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의 개요
책 제목
지방도시 살생부
저자 및 출판사
마강래 / 개마고원
읽은 날짜
2023.11.13~ 11.19
총점 (10점 만점)
9점/10점
2. 책에서 본 것, 깨달은 것, 적용할 것
본 것
[내용 요약]
인구통계 추이를 통해 가늠되는 지방 중소도시의 미래는 매우 어둡다. 인구도 거의 없고 고령자만 남아있는 도시
인구감소를 막는 데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해외에서 이민자를 받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젊은이들의 출산율을 높이는 것이다. 하지만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아시아 국가로서 이민자를 받는 데엔 한계가 있다. ‘얼마나 많은 젊은이들을 확보하는지’가 인구감소를 막기 위한 주된 방법으로 남는다.
지난 수십 년간의 인구감소를 젊은 층의 인구유출로 설명 할 수 있다면 앞으로의 인구감소는 노년층의 사망으로 설명될 것이다. 중소도시의 인구감소 요인은 ‘인구이동’의 사회적 요인에서 ‘사망’과 같은 자연적 요인으로 서서히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지나친 인구감소는 ‘도시 활력의 저하’를 동반하게 된다. 개발사업이 필요없고 도로 방치되고 기업들이 선호하지 않는다. 문제는 경제다. 지역 경제가 몰락한 상태에서는 인구유입도 물리적 환경 개선도 이뤄질 수 없다.
도시가 쇠퇴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주민들이 떠나기 때문’이 아니다. 또한 ‘물리적으로 노후화되기 때문’은 더더욱 아니다. 일자리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니 도시 정책에서 외부의 인구를 유입하기 위해 대규모 아파트를 공급하는 정책은 전혀 유효하지 않다.
저출산, 성장’과 4차산업혁명, ‘고령화’라는 메가트랜드는 거대한 흐름이다. 꺾여나가는 인구추세를 되돌리기 힘들다.
일자리는 지역경제의 근본이다. 지방 중소도시들이 일자리 정책으로 많이 하는건 지방산업단지이고 경제를 살리기 위해 힘을 기울이는 분야는 ‘관광산업’이다. 그러나 이런 것들이 지방 중소도시의 쇠락을 되돌리기엔 역부족이었고 경제가 살아나지않고 세금만 낭비하는 꼴이었다.
지방의 쇠퇴, 이로 인한 지역불균형 발전은 지방의 문제가 아닌 전국가적 문제이다. 지방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중앙정부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중소도시는 원도심이 쇠퇴하고있다. 대도시의 재생사업과 중소도시의 재생사업은 다르다. 주변에 일거리가 있으면 재생이 성공할 가능성이 있고, 그렇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원도심 인구의 감소는 도시 외곽의 대규모 아파트단지 건설과 맞물려있다. 대형마트 또한 영향력이 있다.
정부의 재생사업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인구가 더 이상 흩어지지 않게 막아야 한다. 이미 인프라가 갖추어진 곳에 투자가 집중되어야 하고, 더 이상의 외곽개발은 금지시켜야 한다. 그리고 도시의 중심지역으로 인구가 모여야 한다. 그것이 중소도시가 생존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도시를 ‘성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압축’’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꿔야 한다는 것. 말하자면 압축도시전략이다. 도시를 압축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에는 크게 ‘고밀도 개발’, ‘복합적 토지이용’, ‘대중교통의 활성화’의 세가지 핵심적인 내용이 포함된다.
*쇠퇴도시들을 위한 스마트축소 전략
1. 현실을 직시히고 축소를 인정하자.
2. 흩어지면 죽는다. (도시의 압축화)
3. 조그만 도시에 맞는 일자리 육성이 필요하다.
깨달은 것
역시 중요한 건 일자리. 그러나 중소도시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만든 지방산업단지, 관광산업이 중소도시의 쇠락을 돌리기엔 역부족이라 놀랐다.
흔히 지방, 중소도시에는 빈땅이 많아 오래된 아파트를 재건축하거나 재개발보다는 외곽에 개발을 많이 한다. 그러나 이 또한 인구가 흩어지게 되서 중소도시가 살아남기 위한 방법은 아니라니..
해외 이민자를 받는것도 한계가 있고 젊은이들의 출산율은 쉽게 올라갈 것 같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인구감소, 중소도시의 인구감소는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중소도시가 몰락하면 도시 하나만 몰락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중소도시가 살아남도록 정부와 지자체의 역할이 중요할 것 같다.
부동산 투자자로서는 어떻게 봐야하나?
중소도시들 중에 도시의 압축화, 구도심의 재개발 재건축을 활발히 하고 있는 지역, 일자리가 탄탄한 중소도시들, 옥석 가려내기.
적용할 것
[적용할 점]
중소도시 일자리 파악의 중요성
도시의 압축화가 잘되고 있는 중소도시 찾아보자
댓글
모열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