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3월 돈버는 독서모임 - 소득혁명
독서리더, 독서멘토

STEP 1. 책의 개요
1. 책 제목 : 몰입 확장판
2. 저자 및 출판사 : 황농문
3. 읽은 날짜 : 2025.02.23.
4. 총점 (10 점 만점 ): 10 점 / 10 점
5. 위 점수를 준 이유 간략하게
STEP 2. 책에서 본 것
p.33 "인생에서 가치 있는 것, 당신이 소망하고 이루고 싶은 것, 당신이 누리고자 하는 것은 모두 오르막이다. 문제는 사람들 대부분의 꿈은 오르막인데 습관은 내리막이라는 사실이다." - 존 고든
p.61 칙센트미하이는 삶을 훌륭하게 가꾸어주는 것은 행복감이 아니라 깊이 빠져드는 몰입이라고 단언하며, 몰입에 뒤이어 오는 행복감은 스스로의 힘으로 만들어낸 것이어서 우리의 의식을 그만큼 고양시킨다고 했다. 몰입에 의하여 일과 놀이가 하나로 어우러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건강한 삶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p.64 "얼마나 중요한 문제이기에 몇 날 며칠을 이 문제만 생각할까? 아마도 이 문제를 해결 못하면 죽나 보다"라고 판단하게 된다. 그래서 우리 뇌에서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온 힘을 쏟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내가 체험한 몰입이다.
p.83 "지극히 현실에 순응하는 삶을 살면 그 순간은 편할지 모르지만 인생을 정리하는 단계에서는 후회를 하게 된다. 현실적인 어려움과 능력의 한계에 부딪히더라도 정말 중요한 문제, 그리고 꼭 해결해야 하는 주제를 선택해 최선을 다해 연구하면 후회가 없을 것이다."
p.84 살아오는 동안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느냐 못 하느냐에 삶의 질이 달려 있다는 것이다. 인생을 장작에 비유하면, 장작이 100% 모두 타서 재가 되어 없어지면 아무런 후회가 없을 텐데 5%만 타고 나머지 95%가 전혀 타지 않은 채 폐기되지 않을까 두려운 것이다.
p.85 자신이 풀 수 없을 것 같은 문제라도 포기하지 않고 그 문제에 대해서 계속 생각하는 것이 자신의 두뇌를 최대로 활용하는 것이고, 이런 방식의 연구야말로 자신의 능력을 최대로 발회하는 것이라는 결혼에 다다랐다. 그리고 의식이 있는 한 내 연구와 관련하여 풀리지 않는 문제를 생각하는 데 모든 시간과 노력을 쏟아 붓겠다고 결심하게 되었다.
p.94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의식의 내용이 무의식, 장기기억에 생중계된다는 것이다. 의식의 내용이 무의식에 영향을 주고 그 결과가 나의 의식에 영향을 준다. 의식과 무의식이 서로 의사소통하면서 나라는 사람이 만들어지고 나의 삶의 행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따라서 내 삶의 행로를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의식의 내용을 통제하는 것이다. 결국 나의 삶의 행로의 확률은 이 의식의 무대 위에 어떠한 내용이 올려져 있느냐에 영향을 받는다.
p.95 의도적인 몰입 이론은 바로 의식의 무대 위에 내가 원하는, 혹은 필요로 하는 내용을 올리려는 의도적인 노력을 하자는 것이다. 그래서 내 삶의 행로의 확률을 바꾸자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평소에는 달성하기 힘든 낮은 확률을 구현하고 나의 꿈을 향한 인생의 오르막을 오를 수 있음을 뜻한다.
p.173 천천히 생각하기는 명상에 가까운 행위이다. 온몸에 힘을 빼고 목을 뒤로 기대고 편안하게 앉아 명상을 하듯이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힌 다음, 자신이 고민하는 문제를 아주 천천히 생각한다. 자율적으로 몰입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천천히 생각하기가 가장 효과적이다. 여기에 문제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면 더 좋은데 이를 윟애서는 매일 땀을 흘리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된다.
p.230 나폴레온 힐의 성공철학
1) 확고한 목적 의식과 불타는 강렬한 의욕을 갖는다.
2) 명확한 계획을 세우고 착실히 실행해나간다.
3) 주위 사람들의 부정적인 견해는 깨끗이 무시해버린다.
4) 나의 목표와 계획에 찬성하며 항상 용기를 북돋워주는 사람을 친구로 사귄다.
p.255 (김주환 교수님 내면소통과 겹치는 뇌과학 내용, 편도체 안정화 전전두피질 활성화! 명상하자 해인아)
이와 같은 자가수용체는 대부분의 신경계가 가지고 있는데, 드물게도 우리 몸에서 자가수용체가 없는 신경계가 있다. 바로 전두연합령(전전두피질)이다. 앞서도 이야기했지만 이 부위는 사고, 판단, 계획 차조 등 고도의 지적 능력을 관장하며 우리 뇌의 CEO 같은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전두연합령의 대부분은 A10이라고 불리는 도파민 신경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 이 A10 신경에서는 자가수용체가 없어 마이너스 피드백이 이루어지지 않아 도파민의 분비가 증가해도 억제가 일어나지 않아 도파민 과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A10 신경이 활성화되면 도파민 유리가 계속 이루어짐에 따라 장기간 몰입을 해도 우울감 없이 지속적인 쾌감을 경험을 수 있는 것이다.
