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추천도서후기

[돈독보] 워런 버핏 삶의 원칙_할 수 있는 걸 하는거야.

25.11.14

[돈버는 독서모임] 독서후기
 

✅ 도서 제목

 

워런 비핏 삶의 원칙

 

✅ 가장 인상깊은 구절 1가지는 무엇인가요?

  • 투자를 할 때 대부분의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얼마나 아느냐가 아니라, 오히려 내가 모른다는 사실을 정확하게 아는 것입니다.
  • 중요한 부분은 어떤순간이든 자신의 ‘능력 범위’를엄격히 지키는 것이다. 본인의 능력 범위 안에 있는 기업에 초점을 맞추고, 기업의 ‘가치’를 평가한 다음, ‘가격’과 차이가 커졌을 때 ‘살’ 기회를 찾는다.
  • ‘자신의 능력 범위 안에서 자기가 제대로 이해하는 기업에만 투자한다’라는 규칙이 있다. 그때 반드시 지키는 것은 능력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무리해서 능력 범위를 넓히려 하지 않는 것이다.
  • 성공에 필요한 것은 자신이 무엇을 잘하는지 알고 열정을 가지고 그저 한결같이 계속하는 것이다. 그러면 수중에 아무것도 없어도 B부인처럼 근사한 성과를 올릴 수 있다. 

 

  • 할 필요가 없는 일은 잘해봤자 의미가 없습니다.

 

  • 좋은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노를 어떻게 젓느냐가 아니라 어떤 배에 올라탈지를 미리 꼼꼼히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 진정한 투자자라면 자신이 군중과 정반대로 매매하고 있다는 데서 만족감을 느끼기 마련
  • 이해도 깨달음도 없는 행동은 실패를 부르거나 후회로 이어지기 쉽다. 버핏은 늘 충분히 이해하고 납득한 다음에 판단을 내린다. 그렇기에 실수도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 투자의 세계에서 다수결은 ‘마음의 위안’은 될지언정 성공을 보장해주지는 않을 뿐더러 리스크 관리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돈은 개인을 위해서가 아니라, 사회를 더 나은 곳으로 바꾸기 위해 쓰일 때 가치가 있다.

 

✅ 책을 읽고 알게 된 점 또는 느낀 점

 

내가 모른다는 걸 알고, 무엇을 아는지 아는 것. 그게 참 쉽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아는 게 많아질수록 모르는 것도 힐끗힐끗 보면서 아는 것마냥 느껴지고, 그러다 보면 몰라서 못한 것도 놓쳐서 못한 것처럼 박탈감을 느끼거나, 요행으로 잡은 기회도 실력으로 잡은 것으로 착각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결국 가장 중요한 건 복기인 것 같다. 선택을 내릴 당시 나의 앎의 범위를 적어 두고, 그 속에서 어떤 프로세스와 생각의 과정으로 결정을 내렸는지 남기는 것. 그러면 후에 앎이 넓어지고 깊어졌을 때, 나의 실력과 요행을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 아닐까 싶다. 

 

지금 나의 1호기 결과가 딱 그모양이다. 실력30+요행70. 한동안은 요행인 걸 온전히 못받아들였다. 아, 뭐 그래 20정도는 요행이지.. 그럴 수 있어.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그게 아니었다. “아, 매물털기라는 게 있는 줄도 모르고 했구나” “앞마당이 이것밖에 없었는데 했구나” “멘토님의 이런 말을 가뿐히 흘려 들었구나” 등등…ㅋㅋㅋㅋㅋㅋㅋ후…

실수도 긍정적으로 본다는 버핏의 자세를 따라… ‘우와~ 이제는 그러면 안된다는 걸 아는구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나에게 적용할 점

 

내가 할 수 있는 투자의 범위(투자금 + 감당 가능한 대출 안에서 = 최선의 단지)를 알고, 기준을 따라 간다.

내가 따라가는 투자의 기준이 대중과 반대로 갈 수도 있다. (많은 경우 반대가 될 것이다) 그럴때 마다 흔들리기보다는 판단 과정이 옳았다면 믿고 간다. 옳았으면 옳은 대로 뿌듯하고, 틀렸다면 틀린 대로 수정할 부분을 찾을 것이다.

그럴려면 복기를 잘해야지. 이달 말 2호기 잔금 하고 복기해야지.

 


댓글


온즐
25.11.20 14:02

검파님 덕분에 책에서 몰랐던 부분도 배우게 되어 감사합니다📚😀✨ 2호기 축하드리고 잔금까지 화이팅하셔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