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경험담

시세스캐닝은 언제, 어떻게 하는거에요? 4단계로 쉽게 따라해보세요~

  • 24.05.28



"

투자 물건을 찾고 있는데

어떤것을 더 해야 찾을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


투자 물건을 찾고있는

후배님의 질문이 있었는데요

시세트레킹에 더해

루틴으로 투자 물건을 찾을 수 있는

시세스캐닝 하는 방법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___



안녕하세요.

열정 만수르 세르정입니다




시세트레킹을 매달 진행하지만

제가 실제 투자 물건을 찾고 다닐때 !

시세스캐닝을 더 자주니다


네이버 부동산에서 어떤순서로

시세스캐닝을하고

어떻게 정리해서 매물을 찾는지

아래 방법을 따라해보세요~




시세스캐닝 방법



① 필터걸기


네이버 부동산을 열면

상단에 필터 부분이 나오는데요


이 영역에서 필요한 부분은

감당가능한 금액대를 아는 것 입니다




저는 3억후반까지 잔금이 가능하지만

등록된 매물보다 가격을 네고해주는

여지를 두기위해서

5천만원 정도 높여서 필터를 설정합니다





② 좋은 생활권부터

하위로 내려오면서 체크


같은 투자금이라면

더 좋은 단지에 투자해야 합니다


그래서 스캐닝도 좋은 단지부터

기회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울산 사례를 통해 말씀드리려 하는데요



필터에 걸린 단지중에

좋은 생활권+좋은단지부터

확인합니다



단지의 매물 스캔하는 방식은

아래 4step으로 진행합니다





필터 : 낮은가격순 / 동일매물묶기를 선택


신정동에 있는 선호단지

신정미소지움2단지를 살펴보면요


전세호가는 2.6억에

전세 갯수는 1개 나와있네요

최저 매매는 3.9억으로 보입니다

1.3억의 투자금이 드네요~



해당 투자금 드는 것이 맞는지

실거래가격을 확인합니다






최근 거래가 2.5억에 나갔었네요

지금 전세가 1개 있으니

2.6억에 나갈수도 있지만

부사님께 확인 해야겠습니다


전세 실거래를 보니

투자금은 1.3억~1.4억

들 것 같다고 예상됩니다


현재 최저 매물이 3.9억이었으니

매매로 넘어가서 최근 실거래를 확인합니다



최근에 저층이 3.7억

중간층 3.95억 / 고층 4.1억에

거래가 된 것을 확인 되었습니다


3.9억에 최저금액 매물은 10층이었는데..

최근 거래대비 적당한 상태의 매물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오~ 올확장에 리모델링이 되었다네요

그럼 다른 매물 대비 전세 맞추기

수월 할 수 있겠어요


혹시 최저가 물건이 아니더라도

투자금을 더 줄일 수 있는

더 좋은 조건의 매물이 있는지 체크합니다






2.2억 전세안고 매물이 있지만

지금 전세가보다 낮기 때문에

투자금이 더 드는 상황이네요

제외 제외..


이렇게 한개의 단지가 끝나면요

신정미소지움은 투자금 1.3억이 들고

매매 3.9/전세2.5억이구나~

내용 정리합니다



하지만 제가 가용 가능한 투자금은

7천만원이기 때문에

해당 단지를 "정리파일"로 적지 않습니다


만약 1.3억이 투자 가능한 가격대라면?

"정리파일"에 리스트업 해야하는데요

아래에서 어떻게 하는지 말씀드릴께요





③ 단지별 4step 반복


위의 단지별 4step을

선호 생활권 내 선호 단지 순서로

반복 체크합니다

옥동이 끝나면 신정동..

신정동이 끝나면 야음동..

야음동이 끝나면 무거동..


그렇게 하시다보면

상위 생활권부터 거래되는

전세금액의 흐름을 파악할수도 있고

더 좋은 단지에 더 싼 매물이 없는지

찾을 수 있습니다






"정리파일"에 타겟 단지 정리


이렇게 모든 단지들을 스캔하면요

내가 매수 가능한 투자금 범위에 들어오는

타겟 단지들이 생기는데요


그 중 저평가 되었다고 생각하는 단지를

"정리파일"에 따로 리스트업합니다

저는 어디서든 볼 수 있게 스프레드시트로 정리해요

(아래 내용은 예~~전에 했던 리스트업으로

스캔한 단지들 모두 한 파일에 누적해서 적어둡니다)



확인날짜 / 지역 / 단지 / 매매가 / 전세시세 /

목표매수가 / 전임 후 정보 / 링크

이렇게 정리하는데요


위 리스트업 후에는 반드시 전화임장하셔서

매물의 상태 혹은 가격을 현실화 하셔야 합니다

전세 가격이 달라질수도 있고

매매가격이 이미 네고가 되어있을 수 도 있어요





Q&A


이렇게 시세스캐닝의 방법을 말씀드렸는데요

관련 궁금해하시는 내용을 정리해봅니다


Q : 이 과정을 얼마나 자주해요?


A : 정답은 없어요~

지역을 달리하면서 매일 할수도..

주1회 하실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를 염두해 둔다면

시간을 정해두고 루틴처럼 해보세요~




Q : 시세트레킹 말고 스캐닝은 언제해야해요?


A : 시세트레킹은 월 1회 진행하고요

스캐닝은 수시로 합니다

시간 날때마다 핸드폰으로도 하는데요

아래처럼 정리 한 뒤 전화임장 합니다

투자금에 들어오는 매물을 화면캡쳐

→ 카카오톡 "나에게 보내기"

→ 컴퓨터 앞에 있을 때 "정리파일" 옮기기




Q : 너무 오래 걸려서 못하겠는데요


A : 처음에는 오래걸릴 수 있지만

같은 지역을 반복하시다보면 싼 가격의 감이 잡히고

내가 보았던 전세 혹은 매매가 거래되고 있는지 아닌지

최저 매물이 새롭게 나온것은 없는지

지역에 대한 이해가 누적되어

좀 더 빠르게 하실 수 있어요



____



오늘은 투자 물건을 찾는데

루틴처럼 하는

시세스캐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위의 스캐닝에 더해서

"정리파일"에 들어가 있는 단지를

모바일에서 알람 설정하시면

다른 지역의 시세스캐닝을 하고있어도

신규 매물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받으실 수 있기때문에

누구보다 빠르게 급매가 나왔을 때

전화해보실 수 있습니다





내용은 길지만 한번 익히고 나면

쉽게 따라하실 수 있어요~

하나씩 따라해 보시면서

투자 매물 찾으시길 응원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글을 남겨주신 멤버에게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로 감사함을 나눠주세요. 😀

댓글


디그로그
24. 05. 28. 06:52

튜터님 감사합니다 🩷

둥댕
24. 05. 28. 06:53

항상 막막했던 부분을 순서대로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너츠
24. 05. 28. 06:54

튜터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