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기사 정리
3, 6호선 불광역과 인접한 옛 국립보건원 부지에 디지털미디어 특화 거점인 ‘서울창조타운’이 조성 된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개통, 정비사업 속도전 등 맞물려 은평구 부동산 시장 개발 호재가 잇따르고 있다. 서울시는 부지 매각을 위한 공고를 내고 4월에 낙찰자를 결정하고 27년에 삽을 뜨는 게 목표다. 서울시는 이곳을 디지털미디어와 영상 등 창조산업 특화 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해 균형발전형 사전협상 대사지 1호로 선정했다. 일자리 창출 시설 비중에 따라 공공기여를 최대 50% 완화하고 상한용적률 인센티브를 추가 제공해 지역 활력을 이끌어내는 제도다. 인근에 있는 상암DMC와의 시너지도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최근 연신내와 불광 지역 인프라가 개선되고 있어 관심을 끈다. 24년 12월 GTX-A 연신내역이 문을 열어 서울역 등 도십 접근성이 한층 좋아졌다 .
✅ 생각 정리
일자리 창출 소식과 GTX-A 등의 교통 호재가 있는 은평구, 불광역과 연신내역 에 관한 이야기다. 은평구가 앞마당이 아니고 가본적 없는 동네라서 잘 모르지만 3호선이 지나가는 점은 5급지 중에 의미가 있는 곳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마중 3강인 너나위님의 심플한 원칙을 적용해서 생각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일단 연신내역이 GTX-A 정류장이 정차하니 이 곳의 가치가 높아졌을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얼핏봐도 인근에 아파트는 많지 않고 불광역으로 내려가는 길에 2개 단지, 불광역 인근에 2-3개 단지 정도가 보인다. 연신내역에 GTX가 개통되면서 교통이 좋아졌다는 소식을 많이 들었다. 하지만 정작 3대 업무지구인 시청, 여의도, 강남 접근성은 개선된 것이 없다 (아래 지도 참고) 그나마 시청역 접근성이 13분 정도 개선되었는데, 연신내 인근에 아파트가 없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 결국 GTX-A는 서울역으로의 교통 접근성이 개선 된 것이지, 서울에서 가장 중요한 주요 업무지구로의 교통 개선은 되지 않았다 (강의 내용) 은평구 아파트 순위를 살펴보면 순위권의 대부분은 증산/수색 신축 뉴타운 아파트들이다. 나머지는 녹변/응암동의 아파트들인데, 이는 녹번역 근처에 몰려있다. 혹시 GTX 호재로 연신내에서 가장 가깝고 호갱노노 방문 인기 순위 1위인 불광동 북한산힐스테이트 7차 아파트의 실거래가를 보았지만 24년 4월 10.5억 이후로 가격 변동이 없다. 실제 사용해본 사람들의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가격에 반영되는 게 시간이 걸릴지는 모르겠지만 결국 주요 업무지구로의 접근성이 개선되지 않았다면 서울역을 이용하는 소수의 수요층의 만족도만 높아진 것 으로 보인다. 어느 지역을 앞마당으로 만들던지 교통 호재가 나의 관심사였다. 이번 앞마당인 마포구에도 대장홍대선과 서부선 호재가 있다. 하지만 GTX 연신내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주요 업무지구로의 연결이 유의미하지 않은 호선은 가격 상승에 영향을 많이 주지 않는 것 으로 보인다 (특히 하락 및 보합장이어서 그럴 수 있다) 지역의 호재는 +알파 요소로 봐야하지 결국 서울수도권에서 가장 중요한 강남 1시간 접근성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비교하고 따져봐야겠다.
국립보건원 부지 & 주요 역(GTX-A)
GTX-A 정류장 연신내역에서 시청역 일자리 접근성 변화 GTX-A 정류장 연신내역에서 여의도 일자리 접근성 변화
GTX-A 정류장 연신내역에서 강남 일자리 접근성 변화
대장아파트들 위치 (녹번역)
연신내역 인근 인기아파트(호갱노노 불광동 인기아파트 1위) 가격변동
✅ 24년 2월 신문기사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