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기11기 매1 운0진 손잡고 1오나요 잇츠나우] 1주차 강의후기_'된다'는 마음가짐 하나로!

  • 23.08.05




안녕하세요, 부자가 되는 기회는 지금! 잇츠나우 입니다:)


지난달 자실을 마무리하고 다시 정규강의로 돌아왔습니다~

(짝짝짝)


이번 지방투자기초반은 첫 수강이 아닌 재수강이구요!

다시 수강하면서 마음 먹었습니다!!


첫 수강때는 지역에 대한 키워드를 파악하지 못했는데

이번에는 지역별 키워드를 얻어가자! 라고

하지만 이 원씽은 삐빅- 취소입니다.


그럼 어떻게?!

일공일오튜터님 덕에 다시 방향성이 잡혔는데요.

지투기에서는 지역에 대한 키워드를 외우는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닌

지역을 이해하는 프로세스를 배워가는 것이라는 것을!


그 말씀을 듣고 이번 강의를 재수강하면서는 프로세스를 이해하는데 집중해보고,

같은 강의를 들어도 지난 첫 수강 때 깨달았던 점과 사뭇 달라진 제 생각을 정리해보겠습니다.


STEP 1. '지방투자' 이해하기

지방에서는 무엇이 중요할까?


이전에는 '지방투자'라는 것을 '수도권투자'와 조금 다른 정도로만 이해했습니다.

그리고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를 그저 키워드로 외우려고만 했죠.


그런데 이번에는 조금 다르게 생각해보았어요.

지방에 사는 사람들은 살면서 무엇이 중요할까? 서울에 사는 나처럼 먹고 사는 문제에 급급할까?

지방에 사는 친구들을 떠올려보았습니다.


지방에 사는 내 친구들의 공통점

- 집과 자차가 있음

- 수도권에 사는 친구들에 비해 아이를 많이 낳는 편

- 직장이 멀어도 다 차타고 다님

- 시골보다는 택지지구로 변화한 곳에 대한 선호도가 엄청 높음


간단히 생각해보아도 수도권과 다를 수밖에 없는 환경들!


직장을 가기위해 편리한 지하철을 이용해야하는 수도권과는 달리

어차피 직장이 집과 멀어서 자차이용률이 높고, 집근처 마트가 있냐없냐, 택지지구냐 아니냐와 같이

지방은 오히려 사는 곳의 환경이 더 중요한 곳이었습니다.


그런 두 차이를 이해하고나니 보이는 부동산 사이클!

수도권과 달리 지방 사이클은 비교적 빨리 움직입니다.

그리고 상승장과 하락장을 오가는 동안 공급이 큰 영향을 주더라구요.

그것은 곧 수익률까지 이어지게 되죠.


정리: 각 지역마다 다른 부동산 사이클을 이해하고, 그 지역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공급이 얼마나 되는지 아는 것이 중요!


◎ 깨달은 점 → BM할 것

첫수강 > 왜곡되어 있는 가격을 알아보는 지방투자자가 되자. → 지역 특징 키워드 정리

재수강 > 지역마다 다른 부동산의 사이클을 이해하고 공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지역별 투자계절 파악, 공급물량 파악 후 지도에 올려보기(중심인지 외곽인지도 알면 좋을듯)


STEP 2. 지역의 개별성 알기

공식이 무엇인지를 알고 체계적으로 지역을 분석하기


각 지역마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곳과 그 곳의 규모, 선호도는 다 다른데요.

특히 강의에서 예시로 말씀해주신 A지역과 B지역의 비교는 너무 인상깊었습니다.


지역의 중심과 외곽이라는 것은 같지만

A지역의 외곽은 고급일자리와 가까워 투자가치가 있는 곳임에 비해

B지역의 외곽은 신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일자리가 적고,

아직도 개발할 땅이 많아 투자가치로서는 후순위라고 하셨습니다.


이 예시만 봐도 알 수 있듯 지역마다 개별성을 갖고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거주 수요를 위해 인구는 몇명인지, 일자리는 얼마나, 어디에 분포되어있는지

먹고사는 문제가 그리 중요하지 않은 지방 사람들은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 이해하는 사고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동안은 임보를 쓰기위해 데이터를 추출하고 등급을 매기는데 급급했다면

이제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서도 투자자로서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입지를 평가해야함을 깨달았습니다.


