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
함께할때 더 빛나는 함께하는가치입니다.
오늘은 처음 시작이 두려운 분들을 위해
몇가지 생각을 나눠보려고 하는데요 🙂
처음은 늘 누구에게나 어려운 것 같아요.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의 방향이 잘못되지 않았을까에 대한 두려움,
한 번도 해본적이 없는 일을 시도할때 우리는 늘 망설이게 되는데요.
나를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누군가에게 드러내고 평가받게 될 두려움 등
첫 시작은 우리에게 다양한 두려움을 마주하게 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우리 삶에서 '처음'은 결코 피할 수 없는 과정이기 때문에
제가 지금껏 봐왔던
처음 시작하는 일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성장하는
성장 마인드셋을 갖춘 사람들의 특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처음 해보는 일을 시작하려고 할때는
이미 앞에서 성공한 사람들을 따라해보는 것이
가장 쉽고 빨리 시작해 볼 수 있는 방법이였습니다.
생전 처음 해보는 일을 혼자서 시작하기에는
그 일에 대한 경험과 데이터가 제로인 상태이기 때문에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을 해야할지 막막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환경이 중요합니다.
목표로 향해 가는 방향을 크게 잡아가기 위해
목적지에 대한 자문을 구할 수 있는 멘토님, 튜터님들이 계시는 환경
그리고 그 길을 향해가면서 작은 문제들에 부딪힐때마다
한발짝 앞서서 길을 경험해본 동료나 선배들에게 조언을 구하면서
성공 공식을 그대로 따라해보는것이 경험상 가장 빠른 지름길이였습니다.
롤모델과 벤치마킹 할 사람이 바로 옆에 있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실전투자경험담, 전문가칼럼, 강의등을 통해서
앞서 경험해보고 성공한 사람들의 글과 강의를 들으며 따라해보아도 좋습니다.
궁금한점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Q&A게시판, 놀이터, 수강하는 강의의 톡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와 어려운점을 해결해나가시면 됩니다 :)
처음 일을 시작할때 저를 가장 망설이게 하는 것은 ‘완벽주의’ 였습니다.
쉽게 말해서 어떤일을 시작하기 전에 각이 안나오면 움직이지를 않는 사람이였는데요.
계획을 했다가 실패하는것에 대한 두려움과 막연함
내가 설정한 계획대로 되지 않았을때의 위축되는 마음 등이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저에게 행동을 가장 멈칫하게 하는 벽이였어요.
하지만 행동하지 않고 계획만 하다가 끝나버리니
늘 저에겐 발전과 성장이 없더라구요.
왜? 행동하지 않으니 경험도 실패도 성공도 없는게 당연한거였어요.
그래서 100을 하려고 하는게 아니라 오늘보다 1이라도 더 해보자,
처음부터 완벽해야겠다라는 생각을 내려놓는 연습을 의식적으로 하다보니
그 1들이 쌓여서 100을 만들게 된다는것을 알게 됐어요.
처음부터 완벽한 사람은 거의 0.00001%에 불과할거예요.
완벽해보이는 그 사람의 결과물보다 그 사람의 과정에 집중하면서
더이상 비교가 아닌 저 사람처럼 하면 나도 언젠간 되겠구나를 배웠어요.
시행착오와 실패경험을 통해 배우는 태도,
그리고 그 실패경험을 그대로 남겨두지 않고 꼭 성공경험으로 바꾸겠다는 의지로
꾸준히 개선시켜 나가며 처음부터 완벽하겠다는 마음을 내려놓는것이
오히려 결과에 더 좋은 영향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첫 시작보다 더 우리의 마음을 어렵게 만드는건
알면서도 해야하는 것, 한번 더 해야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도 있습니다.
이미 실패경험을 했는데 그 상처와 실패경험을 안고서도 한걸음 나아가야할때,
다시 나의 두려운 마음과 직면하고 마주할 것에 대한 용기는
처음 시작을 할때의 용기와는 다른 또 다른 용기를 필요로 하는데요.
처음을 넘어서고 실패를 안고 나아가는 과정속에서
나의 가능성과 된다는 확신, 새로운 나를 발견해나가면서
우리는 진짜 성장하게 되는 것 같아요.
제가 아는 성장마인드셋을 가진 사람들은
실패해도 위축되지 않고 한번 더, 한번 더를 외치며
끝까지 해내는 사람들이였어요.
어쩌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는 유일한 방법은
새롭게 도전하고 또 실패를 더 많이 해보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실패할때, 힘들다는 마음이 들고 위로받고 싶을때
자주 꺼내보는 영상이 하나 있는데요.
배우 조혜련씨에게 강호동씨가 해줬던 실패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오늘도 실패를 통해 성공의 과정을 해나가고 있는 여러분 모두 응원합니다 :) ❤️
이 모든것이 실패가 아닌 과정임을, 성장해나가고 있는것을 잊지마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