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투자 기초반 핵심 질의응답 수강 후기 [명랑한 책]

  • 직언으로 핵심을 짚어준 강의

 

  • 90년대의 지방투자는 보수적으로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광역시의 몇몇 곳을 제외하고는 확실히 땅의 가치가 있는지 입지의 중요성에 대해 지방에서는 더 생각해봐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내가 가지고 있는 투자금으로 투자할만한 울산 남구 지역이 입지가 좋다는 생각이 들지만, 90년대식이라 다시 고민을 해보아야겠다. 

    ( 지방투자기준: 500세대이상, 계단식, 30평대 위주 ) 입지>>연식>평형

     

  • 현재 울산 남구임장을 통해, 가치에 비해 가격이 저평가된  아파트 00년대식 3곳과 90년대식 3곳이 추려졌다. 그러나, 투자금을 고려해 도전할 수 있는 곳은 매도 후, 수리비까지 포함하면 92,97년식 한 곳씩과 99년식까지 해볼 수 있겠다. 그래도 지방이기에 연식이 비교적 더 좋은 00년식을 할 수 있으면 해보고 싶어 6곳을 시세트레킹할 필요성을 느낀다. 

 

  • 울산남구가 북구보다는 입지가 좋은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그러나, 남구의 단지보다 북구의 단지가 
     북구 내에서 사람들이 더 좋아하는( 강력한 수요의 힘이 있는 ) 곳이면 투자 가능하고, 둘 다 비슷하면 나에게 더 유리한 곳을 투자해야한다. 현재 울산에서 소액투자하고 싶은 마음이 있어, 중구 임장을 다닐 계획을 세워야겠다.

 

  • 강동구와 울산 남구 앞마당밖에는 없지만, 현재 서울에 거주하고 있고, 종자돈이 부족하더라도 수도권과 지방을 번갈아 공부를 하는 마음으로 수도권에 임장갈 기회가 있다면 해야겠다. 

댓글


명랑한책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