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 사요마요
저자 및 출판사 : 김현준, 위즈덤하우스
읽은 날짜 : 2024.3.9~3.18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경제적 해자 #제무제표 #메가트랜드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 8.5점
저자 김현준 대표는 브이아이피투자자문과 키움증권을 거쳐
현재 더퍼블릭자산운용 공동 창업자 겸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다.
월부에서 주식강의를 하고 있으며, 본인 채널 꿀직장TV를 운영중이다.
신간 사요마요는 주린이들이 궁금해하는 40가지 질문을 통해 초보자가
주식 공부하는 방법과 주식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 쉽게 풀어 설명한 책이다.
part1. 언제 살지는 알겠는데 언제 팔지를 모르겠어요
주식 매수와 매도는 한꺼번에 일어나는 행위이다.
주식 매수는 기업의 적정 가치를 계산하는 작업에서 출발한다.
적정 가치보다 낮을 때 매수해서 적정 가치에 도달했을 때 매도해야한다.
■ 주식을 살때의 의사 결정 과정
1)이 기업(주식)의 적정 가치(주가)는 **이다.
2)그런데 지금 이 기업 가격(주가)은 그보다 훨씬 낮은 **원이다.
지금 이 기업을 사서 기다리면 **% 수익률이 예상된다.
3) 이 수익률은 내 기대수익률보다 높으므로 산다.
4)(선택적) 역사적으로 주식시장 참여자들의 행태를 볼 때
이 기업 주가가 적정 가치에 도달하는 데는 OO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고
그 이벤트는 XX개월 정도 걸릴 것 같다.
part2. 꼭 읽어야 하는 투자서 좀 알려주세요
Lv. 0 - 재테크 좀 해보자
<부의 추월차선>, 엠제이 드마코
Lv. 1 - 주식투자를 해야겠어!
<가치투자의 비밀>, 크리스토퍼 브라운
<경제적 해자>, 팻 도시
Lv. 2 - 가치투자, 너무 합리적인 방법인데?
<투자를 어떻게 할 것인가>, 모니시 파브라이
<보수적인 투자자는 마음이 편하다>, 필립 피셔
<부자들은 이런 주식을 삽니다>, 김현준
<위대한 기업에 투자하라>, 필립 피셔
<작지만 강한 기업에 투자하라>, 랄프 웬저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피터 린치, 존 로스차일드 공저
Lv.3 - 직접 기업 분석을 해보자
<슈퍼 스톡스>, 켄 피셔
<어닝스, 최고의 주식투자 아이디어>, 김현준, 정호성 공저
<워렌 버핏처럼 사업보고서 읽는 법>, 김현준
<주식 가치평가를 위한 작은 책>, 애스워드 다모다란
Lv.4 - 이제 나도 수준급 투자자
<경제를 읽는 기술>, 조지프 엘리스
<노마드 투자자 서한>, 닉 슬립, 콰이스 자카리아 공저
<워런 버핏 바이블>, 워런 버핏, 리처드 코너스
<워렌 버핏이 선택한 CEO들>, 로버트 P. 마일스
<집중투자>, 앨런 베넬로, 마이클 밴 비머, 토비아스 칼라일 공저
part3. 남들이 좋다고 하면 그제야 사고 싶어져요
나만 못 벌고 뒤처지는 걸 두려워하는 불안심리가 '못 먹어도 고'를
외치며 베팅하게 만들지만 주식은 안 사면 안 잃는다. 확실한 기업에
확실할 때만 투자해도 부자가 되는 데 지장 없다. 훌륭한 사람을 롤 모델로
삼는 것은 좋지만 남들과 비교하고 분위기에 휩쓸려서 주식을 매수하면
벌었던 수익을 모두 반납하고 손실을 볼 수도 있다.
버핏은 2020년 버크셔 해서웨이 연차 보고서에서 2가지 교훈을 줬다.
첫째, 대형 우량주를 맹목적으로 믿지 말라.
둘째, 어떤 기업이 과실을 따 먹을지 알 수 없다.
part4. 제무제표를 제대로 공부하고 싶어요
주식투자라는 나라에서 쓰는 언어는 회계와 재무제표이다.
재무제표를 공부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내 생활에 빗대
생각해 보는 것이다.
하지만 이보다 더 빠르게 제무제표를 공부하는 방법은
아마도 덜컥 주식을 사보는 것이다. 언젠가 주가가 출렁거리면
재무제표를 뒤적거리고 기업이 투자 아이디어대로 움직이고
있는지, 장사는 잘하고 있는지 찾아보게 된다.
주린이로서 궁금했던 질문들이 책 내용과 겹쳐서 궁금증이 어느 정도
해소되었고 진짜 필요한 답은 공부해서 스스로 찾아야 한다.
주린이에 맞춰 쉽게 풀어낸 설명으로 이해하기 쉬웠고
공부하는 방법과 순서에 대해 알게된 것도 유용했다.
블로그나 뉴스기사, 증권회사 어플에서 제공하는 정보 등을 보고
투자 종목을 선택하고 과거 차트와 최근 주가추이를 보고
가격을 판단해서 하락할 때 주식을 매수하고 손실이 난 주식은
비자발적으로 장기투자를 하고 있었다.
재무제표를 확인한 후 그 회사의 가치에 따라 매수 가격과
매도 가격을 동시에 정해서 투자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고
그동안 허투로 쉽게 투자를 결정했다는 것을 느꼈다.
(P. 89) 주식에 투자할까요, 부동산에 투자할까요?
부동산 투자에 필요한 투자금 마련을 위해 주식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지만 주식투자도 공부를 많이해야 하고 주린이, 부린이
입장에서 둘다 공부하기는 벅차다. 둘다 병행하는 노하우나
포기하고 하나만 선택해야할 지에 대해 논의하고 싶다.
-> 부자들은 이런 주식을 삽니다.
->제출완료
댓글
앗스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