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안녕하세요. 우리 가족의 행복을 위해.
투자자 우가행입니다.
지친 마음을 다지기 위해 열중 재수강 하게 되었는데요.
그동안 임장다니면서 독서를 많이 못해서
이번에 독서를 좀 많이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독서를 통해 앞으로 나가야할 방향, 투자자로서의 마음가짐,
일과 투자를 병행하면서 마음이 흔들리지 않도록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주차 강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부동산 투자의 본질
가치 있는 물건을 싼 구간에 잘 모아서 충분히 비싸질 때까지 잘 지켜낸다.
투자의 원칙(저.환.수.원.리)
저평가 - 저평가 되어 있나.
환금성 - 매도할때 환금성이 있나.
수익률 - 투자금 대비 수익은 충분한가.
원금보존성 - 내 투자금을 잃지 않을수 있나.
리스크대비 - 수익이 날때까지 잘 보유할 수 있나.
저평가
가치가 있는 것을 가치보다 싸게 산다.
저평가 물건 고르는법
같은 가격인데 더 좋은 단지가 있나.
비슷한 입지의 단지 중 더 싼게 있나.
환금성
매도 시점에도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것.
입지와 연식에 따른 선호도를 이해한다.
투자범위, 매도계획을 설정하고 투자한다.
수익성
보유한 투자금으로 충분한 수익을 낸다.
수익성이 좋은 투자법
수요가 풍부하고 가치가 있는 물건을 산다.
수익률에 집착하지 않는다.
싼 구간에 산다.
원금보존
전세가율이 높은 단지에 투자. 원금을 절대 지킨다.
원금보존이 되는 투자를 하는법
지금 전세가유링 적절한 수준인가
수요가 많고, 가치가 있는 물건인가
단기 입주물량이 적절한가
리스크
감당가능한 리스크에 투자하고, 대응한다.
투자자가 리스크를 대하는 자세
리스크가 있더라도, 감당할 수 있고 리스크보다 기대수익이 크다면 투자한다.
리스크로 망하지 않는 방법
매수 - 무리한 전세가를 고집하지 않는다. 과도한 대출을 활용해 투자하지 않는다.
운영 - 전세상승분으로 무리하게 재투자 하지 않는다. 감당 가능한 규모로 운영한다.
잃지 않는 투자의 원칙
저평가 - 가치가 있는 것을 가치보다 싼 가격에
환금성 - 매도 시점에도 사람들이 좋아할만한 것으로 잘 골라서(아파트, 20~30평대, 300세대 이상)
수익성 - 보유한 투자금으로 투자해 충분한 수익이 날만한(5년 정도 보유시 수익률 100~200%)
원금보존 - 전세가율이 높은 단지에 투자하되, 원금을 절대 지키면서(높은 전세가율, 서울 60%, 경기 70%, 지방80%)
리스크 - 리스크보다 기대수익이 더 크고, 감당가능하다면 투자한다.(잔금 대비, 역전세 대비 가능여부)
투자를 잘 하는 사람들의 실전투자 프로세스
정보수집
투자기준
가격관찰
최종 투자후보물건을 실제로 매수까지 하는 프로세스
“사장님 101동 902호 보다 더 괜찮은 물건 없나요? 혹시 더 네고가 안될까요”
내가 뽑은 1등보다 더 좋은 물건이 없는지
옵션이 많아질수록 협상에 유리
투자를 잘 하기 위해 반드시 해야하는 일
1단계 - 투자한 시점의 나를 복기
투자를 했을 당시의 상황과 투자를 결정한 이유를 상세하게 기록한다.
언제? 매수, 전세 세팅 후
투자를 결정한 시점에 내가 보았던 것들이 무엇이었는지, 당시의 나의 시야로는 어디까지 볼 수 있었는지를 남겨두기 위해
2단계 - 숨겨져 있던 리스크와 기회탐색
내가 보지 못한 기회가 있었는지, 내가 보지 못한 리스크가 있었는지
언제? 투자를 마치고 평온한 상태가 되었을때
조급함으로 좁아졌던 시야 때문에 투자를 결정한 시점에 내가 보지 못했던 다양한 기회와 리스크를 확인하기 위해
3단계 - 결과를 통한 복기
내가 했던 결정과 투자의 결과를 확인해본다.
언제? 1년후, 그 이상의 시간을 보내면서
과거의 내 선택이 옳은 선택이었는지, 더 합리적인 선택지가 있었는지, 내가 한 투자의 장점과 아쉬운점을 확인하며 투자기준을 다듬기 위해.
투자자의 자세
일, 가정, 육아, 투자를 병행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일이다.
하지만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투자에 몰입을 해야 한다.
그러나 오래 투자를 하려면 건강, 가정을 모두 지켜야 한다.
투자에 몰입하되, 과몰입하지 말고 꾸준히 하자.
해보자. 쫄지 말자. 가능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