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금요일엔 시세에 진심을 담고 싶은
진심을담아서 입니다 :)
날씨가 많이 따뜻해졌네요!
건강한 하루 되시면 좋겠습니다 :)
현재 시점 기준으로 지난 주 대비
증감률의 방향은 상승하는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전국적으로 매매/전세 증감률은
모두 보합 내지 소폭 상승하는 흐름으로
시장 참여자끼리 눈치를 보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3월 1주차 주택시장동향 조사결과입니다.
2025년의 9번째 KB시계열 자료입니다.
#KB시계열 #주간주택시장동향 #KB부동산 #KB통계
서울의 매매가 상승률은 0.16%
경기도는 -0.01%로
서울 매매 증감률은 상승,
경기 매매 증감률도 하락
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인천 매매가 증감률은 -0.01%로 하락했고
지난주에 비해서는 상승한 수치입니다.
5개 광역시에서는 부산 -0.08%, 대구 -0.05%,
대전 -0.03%, 울산 0.02%, 광주 -0.06% 로
울산을 제외한 대부분 광역시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서울은 통계 상으로는 상승하는 흐름이,
그 외 지역은 보합 내지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전국 평균 매매 증감은 0.00%로
지난 주에 비해 증감률은 상승했습니다.
서울의 전세가 증감률은 0.07%로
지난주 대비 증감률은 상승세인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경기도는 0.02%로 상승흐름이고,
지난 주 대비 증감률은 증가했습니다.
인천의 전세가 흐름은 지난주와 비슷하였고
0.01% 정도의 보합을 보여줬습니다.
5개 광역시 전세는 부산 0.01%, 대구 -0.05%,
대전 -0.02%, 울산 0.11% , 광주 0.04%로
지난 주 이어 매매가에 비해서
안정적인 흐름을 보여줍니다.
전국적으로 전세증감은 0.01%로
지난 주와 달리 상승 흐름이며
지난주에 비해서 증감률은 증가했습니다.
(*KB부동산 주간 KB주택가격동향
(25.03.07)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번주 전국의
매매 상승지역은
서울 송파구 0.70%
강남구 0.46%
서초구 0.46%
강동구 0.28%
양천구 0.26%
성동구 0.25%
용산구 0.19%
과천 0.49%
성남 수정구 0.11%
울산 중구 0.10%
매매 하락지역은
이천 -0.60%
평택 -0.10%
부산 사상구 -0.22%
부산 영도구 -0.17%
부산 동구 -0.12%
부산 부산진구 -0.12%
부산 해운대구 -0.12%
대구 서구 -0.16%
광주 북구 -0.14%
서산 -0.11%
입니다
최근 통계에 이어서 수도권 최상급지
지역들은 상승하는 흐름이며
지방에서는 하락하는 흐름을 보여줬습니다.
특히 송파, 강남, 서초 등 강남 3구의
상승률은 0.50%에 육박하는
엄청난 상승률을 보여주었고,
강남 3구를 따라가는 위상을 가진
강동, 양천, 성동, 등의 상승률도
0.20%을 훌쩍 상회하였습니다.
반면에 같은 수도권이더라도
외곽에 자리한 이천에서는
0.60%이라는 큰 하락을 보여줬고
부산에서 대부분 하락을 보여줬습니다.
주요 상승 지역에서는 서울이 많고
주요 하락지역으로는 지방광역시 및
지방 중소도시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상승하는 지역은 꾸준히 상승을,
그러지 않은 지역은 꾸준한 하락을
보여주고 있는 게 최근의 시장 모습입니다.
이번주 전국의
전세 상승지역은
서울 용산구 0.29%
양천구 0.24%
송파구 0.20%
강남구 0.17%
구리 0.32%
과천 0.32%
하남 0.20%
고양 덕양구 0.17%
부산 동구 0.20%
울산 북구 0.16%
전세 하락지역은
이천 -0.49%
안양 만안구 -0.38%
안성 -0.30%
광명 -0.29%
인천 중구 -0.15%
대구 서구 -0.12%
창원 의창구 -0.15%
포항 북구 -0.14%
천안 서북구 -0.14%
당진 -0.13%
입니다
전세 증감은 최근 경기도에서만
상승하는 흐름이 있었는데,
이번주는 서울 최상급지에서도
전세 상승이 큰 모습이었습니다.
이천, 안성 등 외곽지역과
만안구, 광명 등 입주 영향이 있는
경기도 지역도 하락했습니다.
그외 지방에서는
중소도시들의 전세가 하락이
눈에 띄고 있습니다.
강남구 0.46%
서초구 0.46%
강동구 0.28%
양천구 0.26%
성동구 0.25%
용산구 0.19%
노원구 -0.03%
강북구 -0.02%
금천구 -0.02%
서울 안에서도 선호도가 높은
상급지 지역들은 상승을 보여줬고
상대적으로 위치/입지가 아쉬운 지역은
하락 내지 보합을 보여줬습니다.
강남권의 최상급지는 아니더라도
충분히 좋은 지역들이 횡보 중인데
단지에 따라 좋은 투자기회를 줄 수 있기에
가격흐름을 잘 보고 있어야겠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용산구 0.29%
양천구 0.24%
송파구 0.20%
강남구 0.17%
동대문구 -0.08%
금천구 -0.07%
성북구 -0.04%
지난 주 잠잠하던 전세가 흐름이
이번주 서울 최상급지에서
상승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그외
+0.05% ~ -0.05% 구간에서
횡보하는 지역이 대다수인게
서울 시장의 특징입니다.
