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투자공부방

그뤠잇_부동산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생각

25.04.28

안녕하세요. 그뤠잇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시장에서 중요한 수요와 공급에 대한 생각을 글로 남겨보겠습니다.

 

 

 

# 수요

 

수요란 어느 지역의 아파트를 사려고 하는 욕구에 근거하며 

 

수요가 높을 수록 한정된 자원을 갖기 위해 경쟁하기 때문에

 

가격은 오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압구정을 포함한 강남 지역을 예로 들면 한정된 땅에 살 수 있는

 

아파트는 한정적이지만 이를 사고 싶은 수요는 높기 때문에

 

이들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됩니다.

 

반면 지방의 소도시에서는 수요의 양이라고 할 수 있는

 

인구 규모가 작고 외부에서 유입이 되지 않아 경쟁이

 

심하지 않음으로 아파트 가격은 쉽게 오르지 않고

 

보합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수요는 곧 사람의 욕구라고 할 수 있는데

 

좋은 곳에서 살고 싶어하는 욕구

 

자녀들은 안전하고 쾌적한 곳에 거주시켜주고 싶은 욕구

 

인프라가 좋은 곳에 살고 싶어하는 욕구 등

 

다양한 욕구로 인해 더 좋은 곳을 찾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사회가 발전하고 세대가 바뀌면서 이 욕구는 상향평준화 되고 있고

 

가능하면 좋은 곳, 안전한 곳에 대한 욕구는 앞으로도 커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부동산 상승장이라고 볼 수 없는 지금, 

 

서울의 주요 상급지 아파트와 지방 광역시의 상급 지역 아파트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는건 바로 이 수요가 가장 크다고 생각됩니다.

 

 

# 공급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끼치는 것 중 또 하나는 바로 공급입니다.

 

신축 아파트가 공급된다면 규모에 따라 주변 지역에 파장을 주고

 

이들 아파트에 수요가 몰리면서 비교적 다른 단지들에 좋은 기회를 

 

줬던 것 같습니다.

 

다양한 수요가 있는 수도권에 비해 지방은 공급에 민감한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앞으로 수도권 공급 절벽이 시작된 후 수도권 상승장을 기대하는 시각도

 

많은 것 같습니다.

 

지방도 부산과 대구 등의 공급장이 마무리 되면서 향후 투자하기 좋은 시장을

 

기대할만한 여건이 마련됬다고 생각되며 미리 공급이 줄어드는 곳들을

 

봐두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수요와 공급 중 더 중요한 것은??

 

부동산 공부를 시작했을 때부터 항상 공급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신축 공급이 있을 때와 없을 때를 생각하며 각 케이스별로 어떤 단지를 투자로 봐야할지

 

많은 고민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 공급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수요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예로 지난해 말 입주했던 올림픽파크 포레온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난해 많은 사람들이 포레온 입주가 시작되면 과거 헬리오시티 예를 들면서 송파와 강동구 아파트 시장이

 

크게 흔들릴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그와는 반대로 매매가는 빠르게 올라가고 엄청나게 많았던 전세 매물은 빠르게 소진되었으며

 

주변 강동구 아파트 가격에도 영향을 줬습니다.

 

헬리오시티 떄와 다른점은 그 당시에는 아파트 가격 상승에 기대감이 크지 않았으나

 

이번 포레온 입주 시에는 서울 폭등장의 기억이 비교적 선명히 남아있었고

 

향후 서울 시장에 입주물량이 없기 때문에 최신축 아파트에 거주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는

 

욕망과 수요가 반영됐다고 생각합니다.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공급만을 볼 것이 아니라 수요, 더 나아가 사람들의 욕구에

 

집중하며 부동산 시장을 바라 볼 필요도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사람들이 어디에 살고 싶어하는지에 집중하여 부동산 시장을 본다면

 

좀 더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약장속의금은화
25.04.28 15:35

좋은글 감사합니다 ㅎㅎ

뽀오뇨
25.04.28 16:17

잇님 좋은글 감사합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