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쏟아지는 3가지 방법! 내가 당장 가입해야 할 통장은? (파킹통장 vs CMA vs 파킹형ETF)

 

 

 

 

안녕하세요

읽을수록 돈이 되는 금융지식을 전달하는

머니레터입니다 

 

요즘 뉴스 보셨나요?

주요 시중은행들이 정기예금 금리를

기준금리보다 낮게 책정하고 있다는 기사 

한번쯤 보셨을 겁니다.

 

 

 

나름 현금을 모아두긴 했는데..

은행에 넣어도 이자가 쥐꼬리만 하다 보니

괜히 손해보는 기분이죠.

 

심지어 물가는 올라가서 이자만으로는 

인플레이션 헤지가 어려워지고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 분명히 

안전하게 돈을 불리고 싶은 사람이 있을텐데 

어떻게 해야 이자를 많이 받을 수 있을지

그래서 많은 분들이 고민하십니다.

 

“이 돈, 어디에 넣어야 이자를 

최대한 많이 받을 수 있을까?”

 

검색해보면 예적금 이외에 파킹통장, CMA, 파킹형ETF…

종류도 많고 이름도 어려워서 헷갈리기만 하죠.

 

그래서 오늘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예적금외에 어떤 통장들이 있는지

그리고 내 상황에서는 어떤 통장을 써야하는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이 글 하나로 ‘현금 묶어두는 통장’ 에 대한 

고민을 끝내보세요!

 


 

[파킹통장]

 

파킹통장은 parking(주차) + 통장의 합성어로 

주차하듯이 언제든지 돈을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통장을 말해요!

파킹통장에 돈을 넣어두면 하루만 지나도 이자가 붙기 때문에 돈을 넣어두는 기간이 

짧아도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 🙂

 

 

출처 : 매일경제

 

 

파킹통장은 특히나 경기 변동성이 클 때 인기가 많은 통장인데요.

예적금이나 주식에 현금을 묶어두는 것보다

언제든지 돈을 뺄 수 있는 파킹통장에 넣어두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죠. 

 

<장점>

  • 입출금이 자유롭다

  • 일 단위 이자 계산으로 매일 이자를 받는다

  • 특정 조건 없이도 높은 금리 제공하는 상품도 많다

  • 예금자보호가 최대 5,000만원까지 된다

 

<주의할 점>

  • 고금리는 조건이 따로 있을 수 있다

  • 특정 금액까지만 고금리를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2025년 4월 최신 버전 

고금리 파킹통장 리스트가 궁금하다면?

>> (여기) 클릭하고 바로 받으러가기!

 

 

 

 

 

 

[CMA]

 

CMA는 'Cash Management Account' 의 줄임말로 자산관리계좌라고도 합니다!

은행이 아닌 증권사에서 운영하는 계좌인데요..!!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해서 입출금통장과 비슷해 보일 수도 있지만

더 높은 금리를 주는 통장입니다. 쉽게 말해 증권사 투자상품 계좌라서 이자가 더 붙는데

예금처럼 넣다 뺐다도 자유로워요!

 

 

증권사가 채권에 투자한 다음 수익이 생기면 CMA에 돈을 넣어둔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원리입니다. 원금손실 위험이 낮은 편이긴 하지만 일부 상품을 제외하고

예금자보호를 받지 못하는 부분은 꼭 참고 하셔야 해요.

 

CMA의 유형은 총 5개로 나뉘는데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상품은 CMA RP형입니다!

고정된 금리 이자로 받아서 안전하기 때문이죠!

각 유형 별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확인해주세요 🙂

 

  1. RP형

증권사가 채권을 매수, 매도하는 구조의 상품입니다.

금리가 안정적이고 하루만 돈을 맡겨도 이자가 발생해서 CMA 중에서도 가장 잘 알려진 유형입니다.

장기보다도 단기로 관리할 때 사용해요!

 

2. MMF형

채권 뿐 아니라 어음 등의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펀드’ 구조입니다!

RP형과 비교해보면 변동성이 있는 편이죠. 하지만 수익은

RP형보다는 높게 얻을 수 있는데요! 예금자보호가 안되는 부분은

알고 계시면 됩니다

 

3. MMW형

RP형과 MMF형의 중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MMF보다는 안정적이지만 수익률은 고정이 아니죠. 

그래서 수익률이 시장 금리나 증권사 방식에 따라 RP형보다

높을 수도 낮을수도 있다는 변동성을 가지고 있어요.

 

어느정도 안정적이면서 어느정도 변동성을 버틸 수 있다면 

MMW형을 선택하기도 한답니다!
 

4. 종금형

종합금융회사형의 줄임말고 종합금융회사가 운영하는 구조입니다.

