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부동산Q&A

부동산공식 4강 질문

24.08.01

 

안녕하세요:) 부동산 공식 4강을 듣고 문의합니다.

 

1.임장을 가면 매매가 전세가를 알려면 부동산을 찾아가야하나요?

실제 매매가와 전세가를 알려면 부동산이 젤 정확할거 같은데

부동산에서 게속 시간을 내눌까요?

 

아니면 호객@@ 네이버@@@ 이란곳에서 찾나요?

 

2. 전세가 많으면 매매가 맥을 못추긴다 라는말 이해가 안가요

전세가 즉 수요가 많으면 매매할 사람 안판다? 공급이 적다는 말인가요? 

전세가 많다는건  그만큼 수요가 많다는건데 (쉽게 전새자를 구할수 있을텐데)

 굳이 전세가 들어있는 매매를 사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월부 앱 설치하면 남겨주신 질문에 답변이 달리면 알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앱 추가 방법 : 공지사항 > 신규멤버필독 게시판을 참고하세요!


댓글


우도롱
24.08.01 17:22

안녕하세요 구예솔님 :) 강의를 듣고 궁금한 점을 해결하기까지! 행동하시는 모습 멋지십니다~!! 1. 매매가와 전세가 매매 매물의 가격(호가)은 네이버부동산, 지역 부동산 사이트(한방, 교차로 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여러 단지의 시세(호가)를 빠르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통 네이버부동산에서 확인하고, 몇개 단지의 정확한 시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부동산에 전화하거나 방문합니다. 인터넷에 올려둔 가격과 실제로 집주인이 거래하려는 가격은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2. 전세물량 일반적으로 전세물량이 많으면, 전세를 구하는 사람(수요)보다 전세물량(공급)이 많아 가격이 시세보다 저렴한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신축의 전세가격이 낮으니 주변 단지들의 전세가격이 따라 내려갑니다. 전세가격이 내려가면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벌어지면서 역전세가 발생해 매도하려는 사람이 생기고 매매 가격도 내려갈 수 있습니다.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말씀주세요~! 화이팅입니다!

시소입니다creator badge
24.08.01 17:40

안녕하세요 예솔님!! 공부하면서 궁금했던점을 질문하는것이 성장의 첫걸음인것 같아요 너무 열심히하시는 모습 응원드리게 됩니다!! 우선 매매가/전세가 관련하여 먼저 답변 드릴게요 :) 매매/전세 - 네이버 부동산을 통해서 가격과 물건상황등을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에 올라온 가격을 <호가>라고 칭하며, 도롱님이 이야기 해주신 것처럼 지역별로 자체 부동산 사이트가 더 활발하게 거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동산에서 또다른 주요한 가격은 <실거래가>입니다. 호가의 경우 매도하고 싶은 집주인들이 조금더 비싸게 (가격협상을감안하고) 올리시는 경우가 존재하여 최근 거래된 실거래가도 함께 파악하고 있습니다. 실거래가는 - 네이버/아실/호갱노노/리치고 등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 전세가가 많으면 매매가가 맥을 못추린다. 의 경우 지역이 어딘지에 따라 나뉘기도 합니다! 서울시장의 경우 매매/전세가의 흐름이 동일하게 흘러가지 않는 반면, 지방의 경우 매매/전세가 함께 움직이곤 합니다. 특히, 공급이 많은 지역에서 신규 공급물량이 들어오게 되면 전매제한(전세/매매제한) 의 영향으로 전세를 내놓는 경우도 있지만, 가격이 감당이 안되는 분들이 늘어남에 따라 낮은 가격으로 전세가 많이 나오게 되면서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지게 될 경우, 점점 가격도 낮춰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부동산은 심리의 영역으로써 O/X 단편적인 요소로 확정 짓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예솔님의 투자생활응원드립니다!!

늘배
24.08.03 12:50

안녕하세요 예솔님~ 다른 분들이 대부분 그해당이유와 설명을 자세히해준것같습니다. 직접 전화를 해보시면 사장님들이 친절하게 설명해주시고 실제 호가와 분위기와 거래가등을 자세히 파악하실수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