부산 동래구 0.22
부산 해운대구 0.11
부산 연제구 0.11
부산 진구 0.07
부산 강서구 -0.22
대구 중구 0.32
대구 수성구 0.18
대구 서구 0.07
대구 동구 0.06
광주 서구 0.12
광주 남구 0.06
대전 중구 0.03
대전 유성구 0.02
대전 서구 -0.01
대전 동구 -0.02
울산 동구 0.11
울산 남구 0.07
울산 북구 0.02
울산 동구 0.0
-
부산은 구에 따라
전세가 변동이 있는데요,
부산은 강서구를 제외한 모든 구
전세가가 상승하고 있으며
대구의 경우 중구를 중심으로
전세가 상승이 시작되었습니다.
수성구, 서구, 동구, 중구 모두 상승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광역시의 경우
매매/전세 동반 상승하는 곳이 많습니다.
투자 할 수 있는 기회는 여전히
많아 보입니다.

청주 흥덕구 0.03
청주 상당구 -0.02
청주 서원구 -0.03
천안 서북구 -0.06
천안 동남구 -0.09
전주 덕진구 0.18
전주 완산구 0.10
포항 북구 -0.05
포항 남구 -0.11
구미시 0.04
창원 성산구 0.2
창원 마산합포구 0.02
창원 마산회원구 0.0
창원 의창구 -0.01
김해시 0.04
-
중소도시 중에는
전주 뿐 아니라 창원 성산구,마산 합포구, 청주 흥덕구 가
높은 매매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천안의 경우 오랜 공급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매매가 하락세이며,
구미시의 경우 매매 상승흐름이 보입니다.
매매가가 하향조정되고 있는 중소도시들은
여전히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청주 상당구 0.02
청주 청원구 0.01
청주 흥덕구 0.0
천안 서북구 0.0
천안 동남구 -0.08
전주 완산구 0.01
전주 덕진구 0.09
포항 북구 -0.09
포항 남구 -0.1
구미시 0.03
창원 성산구 0.14
창원 마산합포구 0.12
창원 진해구/마산회원구 0.0
창원 의창구 -0.01
김해시 0.06
-
전주,창원,김해 를 제외하면, 대부분 도시들의
증감률이 0.0%에서 횡보를 보입니다.
도시별로 살펴보면,
청주의 경우 전세가가 보합하고 있습니다.
천안 역시 계속된 공급의 여파로
전세가가 동남구에서 하락
서북구에서는 보합하는 모양새입니다.
그외의 대부분 중소도시 전세가는
매매 하락 폭에 대비하여 안정적인 편입니다.
이번주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KB 시계열 활용법, 읽는 방법 :
https://cafe.naver.com/wecando7/7787174
※KB 시계열 200% 활용법(투자적용) :
https://cafe.naver.com/wecando7/11116742
<KB 시세 업데이트 일정>
※ [KB리브온] 지역별 집값 상승률(매매/전세 시계열) : 매주 금요일 업데이트
※ 전국 랜드마크(대장) 아파트 순위 및 시세 : 매월 첫째 or 둘째 주 업데이트
※ 매달 평당가와 전세가율 거래량은 아래 자료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