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왔습니다.
국세청에서도 직장인 분들이 연말 소비 저축 계획을 세우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를 개통하였습니다.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하시면 예상세액을 계산해보실 수 있으니, 미리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경로 : 홈택스 → 장려금/연말정산/기부금 → 편리한 연말정산 → 연말정산 미리보기)
직장인 분들은 매월 급여를 받을 때 원천징수된 세금을 제외한 금액을 받게 됩니다. 연말정산은 이처럼 한 해동안 매월 미리 납부한 세금을, 각종 공제 항목과 세법 규정에 따라 정확하게 다시 계산하여 더 납부하거나 돌려받는 정산 절차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세법에 따라 적용 가능한 공제금액이 커질수록 돌려받는 세금은 커지고 추가로 내야할 세금은 줄어들게 됩니다.
이제 올해도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연말정산에서 공제 혜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절세 금융상품과 연말정산 대비 전략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연금계좌 활용법
연금저축이란?
연금저축은 세제적격 연금, 즉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적연금으로,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 다양한 금융기관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IRP란?
IRP란 개인형퇴직연금으로, 퇴사 시 받는 퇴직금은 의무적으로 IRP 계좌로 수령해야 합니다. 여기에 추가로 직장인 개인이 자기 자금을 납입 및 운용할 수도 있습니다. IRP 역시 금융회사에서 가입 가능합니다.
세법에서는 이러한 연금저축과 IRP를 묶어 연금계좌라 부르고 있습니다. 직장인들은 연금계좌(연금저축, IRP)에 가입하여 일정 금액을 납입하고 운용하다가 향후에 연금 형태로 수령하게 됩니다. 그리고 정부에서는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위한 대비를 장려하고자 연금계좌 납입액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연금저축에 납입 시 연간 납입액 600만원, IRP까지 포함해서는 연간 납입액 900만원까지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연금계좌세액공제라고 부릅니다. 공제율은 총급여액이 얼마인지에 따라 달라지는데, 총급여액 5,500만원 이하라면 16.5%, 총급여액 5,500만원 초과하면 13.2%의 공제율을 적용받게 됩니다. 만약 연봉 5,000만원인 직장인이 매월 75만원씩 연금저축 및 IRP에 납입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연간 납입액은 900만원이고, 세액공제율은 16.5%이므로 연말정산 시 148.5만원만큼 돌려받을 수 있게 됩니다.
연금계좌 세액공제 공제율 및 한도는?
유의하셔야 할 점은 연금저축과 IRP에 얼마씩 납입하느냐에 따라 공제금액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 이유는 연금저축과 IRP 각 납입액에 대한 한도금액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연금저축의 경우 연간 납입한도액은 600만원이며, IRP 연간 납입한도액은 연금저축 납입액과 합하여 900만원이 됩니다.
※ 공제대상 연간 납입 한도액

만약 매월 75만원을 연금저축에만 납입했다면 어떨까요? 연금저축 연간 납입액은 900만원이나 한도액은 600만원이므로 한도초과액 300만원은 공제받지 못하고 600만원에 대한 99만원(16.5%)만 공제받게 됩니다.

매월 연금저축에 60만원, IRP에 15만원을 납입한다면 어떨까요? 이 역시 연금저축 연간 납입액이 720만원으로 한도초과액 120만원은 공제받지 못하게 됩니다. 결국 연금저축 납입한도액 600만원과 IRP 납입액 180만원, 합하여 780만원에 대해 117만원(16.5%)을 공제받게 될 것입니다.

그럼 연금저축과 IRP를 모두 활용하여 최대치로 세액공제를 받고자 한다면 얼마씩 나누어 납입해야 할까요?
매월 50만원씩은 연금저축에 납입하고 25만원씩은 IRP에 납입하면 됩니다. 1년 간의 연금저축 납입액은 600만원, IRP 납입액은 300만원이며, 결국 납입액 900만원에 대한 세액공제를 최대로 적용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 경우 148.5만원(16.5%)을 돌려받게 됩니다.

정리하면, 연금저축과 IRP를 적절히 활용하면 연말정산 시 최대 148.5만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지만, 각 상품별로 납입한도액이 다르고 총급여 수준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는 유의하셔야 합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연말정산 대비에 가장 효과적인 절세 금융상품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칼럼에서는 오늘 살펴보지 못한 연말정산 공제 항목별 절세 전략에 대해 추가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유튜브 채널
▶ 네이버 클립
▶ 대표 블로그
댓글
안녕하세요. 김철종 세무사님!
좋은 글을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철종 세무사님의 글을 인기글로 지정하였습니다.
-월부 커뮤니티 운영진 드림-
어제의 인기글도 보고 싶다면? 👉 https://weolbu.com/community?tab=100144&subTab=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