정리: 개별성을 가진 지역을 이해하고 투자자의 관점으로 정리할 것!


◎ 깨달은 점 → BM할 것

첫수강 > 손품+발품과정을 거쳐 지역을 이해하자. → 입지분석으로 낯선지역과 빨리 친해지기

재수강 > 데이터를 추출하고 입지평가를 하는 과정속에서 '투자자로서' 생각해보기 → 임보에 데이터를 토대로 생각 옮기기


STEP 3. 실력있는 투자자로 나아가는 법

지역의 투자사이클을 이해하고 확신을 가지고 버티기

생각없이 외우기만 하던 지역의 키워드,

그 키워드를 오랫동안 반복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 휘발되어 날아가버렸던 지난 날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워버리는 것이 속편하다며 계속해서 암기하려고 하는 저를 뒤로하고

강의 시작부터 계속 제주바다님의 사고의 흐름을 넣으려고 노력했어요.


전국적인 관점에서 00지역을 보고

권역별, 생활권별, 그리고 단지 간

이렇게 세밀화 되는 과정을 거치고나서

단지의 가치와 단지의 가격을 평가해보며 이제는 수많은 단지들 간

어떤 것이 저평가 되어있는지를 구분할 줄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과정을 반복해서 단지의 저평가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기회가 왔을 때 내가 잡을 수 있다는 제주바다님의 말씀!

"제발 투자하세요. 여러분 진짜 투자 안할까봐 제가 걱정입니다.

모든 조건이 갖췄을 때 투자하는 게 아니라 투자조건을 만드는 거에요."

제주바다님

이번 앞마당을 만드는 과정에서 제가 어떻게 행동해야할지 액션플랜까지 세워지는 명강의였습니다.


정리: 지역을 이해하는 과정을 거치고, 단지의 가치를 평가하기


◎ 깨달은 점 → BM할 것

첫수강 > 지역의 선호도를 분석하여 단지평가 후 1등을 뽑아보자 → 선호도에 따른 1등 뽑기

재수강 > 줌인으로 지도를 확대해본다는 생각으로 앞마당의 단지를 평가하고, 가격을 입히자

→ 이번 앞마당과 지난 앞마당을 비교해보고 저평가 된 단지 찾아보기




지난 지기 때 가계부를 정리하며 조금 놀란 적이 있습니다.

아니, 나는 투자하려고 임장만 다녀왔는데

어째서! WHY 텅장?


그 다음달, 다음달에도 한없이 쪼아야했던 제 허리띠..


겨우 한 달 지방임장 다녀와놓고

'이게 맞나? 내가 지방에서 싸고 좋은 물건 얻으려고 이렇게 임장비를 쓰는게 맞나?'

'지방투자자가 아니라 KTX VIP되려고 하는 과정인가...!'

혼자서 이런저런 생각을 하고 있었지만

그저 홀린 듯이 다시 재수강한 제게


"저도 그랬어요.

한달 육아비용 40만원 , 임장비용 100만원씩 쓰면서 저도 그런 생각했어요.

여러분, 이 지방임장비가 매몰비용이 되지 않으려면

여러분들이 제대로 보고 오셔야해요. 그리고 임보로 남기세요.

결과물을 만들면 돼요. 투자할 수 있도록 결과물을 남기세요."

-제주바다님-


띵 -


강의를 듣는 직전까지도 스스로에게 어리석은 질문을 한

제가 부끄러워지는 순간이었습니다.

제주바다님의 조금은 간절했던(?) 응원을 듣고

그동안 저도 모르게 했던

공부를 위한 공부,

학습을 위한 학습

재수강 때는 같은 실수 하지 않도록 저멀리 날려버렸습니다!


"나 잇츠나우야"


단지에 대한 확신을 가지기 전

스스로에 대한 확신을 먼저 장착하고 시작해봅니다.

이건 되는 게임이다. 단, 내가 마음먹기에 달렸다!


이번 지방투자기초반도 끝까지 잘 완수해보겠습니다!


♡긴 시간 명강의해주신 제주바다님 감사합니다♡





댓글


리치레이첼user-level-chip
23. 08. 08. 08:53

컥... 이렇게 긴 강의후기/ 너무 정성스럽네요~~~ 반장님 후기 bm해야겠습니다. ^^ 고생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