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서울/경기도 급지 구분?
안녕하세요, 이제 갓 부동산 공부에 입문하고 이것저것 강의 들으면서 공부하고 있는 뽀꽝입니다! 얼마전 너나위님 부동산 챌린지 이후 자모님의 3000만원으로 시작하는 부동산 투자법 수강중인데, 급지 구분 관련 궁금한 것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월부에 글 올리시는 분들 보면 서울 5급지, 등등 에서 → 2급지 갈아타기~ 이렇게 00(숫자) 급지로 표현을 많이 하

2025년 최저시급 1만 30원. 시급 일급 월급 연봉은 얼마?
2025년 최저시급 1만 30원. 시급 일급 월급 연봉은 얼마? 안녕하세요. 직장인들의 친구, 월부에디터 입니다. 다음 해의 최저시급은 보통 그 해 말이 아닌, 7~8월 여름으로 한 해의 중간쯤 발표됩니다. 그래서일까요? 발표가 나면 “내년 최저시급이 얼마래!” 라고 잠시 떠들썩 해지고, 우리는 금새 잊어버립니다. 그러고는 연말에 다시 검색해서 찾아보곤 하


[너바나]부동산 투자는 세금이 너무 많지 않나요?
부동산 투자는 세금이 너무 많지 않나요? 재테크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듣는 질문중에 하나가 세금부분이다. 그분들의 요지는 부동산은 세금이 많지 않느냐는 우려이다. 이렇게 많은 분들이 질문해온 요지는 '부동산은 세금이 너무 많다. 그러므로 투자처로는 별로이다.' 세금을 비교했을 때 다른 투자처가 낫다는 이야기 일 수도 있다. 부동산이 다른 투자처에


자산으로 월급을 만드는 방법
안녕하세요. 주우이입니다. 투자를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누군가 저에게 물었습니다. “주우이님은 목표가 어떻게 되세요?” 저는 웃으며 대답했습니다. “제 목표는 월세를 받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아는 월세가 아니라 전세를 월세처럼 받고 싶어요.” 월세가 매달 나오듯 저는 전세로 임대한 아파트를 24채 가지고 있으면서 매달 하나씩 전세 계약을 한다


[용용맘맘맘] 지금 투자하고 싶으시다면 00을 반드시 알아야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월부 워킹맘 투자자 용용맘맘맘입니다. 선선해진 날씨에 다들 감기는 괜찮으실까요? (다들 비염으로 고생많으시더라구요) 여러분! 지난 9월부터 10월까지 네이버 가장 많은 헤드라인을 장식했던 주제제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바로 “대출 규제”입니다. 지금도 아주 핫하죠죠 실제 본격적인 가계대출규제가 9월부터 약 한달이상 이어오면서 최근에는 헤드라인


분양권이 2개일 때 활용할 수 있는 비과세 전략
분양권 좋아하시죠? 새아파트를 받을 수 있고, 여차하면 투자용도로 잘 활용할 수 있으니 말이죠. 그런데 여기에는 항상 붙는 것이 있는데 그건 바로 세금입니다. 특히 보유기간 동안의 양도차익에 대해서는 ‘양도소득세'가 붙는건 다 아실텐데요, 이 양도세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즉 ‘비과세'를 받으면 참 좋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분양권을 2개 보유할 때 활용할

요즘 초품아보다 더 뜨는 아파트, 병품아를 아시나요?
[ “초품아” 보다 뜨고 있는 “병품아”를 아시나요? ] 여러분은 퇴직을 하고 나면, 어디에서 살고 싶으신가요? 공원이있는곳? 한강이 보이는곳? 백화점이있는곳? 초등학교를 품고 있는곳? 보통의 가정들은 직주근접이 되는곳이나, 혹은 아이의 교육에 맞춰서, 초등학교.중고등학교를 보내기 위해 주거지를 옮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보니 회사를 그만두고 나


전세사기 당한 집 매수해서 월세 받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쭈운입니다 🤓 2022년부터 수면 위로 떠오른 전세사기 피해 사건으로 아직 고통 받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사실… 숨겨왔던 비밀을 하나 말하자면, 저희도 전세사기 피해자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남편이 피해자인데요. 2022년 12월부터 고통을 받다가, 전세사기 당한 집을 경매로 낙찰받고 배당금을 받으면서 올해 5월에 사건이 종료됐어요. 그리고

[식빵파파] 지방투자에서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는 단지들의 특징
안녕하세요 식빵파파입니다 :) 무더운 여름이 진짜 언제가나했는데 정말 아침 저녁으로는 선선한 바람이 부는 요즘입니다 무더운 여름날 임장다니시느라 모두모두 고생많으셨습니다^^ 오늘은 지방 투자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요즘 어딜가나, 많이 이야기 되는 곳이 바로 서울 수도권이죠~ 하지만, 나의 투자금 상황에 맞춰 지방투자를 우선시 보셔야하는 분들도


분양권 때문에 취득세 폭탄! 양도세 폭탄! 두 번 세금 폭탄 맞았어요 ㅠㅠ
신축 아파트, 좋아하시죠? 오죽하면 ‘얼죽신(얼어죽어도 신축)’이라는 말까지 나올까요? 그렇다면 신축 아파트를 취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총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 이미 지어진 물건 중 가급적 5년 이내 준신축을 취득하는 것입니다. 곧바로 신축 아파트를 취득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이 부담입니다. 둘째, 재개발, 재건축과 같은 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