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법원 경매에 나온 서울 노원구 중계금호타운 전용면적 85㎡는 7억4590만원에 주인을 찾았다. 감정가(6억9700만원)보다 4890만원 비싼 가격에 최종 낙찰되면서 낙찰가율은 107%를 기록했다. 이는 최근 실거래가(2월26일·7억2500만원)보다 높은 가격이다. 최근 실거래 물건은 저층(2층)이고, 경매 물건은 중층(9층)에 해당돼 가격 차이가 날 수 있다. 그러나 낙찰가가 실거래가를 초과하는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같은날 경매가 이뤄진 서울 강북구 미아동의 벽산라이브파크 전용면적 59㎡에는 34명의 응찰자가 몰렸다. 이 아파트는 감정가(5억4200만원)의 98% 수준인 5억3228만원에 낙찰됐다. 이 물건은 1회 유찰돼 최저가가 80%까지 떨어졌으나, 응찰자가 몰리며 최저가보다 1억원 가까이 높은 가격에 집주인을 찾았다.
30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이달 북부지법에서는 노도강 지역 아파트 27건에 대한 경매가 이뤄졌다. 이 중 전체의 41%인 11건이 이전 유찰가를 뛰어넘는 가격에 낙찰됐다.
최근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와 재지정이 이뤄진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나타난 현상으로, 토허제 풍선 효과가 노도강까지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계속해서 바닥을 치던 노도강의 집값이 상승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기사이다.
기사에서 말하는 것처럼 토허제의 풍선효과일수도 있고, 파도이론이 적용되는 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지난해 연말에 실준반에서 도봉구를 임장하며 시세를 땄었는데, 최근 그 시세가 많이 달라져 있음을 얼마전 시세트레킹을 하며 확인했다.
내가 좀 더 종자돈이 있었다면 이 아파트 정도는 매입할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크다.
하지만 아마 앞마당을 더 많이 만들고 나면 그 때 거기를 사지 않길 잘했네- 하는 생각이 드는 날도 오겠지?
최근 이런저런 이유와 핑계로 임장을 못다니고 있어서 시세표를 계속 갈아엎는 일을 하고 있는데, 어떻게든 공부를 게을리 하지 말아야겠다, 손을 놓지 않는게 중요하다 라는 일념으로 꾸역꾸역 해나가는 중이다.
쥐구멍에도 볕 뜰날이 얼른 왔으면 좋겠다.
화이팅!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쩡쩡쩡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