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투자공부인증

[월부학교 가을학기 🍂 메순간 퍼펙타클 한 투자8로워들 복댕이21] 칼럼필사 [프메페] 개발계획과 호재에 대해 살펴보기(+국토종합개발계획,도시기본계획,추천사이트)

25.11.07

[프메페] 개발계획과 호재에 대해 살펴보기(+국토종합개발계획,도시기본계획,추천사이트)

https://naver.me/FmVPPmOk

 

정리

1.상위계획에서 하위계획으로 일치하는지 확인하면서 정리

2.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계획 되어 있는지, 시행되고 있는지 단계를 확인

3. 기타 자료들을 첨부하고 단계마다 나의 해석과 더불어 마지막에 꼭 정리하는 나의 해석을 첨부

 

행동

도시계획에대한 생각만나열한건아닌지?

검증,해석 필요,맞고 틀린건 상관없다.생각하고 검증하는단계 중요!!

 

......................................................................…

2022.7.29.

안녕하세요

Practice Makes Perfect 프메퍼입니다.

임보를 쓰면엇 지역을 뽀개고, 개발 계획에 대해 어디서 어떤 정보를 얻어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험 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개발 계획은 해당 지역에 대해 어떻게 발전해 나가는지,

앞으로 어떤 생활권이 중심이 될 것인지 확인해보기 위해

살펴보는 유의미한 자료입니다!

 

 

[젊은우리] 실력이 제자리걸음인분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습관2가지

 

 

젊은우리 튜터님 칼럼에서도 개발 계획을 살펴보고,

본인의 해석과 생각을 넣어 인사이트를 얻게되는 것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셨으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여튼 그래서 정리했습니다. 개발 계획 호재 다뽀개버리기!!

 

 

쉽게 이해하기 위해 서울 동대문구의 청량리의 교통을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l 국토종합계획-가장 큰 줄기!

국토전역을 대상으로 하여 국토의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으로 2020년 1월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제5차 국토종합계획(2020~2040)이 최종 공고(대통령공고 제295호)되었습니다.

-------------------------

 

 

먼저 가장 큰 국토종합계획부터 살펴봅니다.

과거에서부터 4차,5차 국토종합계획이 이어져 내려오면서

해당 정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의 예시는 GTX에 대한 내용입니다!

 

 

-화면-

이를 토대로 교통이 중요한 수도권에서 GTX노선을 신설하는 것을

시행하고자하는 정부의 의지를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수도권에서 교통호재는 매우 큰 요소이기 때문에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서울도시기본계획(2030서울플랜)-두번째 줄기

각 지역 도시 기본계획

 

 

-화면-

다음은 해당 도시 지역의 기본계획을 살펴보면서,

큰 줄기를 그대로 이어나가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청량리는 2020 서울도시기본계획부터 2030도시기본계획까지 꾸준히 부도심으로

지정되고 있는 중요한 지역이네요!

그리고 철도교통 및 환승 역세권 잠재력을 활용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광역도시 철도 계획이 앞선 큰 줄기의 계획과 연계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죠?

 

 

기타 자료 및 본인의 해석-마지막 줄기

마무리는 나의 해석!

 

 

-GTX C노선도

 

 

기타로 참고할 만한 자료들을 함께 넣고,

마지막에 최종적으로 나의 해석을 첨부하면 개발계획 끝!!

 

 

해석은 틀려도 됩니다! 시도가 중요합니다.

GTX-C노선의 계획의 진행 척도와 더불어, 주위 아파트 단지의 가격 변화흐름

기타 다른 교통호재에서 보여주었던 지역과의 비교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보면서 인사이트를 쌓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로 개발계획 참고하기 좋은 사이트들도 추천드리겠습니다.

 

 

리치고

다울맵지도

아실의 개발탭

 

 

제가 제시한 예시는 교통 호재에 국한되어 있지만

신규 택지지구 개발이나 재개발 재건축도

마찬가지 흐름으로 정리하시면 됩니다.

생활권의 중심지 기능이나(지방에선 주로 직자잉 중요하겠죠?)

인구 배분계획 등에서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1.상위계획에서 하위계획으로 일치하는지 확인하면서 정리한다.

2.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계획 되어 있는지, 시행되고 있는지 단계를 확인한다.

 

3. 기타 자료들을 첨부하고 단계마다 나의 해석과 더불어 마지막에 꼭 정리하는 나의 해석을 첨부한다.


댓글


복댕이21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