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부동산Q&A

임장보고서 직장 데이터 기준 궁금합니다.

15시간 전

임장보고서 직장 등급 매길때

 

 

국세청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의  원천징수지 기준  근로자수

 

고용노동부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의  총 종사자수

 

데이터가 있는데 값이 좀 다르던데 어떤걸 기준으로 해야하나요?

 

 


댓글


지꿀
15시간 전

빙수님 안녕하세요~ 직장파트 근로자수 데이터 가져오기 부분에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직장파트에서 해당 지역에 있는 직장의 규모를 파악하고자 하신다면, 고용노동부의 총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우리가 직장파트에서는 '그 지역 안에서의 직장 규모'를 파악하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예시로, 본사를 서울에 둔 기업 대기업의 실제 근무처가 지방의 A지역에 있다고 하더라도 원천징수지 기준으로 볼 경우 그들은 A지역이 아닌 서울 본사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표시되는 등, '실제 근무중인 지역'과 데이터상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직장 파트를 통해 '그 지역 사람들이 출퇴근을 하는 수요'를 보기 위함이므로, 고용노동부 데이터를 참고하시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퓨미
14시간 전

수박빙수님 안녕하세요! 지꿀님께서 너무 완벽히 답변 주셨네요! 주소지상 차이가 있고, 신고여부의 오차가 있을 수 있어서 고용노동부의 데이터 참고 하시면 됩니다:) 임보작성 화이팅입니다!

새로움s
13시간 전N

안녕하세요. 수박빙수님 임장보고서 입지 부분을 쓰고 계시군요. 앞에서 이야기해 주신 것처럼 직장의 경우 그 지역이 아니라 본사에 원천징수지로 자료를 넣는 경우들이 있더라구요. 그런 경우 분명 좋은 일자리를 가진 지역으로 알고 있는데, 직장 내용이 빠지기도 하고, 종사자 수가 적게 나오기도 했습니다. 고용노동부 데이터를 보시는 것이 제일 확실할 것 같습니다. 임보 작성 화이팅입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