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자가로 B지역에 살고 있습니다. (21년 11월 매수)
맞벌이중이고 배우자는 A, 저는 C로 출근중이라 B지역에 살고 있었는데
신랑이 프리랜서로 바뀌면서 재택근무를 하게 될 예정입니다.
C지역이 B에 비해 상급지라 이쪽으로 이동을 하고 싶은데
현재 집 가격이 팔기엔 가격이 좋지 않아 전세를 주고 이동을 할까 싶습니다.
이동했을때 장점은
1.회사랑 가까운 곳으로 이동해서 출퇴근 시간을 줄일 수 있고
2.입지가 더 좋은 곳으로 나오는거라 여러모로 생활이 편리해 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이라고 생각되는 점은
1.아무래도 주인세대로 사는 것보다는 전세낀 물건이 가치가 덜해 매도시 불리할 것 같다는 배우자의 의견
2.지금 집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데 이동 거주지 환경이 좋지 않을 수 있어서 굳이? 라는 생각
3.자녀가 다니는 학교가 가는 길도 안전하고 학교도 좋은데
C지역에서는 가격과 학군을 같이 봤을때 만족할만한 곳이 잘 나오지 않습니다.
매도에 대한 의사 결정에 대해서는 기준? 같은걸 들어서 알겠는데
거주지 이동은 기준점이 없어서 애매합니다.
여러분들의 의견을 들어보고 싶어요~
부탁드립니다~
댓글
미스송씨님 안녕하세요. 실거주 전세를 주고 새로운 전세집으로 이사가는 것에 대한 기준이 궁금하시군요 ! 이 부분은 개인의 상황에 따라 이유나 기준이 다 다를 것 같습니다. 가용 자금 만들기, 대출 부담 감소, 개인적인 선호, 학군 등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이 중 미스송씨님의 경우는 개인적인 선호로 인한 상급지 거주라 볼 수 있겠네요 ! 그렇다면, 지금처럼 장단점을 잘 생각해보시고 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현재 집의 전세 가격을 기반으로, 이사하고자 하는 집의 전월세 가격 범위를 정해서 집을 알아보시면 좋겠습니다. 좋은 선택하시길 바랄게요 ! 미스송씨님 화이팅입니다 ~!
안녕하세요~ 미스송씨님 거주지 이동을 생각하고 계시는군요 매수해서 가시는게 아니니까, 자산의 가치 상승을 고려하지 않는 전월세 이동으로 생각한다면 저라면 철저하게 저와 가족들의 거주적 편의를 감안할 것 같아요~ 직장에서 가깝다던지, 좋은 환경이 있다던지, 나와 우리 가족이 원하는 거주지의 조건을 잘 갖춘 곳으로요~ 우선 매도는 감안하지 않고 생각하신다면, 직장 근처 C지역으로 지금 옮기실 필요가 있을까 하는 고민이신 것 같습니다. 지금 거주하시는 곳에서 옮기는 비용(이사, 환경의 변화, 생활의 변화 포함)을 감안할 만큼 이사간 이후에 출퇴근 시간의 단축과 생활의 편리성이 큰가요? 적어주신 것을 봤을때에는 그런 느낌이 아닌것 같아서요~ 아이가 있다면 아이의 학교를 가급적이면 옮기지 않는 방향을 보게 되니(물론, 상황에 따라 옮길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라면 입학 전에 결정한다는 생각으로 볼 것 같고요, 장기적으로 C지역에 거주하시려는 의사가 확실하신거라면 조금 불편하더라도 그 지역으로 옮겨 가셔서 갈아타기를 하실 방법을 찾을 것 같습니다. 가족과 잘 상의하셔서 좋은 선택 하시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