다만 공급이 있는 동대문/성북에서는
전세가가 떨어지는 모습입니다.
매매 상승지역은
과천 0.49%
성남 수정구 0.11%
매매 하락지역은
이천 -0.60%
평택 -0.10%
경기-인천에서는
상승세가 둔화되면서 동시에
경기도 안에서 외곽에 자리한
그런 곳들은 하락을 보여줬습니다.
과천의 꾸준한 상승이 눈에 띄며
그외 눈에 띄는 상승 흐름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에 비해 동두천, 이천, 평택 등
경기도 외곽지역의 하락은 여전합니다.
최근 비슷한 흐름으로
입지 좋은 곳은 상승했고,
수도권 외곽 쪽은 소폭이더라도
하락하는 흐름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전세 상승지역은
구리 0.32%
과천 0.32%
하남 0.20%
고양 덕양구 0.17%
전세 하락지역은
이천 -0.49%
안양 만안구 -0.38%
안성 -0.30%
광명 -0.29%
인천 중구 -0.15%
횡보하는 흐름이 짙던
인천/경기의 매매 흐름 대비
전세 상승의 흐름은 눈에 띕니다.
과천, 구리 등에서는 2주 연속
0.30%에 육박하는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그 외 이천, 만안구, 안성, 광명 등
공급 혹은 입지, 위치가 아쉬운 지역은
하락하는 흐름을 보여줬습니다.
부산 -0.08%,
대구 -0.05%
대전 -0.03%
울산 0.02%,
광주 -0.06%
울산을 제외한 대부분 광역시가
하락하는 추세이나,
그 하락폭이 많이 줄었습니다.
울산은 소폭 하락 기조에서
소폭 상승으로 전환되었습니다.
부산 대구 대전 등의 경우에는
구에 따라서 -0.20% 수준 하락도 보입니다.
부산 0.01%
대구 -0.05%
대전 -0.02%
울산 0.11%
광주 0.04%
전세가격은 매매가격보다 상대적으로
더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울산은 꾸준한 상승을 보여주고 있으며,
부산과 광주의 상승전환도 눈에띕니다.
특히 지난주 부산 동구 0.60% 상승에서
이번주는 부산동구 0.20상승으로
2주 연속 상승 기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광역시의 하락폭이 전세 하락폭은
매매 대비 안정적인 기조가 유지 중입니다.
투자자 관점에서 기회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창원 -0.04%
천안 -0.04%
아산 -0.03%
청주 -0.02%
전주 0.02%
포항 -0.29%
김해 -0.03%
구미 -0.17%
원주 -0.01%
춘천 0.04%
춘천과 전주의 매매 상승이 지속적으로
중소도시 중에서는 눈에 띄며
그 외 다른 지역은 크게 보합세를 보입니다.
이번주도 포항이 크게 떨어졌고,
구미도 그 다음 정도로 하락했습니다.
가격 변동이 거의 없는 중소도시는
다른 지역에 비해서 가격적인 메리트가
여전히 있을 수도 있겠습니다.
창원 -0.03%
천안 -0.11%
아산 -0.01%
청주 0.02%
전주 0.04%
포항 -0.10%
김해 -0.06%
구미 -0.01%
원주 0.04%
춘천 0.07%
전세를 보면 천안, 포항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증감률이 0.00%에서 횡보를 보입니다.
대부분 전세가는 횡보 중이나
매매 증감처럼 전주, 춘천의
꾸준한 상승이 눈에 띕니다.
매매가 서울 0.16% ↑, 경기도 -0.01% ↑
전세가 서울 0.07% ↑, 경기도 0.02% ↑
서울 매매 상승 전세 상승,
경기 매매 하락 전세 상승
(서울 매매 증감률 증가세 / 전세 증감률 증가세
경기 매매 증감률 증가세 / 전세 증감률 증가세)
인천광역시 매매 -0.01% ↑, 전세 0.01% -
인천 매매 하락 전세 상승
(인천 매매 증감률 증가세 / 전세 증감률 보합세)
광역시 평균 매매 -0.05% ↑, 전세 0.01% ↑
광역시 매매 하락 전세 상승
(광역시 매매 증감률 증가세 / 전세 증감률 증가세)
광역시 외 기타지방 매매 -0.02% ↑, 전세 -0.02% ↑
기타지방 매매 하락 전세 하락
(기타지방 매매 증감률 증가세 / 전세 증감률 증가세)
(지난주 대비
하락률 낮아짐(가격상승) ↑
하락률 높아짐(가격하락) ↓)
감사합니다 :)
※KB 시계열 활용법, 읽는 방법 :
https://cafe.naver.com/wecando7/7787174
※KB 시계열 200% 활용법(투자적용) :
https://cafe.naver.com/wecando7/11116742
<KB 시세 업데이트 일정>
※ [KB리브온] 지역별 집값 상승률(매매/전세 시계열) : 매주 금요일 업데이트
※ 전국 랜드마크(대장) 아파트 순위 및 시세 : 매월 첫째 or 둘째 주 업데이트
※ 매달 평당가와 전세가율 거래량은 아래 자료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우와 감사합니다
진담님 디테일한 시장흐름분석 감사합니다❤️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