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세입자 보증금을 중도금으로 내보내고 수리를 해야할 경우 리스크는 무엇이 있을까요?

  • 25.01.03

정확한 답변을 원하시나요?

제목에 궁금한 점을 바로 알 수 있도록 조금 더 자세히 작성하세요. 최소 5자 이상

예시) 집 팔고, 다음 날 누수 연락을 받았는데 수리해줘야 하나요?

 

질문 내용필요한 정보를 자세히 작성하세요.

  • 질문이 길 경우 읽기 쉽도록 단락을 구분합니다.
  • 질문이 여러가지 일 때는 질문1. 질문2. 질문3... 으로 나눠서 작성합니다.
  • 특정 지역이나 아파트 단지에 대한 질문이라면 지역명과 아파트 이름을 정확히 작성합니다.

 

 

안녕하세요.

계약금+중도금이 매매금액의 35~40% 정도 들어가는 금액으로 설정하여 기존 임차인의 보증금으로 돌려주고 집을 수리해야하는 상황일 경우, 

Q1. 계약금과 중도금의 금액이 적정한지?

Q2. 혹시 계약금+중도금의 금액이 클경우 제가 대비해야하는 리스크는 어떤게 있을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우도롱
25. 01. 04. 20:38

안녕하세요 모모사님~ 계약금/중도금을 지급할 때에는 매물의 근저당+임차보증금 금액과 합산해서 '내가 이 돈을 집주인에게 지급해도 집주인이 도망가지는 않을까?'의 관점에서 리스크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계약금+중도금을 매매가의 40%이내로 지급해 임차인을 내보낸다면 근저당 없이 공실 상태에서 매매를 진행하는 것은 큰 무리가 되지 않을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중도금 지급일이 임차인 퇴거하는 날과 일치하는지 확인해 만약의 상황에 대비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투자 응원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