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시세 스캐닝을 하고 싶은데
시세 파악하랴
엑셀에 옮겨적으랴
저평가도 뽑으랴
이미 꽉 찬 하루에
추가할 엄두가 안 나
미루고 계시진 않나요?
들숨에 네이버
날숨에 호갱노노
를 봐야 한다고 하는데
책상에 앉아 시세를 보려니
매일의 할일에 치여
'시세 확인'은 가장 후순위로
밀리게 되더라구요.
저처럼 시세를 보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신 분들께
요즘 제가 매일
시세를 확인하게 된 방법에 대해
말씀드려보겠습니다.
1등뽑기를 위해
시세를 조사하다 보니
단지별, 평형별 전수로
'정확한' 매매/전세 시세를
확인하려고 했습니다.
▼시세 확인 과정▼
단지 '매매' 클릭
20평대 타입들 클릭
낮은 가격순 클릭
저층 넘기기 스크롤
전세 체크박스 클릭
저층 넘기기 스크롤
30평대 타입들 클릭
전세 체크박스 클릭
최소 8번 이상의 동작이
필요하다보니
한 지역 시세 확인하는 데에
시간은 오래 걸리고
기억은 못 하고 있었습니다.
저는 그동안 시세를
앞마당 1등뽑기를 위한
전수조사 도구로 보았습니다.
그래서 월초에 보았든
중순에 보았든
당시에 본 시세를
전수조사 파일에
기입하려고 했어요.
그렇게 시세보기의 허들을
스스로 높여놓고
행동하지 못하도록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그동안 마음의 짐이었던
'정확한 시세 따서 엑셀에 옮기기'
를 내려놓았습니다.
평소와 같이
세대수/평형 필터를 설정하고
네이버 부동산에 뜬
보라색 매매시세를 봅니다.
(평균 시세라고 합니다)
매매 물건, 전세 물건
정확한 최저가를 파악하기보다
PC로 스캐닝하신다면
마우스를 갖다대며
최저가 금액도 알 수 있습니다.
투자 검토 지역이 아니라
매물 하나하나 확인하지 않고
대략적 금액을 파악합니다.
모바일도 PC버전으로 설정해
시세를 스캔하는데요.
처음 페이지에 진입시 설정된
'매매평당가'를 '전세가율'로
변경하는 건데요.
매매가 13억에 전세가율 48%면?
매매가 평균 13억이니까
최저가 기준 12억대
전세가율이 50% 약간 안되니
투자금은 (12억대×50%)
6억대겠구나.
라고 생각해볼 수 있겠죠.
▼모바일로 PC버전 네이버 부동산에
접속해볼게요.
먼저 크게 보면서 가장 좋은 단지부터
내가 생각한 단지의 선호도 순서대로
매매가를 살펴보며
저평가 단지가 있는지 파악하고,
단지별로 전세가율을 확인합니다.
그라시움은
평균 매매가 13억에
전세가율 48%니까
투자금은 13억×(50+2)%
= 6억대
고덕센트럴푸르지오는
평균 매매가 10억에
전세가율 63%니까
투자금은 10억×(40-3)%
= 4억전후
오차범위는 있지만
대략적인 매매가격과 투자금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20평대, 낀평형, 30평대
각각의 시세를 보면서
가격의 순서와 감을 익히는데요.
한 지역을 보는 데에
15분 정도 소요됩니다.
참고로 모바일에서
PC버전 네이버부동산을
보는 방법은 아래의 나눔글을
참고해주세요.
네이버부동산, 기계적인 비교평가를 연습하는 시스템 만들기(Feat.젊은우리튜터님) [가우리s]
(가우리 튜터님 감사합니다♡)
'정확하게 시세를 외우기'가 아니라
이라는 걸 받아들이고
시세 스캐닝을 일단 시작하고
매일 습관처럼 하다보니
오늘 알려드린
시세를 보는 아주 작은 방법
'지도 시세 & 전세가율'을 활용해
시세를 보는 것에 부담감이나
허들을 내려놓고
'시세의 흐름을 아는 앞마당'을
넓혀가시면 좋겠습니다.
"가격이 머리에 들어올 때까지
시세를 반복해서 봐야해요.
시세를 꾸준히 보면서
가격 흐름을 알아야 해요."
-한가해보이 멘토님-
잘못된 생각과 행동을
늘 바로잡아 주시는
한가해보이 멘토님
감사합니다.
좋은 글을 남겨주신 멤버에게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로 감사함을 나눠주세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