p.261 대개의 경우 나에게 주어진 환경을 바꾸기란 쉽지 않다. 우리가 가장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입력은 나의 생각이다. 생각에 의한 압력은 우리가 선택할 수 있고 노력에 의하여 크게 바꿀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삶과 교육의 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p.262 내가 어떤 활동을 하느냐, 그리고 무엇을 생각하느냐에 따라 주어진 일에 대한 시냅스의 형성이 영향을 받고 그 결과 주어진 일에 대한 나의 감정이 변화한다. 이와 같이 '내가 나를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은 뇌과학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다.
p.263 우리 뇌는 요구한 대로 발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뇌에게 무엇을 요구하느냐가 중요하다.
p.267 충분한 시간을 두고 자율적으로 문제에 대한 몰입도를 올리는 방법이 바로 '천천히 생각하기'다. 천천히 생가하기에 의해 몰입에 들어가는 것은 마음의 산책을 하는 것과 같아 심리적인 부담이 없고 습관이 되면 오히려 즐겁게 실천할 수 있다. 천천히 생각하기는 자율적으로 몰입도를 올리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다.
p.268 "연구하는 것을 즐겁게 논다고 생각하세요. 책과 함께 놀고 시간과 함께 노는 겁니다. 숙제와 업무도 일종의 놀이로 생각하세요. 직장 상사를 만날 때도, 거래처 사람을 만날 때도 그것을 즐기세요. 지금 이 순간 제 자신을 생각해볼 때, 저는 평생 즐기면서 지낸 것 같아요. 일과 연구를 즐긴 것입니다." - 설동욱 목사
p.271 오늘 하루, 나는 얼마나 가치 있는 시간을 보냈는가? 오늘 하루 내가 한 일들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활동은 얼마나 가치 있는 것이었나? 이런 일상이 반복된다면 인생의 마지막 순간, 나는 자신의 삶에 대하여 만족할 수 있겠는가? 이 질문이 바로 스스로 몰입을 선택하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
p.272 인생은 죽음을 향해 질주한다. 결국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죽기 시작한다. 이 숙명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이 숙명적인 죽음에 대하여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죽음에 대하여 내가 저항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러다가 중요한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내가 살아있는 시간이 유일한 기회이고 이 삶의 기회를 잘 보내느냐 그렇지 못하느냐는 나한테 달려 있다. 서서히 다가오는 죽음에 대하여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은 살아 있는 동안 가장 삶다운 삶을 사는 것이다. 죽음과 크게 다르지 않은, 살아도 산 것 같지 않은, 죽지 못해서 살아가는 삶이 아니라 죽음과 가장 반대되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하루하루가 생동감 넘치고 삶의 희열로 꽉 찬, 그리고 작지만 내가 가진 모든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 그러한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살아 있음이 나의 유일한 기회이기 때문이다.
p.416 <몰입 8계명>
1) 명확한 목표를 세운다.
2) 사전 지식을 공부한다.
3) 몰입 시간을 확보한다.
4) 몰입은 이완된 상태에서 하는 것이 좋다.
5) 잠은 꼭 자야 한다.
6) 선잠을 활용한다.
7) 규칙적인 운동은 필수다.
8) 답이 보이지 않아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STEP 3. 책에서 깨달은 것
몰입은 무조건 미친듯이 촉박하게 하는 게 아니라는 점을 알게 되었다. 장기간의 몰입이 정신적 피로를 발생시킬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달리 천천히 생각하기, 명확한 목표의식이 있는 몰입은 오히려 행복감을 준다. 임보 쓸 때 "이 지역에 투자하겠다."라는 생각을 하며 썼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내 마음 상태를 들여다보면 정말 맞는 말 같다.
요즘은 뭐든 "즐겁게" 하자는 생각이 든다. 이런 말을 문자로만 읽었는데 요즘에는 마음 깊이 느껴지는 것이 있어서 삶을 즐겁게 살자고 마음 먹었다. 그리고 매일 내가 살아있다는 것을 느끼고 싶었다. 그래야 내 삶에 후회가 없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그 점에 대해서 책에 언급되어서 잘 한 생각이구나 알게 되었다.
"내가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어진 환경은 바꾸기 어려워도 내 생각은 내가 바꿀 수 있다. 내가 바뀌면 환경이 바뀔 것이고 그렇게 내가 원하는 것을 해나가야겠다. 그 과정에 충실하게 임하면 후회없는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
STEP 4. 책에서 적용할 점
- 너무 여러 가지 일을 한 번에 해결하려고 하지 않도록 시간을 배분하여, 한 번에 하나의 일에만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
- 살아있음에 감사하고, 나에게 주어진 시간에 감사하며 현재에 충실한 하루하루를 보낼 것.
STEP 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61 칙센트미하이는 삶을 훌륭하게 가꾸어주는 것은 행복감이 아니라 깊이 빠져드는 몰입이라고 단언하며, 몰입에 뒤이어 오는 행복감은 스스로의 힘으로 만들어낸 것이어서 우리의 의식을 그만큼 고양시킨다고 했다. 몰입에 의하여 일과 놀이가 하나로 어우러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건강한 삶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댓글
해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