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랭시] 신문기사, 서울 소규모 단지도 신고가

 

✅ 신문기사 정리

  • 서울 강남권과 마용성 아파트 가격 강세가 주변 20년이상 소규모 단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서초구 방배브라운가(161가구) 84타입이 16.6억 신고가에 거래됐다.
  • 강남구 삼부아그레빌(67가구) 84타입은 18억에 손바뀜했다.
  • 방배현대홈타운1차(644가구), 방배아이파크(138가구), 대멤피스(206가구)도 최고가 거래가 이뤄졌다.
  • 마포구 대흥동 동양엔파트(165가구) 84타입이 13.8억에 거래됐다.
  • 마포구 신공덕동 '신공덕e편한세상(128가구) 84타입이 13.3억에 거래됐다.
  • 마포구 용강동 래미안용강(430가구) 59타입이 14.25억에 신고가로 거래됐다.
  • 성수동 강변임광(141가구) 84는 역대 최고가인 24억에 거래됐다.
  • 서울에서 기존 아파트가 최고가로 거래된 지역은 올해 집값이 많이 상승한 곳이다.
  • 올해 아파트 매매가가 많이 오른 곳은 송파구(1.39%)>강남구(0.77%)>서초구(0.69%)>용산구(0.31%)이다.
  • 마포구(0.22%)와 성동구(0.21%)도 서울 평균인 0.21% 만큼 올랐다.
  • 위 소규모 단지들은 입지가 좋은 단지라는 공통점이 있다.
  •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강남권 단지의 호가가 뛰면서 새 아파트를 사는데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이 학군과 교통이 좋은 곳의 소규모 아파트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 새로 지은 단지와 1000가구 이상 대단지 가격이 상승을 주도하면 온기가 인근 단지로 확산하는 갭 메우기가 나타고 있다고 분석되고 있다. 

 

✅ 생각 정리

  • 세대수가 적어도 강남이라는 이유는 아주 큰 입지적 가치를 지닌다.
  • 기사에 나온 방배브라운가는 땅의 가치를 지닌 곳으로 26년 9월에 디에이치방배가 입주할 예정이다.
  • 세대수가 작아 환금성을 떨어지지만 전세가율이 63%로 높아 매전갭이 7.3억 수준이다.
  • 장기적 보유로 전세금 상승을 기대하기는 좋고 매도도 싼 가격으로 하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도 든다.
  • 강남을 앞마당으로 만들 때는 100세대 이상도 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 지난 달 임장지역이었던 마포구도 아현/공덕/대흥 위주로 불장이었다.
  • 래미안용강은 학군지에 평면구조가 좋아 선호도가 매우 높은 곳으로 매임할 때 부터 신고가를 찍고 있었다.
  • 마포구 동양엔파트는 초역세권이라는 점에서 세대수 대비 거래가 잘 되는 편이고 꾸준히 상승했다.
  • 마포구 신공덕e편한세상은 20년 이후 4년간 거래가 없다가 같은 가격으로 거래가 되었고 25년 2월에야 2억 정도 오른 13.3억에 거래되었고 전세가율도 평균적으로 70%가 넘는 모습을 보인다.
  • 이런 아파트의 경우는 입지도 중요하긴 하지만 가수요가 떨어지고 전세로만 살고싶어하는 수요를 알 수 있다.
  • 좋은 생활권의 좋은 입지는 분명히 소규모 아파트 가격의 상승을 가져오긴 하겠지만
  • 환금성의 문제도 분명히 발생할 수 있기에 매수 시 고려해봐야할 자금적인 리스크도 있어 보인다.
  • 1-2급지의 소규모 아파트도 눈여겨 보아야겠고 싸게 살 수 있다면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어 보인다. 

     

서초 방배브라운가
마포구 동양엔파트 
마포구 신공덕e편한세상

 

25년 1월 신문기사

25년 2월 신문기사

✅ 25년 3월 신문기사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해적왕user-level-chip
25. 03. 07. 09:06

급지가 좋은 곳은 소규모 단지도 눈여겨 봐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기사네요!! 늘 꾸준함에 감사합니다^^

사십살앤user-level-chip
25. 03. 07. 09:49

강남은 100세대 이상!

유키농user-level-chip
25. 03. 07. 23:39

저도 아침에 이 기사 봤는데 역시 생각의 깊이가 다르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