다른 CMA 통장과 다르게 예금자보호 (최대 5,000만원 한도)가 적용되지만

CMA 통장 치고 금리가 낮아요

 

예적금보단 조금 더 금리가 높았으면 좋겠는데

원금 보장은 됐으면 좋겠어! 라고 생각하시면

종금형을 선택하실 수 있어요.

 

5. 발행어음형

그 외 유형으로는 발행어음형이 있는데요!

자체 발행하는 어음에 투자하는 구조입니다.

다른 CMA 유형에 비해 수익이 예측 가능하고

금리도 RP형보다 낮지만 단점이 있습니다.

 

일정 기간 돈을 넣어야 금리를 받을 수 있다는 점!

만약 만기 이전에 돈을 빼면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아래 표에서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2025년 금리높은 CMA 통장 추천 TOP10이 궁금하다면?

>> (여기) 클릭하고 바로 받으러가기!

 

 

[파킹형ETF]

 

 파킹형ETF는 파킹통장과 헷갈리실 수도 있는데요!

단기적인 자금을 안전하게 보관하면서도 소폭의 수익을 얻으실 수 있도록 설계된

상장지수펀드(ETF)를 말합니다! 

 

조금이라도 이자가 높았으면…이라는 생각에 파킹통장을 알아보려 하지만

예금보다 살짝 나은 수준의 수익률에 실망하곤 합니다.

이때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 바로 파킹형ETF입니다.

 

 

 

 

모두 안정적인 운용 구조를 갖추고 있어서 원금 손실 우려가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에요!

주식처럼 손실이 생기는 위험한 투자! 라기 보다는 더 나은 이자를

받기 위한 현금 보관소라는 개념이 더 잘어울리죠.

 

올해 가장 자금 유입이 많은 파킹형ETF는 KODEX머니마켓액티브로 1조 4,162억원이 유입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최근 1년 수익률을 보면 3.6%였다고 해요! 일반 파킹통장대비 훨씬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죠.

 


 

📌 그래서 파킹통장? 파킹형ETF 뭐가 다른건데!

 

→ 파킹통장은 대체적으로 예치 한도가 있는데, 파킹형ETF는 한도가 없어요! 

파킹통장은 예금자보호가 가능하여 안정적이지만 그만큼 금리가 낮은 점이 아쉽죠. 

파킹형ETF는 원금 보장이 되진 않지만 안정적으로 수익률이 나온다고 해요.

금리 상승기에는 수익이 기대되는 겁니다. 

 


 

<장점>

  • 금액에 한도가 없고 만기가 없는 등 조건이 자유롭다

  •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는다

  • 금리 지수를 추종하여 비교적 안정적이다

     

<주의할 점>

  • 예금이 아니어서 예금자 보호를 받지 못한다

  • 현금화 하려면 매도 후 2일이 소요된다

  • 0.03~0.04% 정도의 운용수수료가 발생한다

     

 

그래서 뭘 골라야 할까? (상황별 추천)

 

🚗 비상금, 월급 등 금방 써야 하는 돈, 잠시 보관하면서 이자 받고 싶다면? → 파킹통장

💶 주식/펀드 투자 대기 자금 등 단기 자금을 하루라도 더 빨리 굴리고 싶다면? → CMA통장

💹 당장은 안 쓰지만, 은행 이자보다 수익 좀 더 받고 싶다면? → 파킹형 ETF

 


 

사실 종잣돈을 가지고 있어도

이 돈으로 뭘 해야 할지 모르는 분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500만원, 1천만원 이하로 갖고 있으면

‘이 돈으로 뭘해?’ 주식이나 좀 해볼까?' 방황만 하고

부동산은 돈이 많아야 된다고 생각해서

언감생심 꿈도 못 꾸죠.

 

유튜브 같은데 찾아보면 하라는건 많은데

딱히 끌리거나 이거다! 싶은게 없달까요

이렇게 방황하시는 분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있더라고요.

 

지금 가진 돈으로 재테크 어떻게 시작하는지

어떻게 최대로 모으고 불릴 수 있는지 

A부터 Z까지 싹 다 알려드리는 강의가 오픈하였습니다!

아래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

 

►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 만드는 법 배우러 가기 (클릭!)

 


댓글


허씨허씨user-level-chip
25. 04. 25. 15:35

파킹형 etf 처음 들어봤는데 신기하네요 :)

호섭이user-level-chip
25. 04. 25. 17:11

파킹형 ETF 처음 들어봤는데 정말 좋은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탑슈크란user-level-chip
25. 04. 25. 18:25

비슷하지만 다른 파킹통장, CMA, 파킹형ETF의 차이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