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포도링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셨던
인테리어 경험을 나눠보고자 합니다.
특히, 구축을 매매하시는 분들은 인테리어에 대한 고민이 많으실 텐데요.
지방 30평대 셀인 (직영공사), 서울 20평대 턴키 인테리어 한 경험이 있어서 나눠보고자 합니다.
# 인테리어 범위 및 비용 설정
가장 먼저 인테리어 범위 및 비용 설정이 필요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1. 어디까지 수리할 것인지 (베란다, 도배, 장판, 조명, 화장실, 싱크대, 신발장 등)
2. 내가 생각하는 인테리어 예산은 어디까지인지
를 확인하는 것이 Point 입니다.
그리고 만약 투자물건에 대한 인테리어라면
이 모든 것은 ★가계약 이전★에 어느 정도는 이뤄지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인테리어 범위와 비용은
저희의 투자금과 전세셋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예시를 들어 자세하게 설명드려보겠습니다.
저의 1호기는 지방 30평대 09년식 물건이었습니다.
1) 시장 및 단지상황
당시 그 지역은 전세가 별로 없는 상황이었고,
부동산 사장님께 확인해보니
"깔끔해보이기만 하면 세는 나간다"고 합니다.
실제로 전세나 매매로 나온 다른 집들도 찾아가 확인해보니
크게 수리한 집은 없었습니다.
2) 물건 상황
하지만 제 물건은 베란다에 곰팡이가 가득하고
페인트도 좀 벗겨진 상황이었습니다.
벽지는 누렇고, 조명도 예전 조명이라 집이 어두워보였습니다.
화장실은 문이 불고, 타일이 깨진 상황이었죠.
깔끔함과 거리가 멀어보이는 집이었습니다.
3) 범위 설정
그래서 저는 싱크대나 수납장, 샷시, 장판등은 깨끗하니 그대로 두고
베란다 페인트, 거실 화장실 (문 포함), 도배, 조명 정도만 수리하기로 합니다.
4) 비용 설정
숨고 등의 사이트를 통해
설정한 범위로 인테리어 하는 경우의 비용을 대략적으로 확인합니다.
(★이때, 가능하면 그 가격 이상으로 매매가를 Nego 합니다.)
숨고에서 받은 견적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면서
수리비가 대략 300만원정도 들겠구나
턴키로 진행한다면 500만원 정도겠구나 판단할 수 있었습니다.
(슬프게도 이때 턴키랑 가격차이가 많이나서
각각 고용했고, 스케줄 짜는데 애먹었습니다..
가능하면 턴키를 추천합니다….ㅠ)
# 구체적인 인테리어 요구조건 설정 & 스케줄링
이제 어느정도 방향을 잡았다면?
구체적인 인테리어 요구조건을 설정합니다.
예를 들면,
도배는 광폭 합지로, 장판은 1.8T로, 화장실 타일은 무광 포세린으로 등등
각 항목별 세부사항을 정해놓는 겁니다.
사실 처음 인테리어를 한다면
광폭 합지가 뭐지? 장판 1.8T가 뭐지? 부터 시작할텐데요.
저도 그래서 일단 인테리어를 들었습니다.
https://weolbu.com/product/3279?inviteCode=0EF50B&utm_source=user_share&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user_share_button
내 집 1등 만드는 가성비 인테리어 노하우 | 월급쟁이부자들
강의를 들어보면
도배지 브랜드부터 화장실 변기종류에 문 종류까지
정말 자세히 나와있어서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대략적인 예상 금액도 나옵니다)
이제 제 투자물건에 적용해보겠습니다.
이번 예시는 서울 20평대 투자물건인데요.
나름 직장수요가 꾸준한 곳이었기 때문에
10년을 가져갈 생각으로 올수리하기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1) 제 물건에 대해 수리할 부분을 상세히 기록하고 표시합니다.
인테리어를 하기로 설정했던 부분들을
평면도 위에 표시하면서 디자인을 더 구체화 시키는 단계입니다.
아래는 실제 제가 작성했던 인테리어 디자인입니다.
여기에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2) 각 부분별 상세내용을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여기까지 왔으면 이제 한 60% 정도는 끝났습니다.
# 업체 견적 요청 및 미팅
위에서 작업한 결과물 (인테리어 디자인 / 세부내용)을
그대로 인테리어 후보 업체에 전달하면 됩니다.
여기서
1. 인테리어 후보 업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합니다.
1) 네이버에 인테리어하고자 하는 아파트명 + 00평 + 인테리어 를 검색해서 나오는
내 아파트 단지 인테리어 경험이 있는 업체 ★
2) 부사님한테 소개 받은 업체 ★
3) 숨고
4) 호갱노노나 입주민카페에서 추천하는 업체
★해당 단지를 인테리어한 경험이 있는 업체★는
꼭 후보에 넣으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인테리어를 해봤기 때문에
구조의 특징을 잘 알고 있고,
그만큼 돌발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죠.
저같은 경우에는 이 과정에서
- 천장에 여유공간이 없어서 다운라이트를 못 넣는다는 것
- 샷시가 원래 좋은 샷시는 아니라는 것
- 기존 걸레받이가 6cm이기때문에 4cm로 바꾸려면 추가 그라인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
등을 알 수 있었습니다.
견적을 후보업체 최소 10곳 이상에 뿌리고
2. 세부사항을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여기서 확인해야할 내용은
1) 각 세부사항의 범위 (청소비, 보험비, 엘베보양/사용료, 공사동의서 등 포함여부)
2) 각 세부사항의 가격 수준, 총 가격 수준
3) 사장님의 업무 스타일 (꼼꼼, 빠른피드백, 단지 인테리어 경험 유무)
4) 일정 (소요기간, 가능한 일정)
5) A/S 기간 및 범위
6) 잔금 처리 방법 (계약/착수금/중도금/현장 확인 후 잔금의 비율)
7) 현금영수증 여부
등 정도입니다.
여기서 마음에 드는 후보업체를 3군데정도 골라서
2. 미팅을 진행합니다.
미팅은 업체를 방문해도 좋고,
★업체가 작업하는 인테리어 현장을 방문하는 것★
도 좋은 방법입니다.
저는 신혼여행 중이라
업체가 작업하는 인테리어 현장까지는 가지 못하고
이전 작업 포트폴리오 사진들을 다양하게 받아봤는데도
인테리어 후 마감상태를 보고 살짝 후회했습니다.^^
인테리어는 마감이 전부라고도 볼 수 있으니
꼭 현장에 방문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미팅한 업체 중에
일정, 비용, 사장님 업무스타일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3. 최종 업체를 선정합니다.
이때 저는 제 요구사항을 100% 수용해주는 사장님을 선택했는데,
지금 돌이켜서 생각해보니
400만원 더 주더라도 자기 주관이 뚜렷하고
인테리어의 디자인을 주도적으로 같이 고민해주고 방향을 잡아주는
마감에 자신있어하는 업체를 고르는 게 나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나 현장에 자주 방문할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금액적으로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돈 더 주더라도 위와 같은 업체로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 인테리어 계약
1) 계약서
인테리어 계약서는 위에서 작성했던 모든 자료가 반영되었는 지 확인합니다.
저는 계약서에 제가 작성한 PPT와 엑셀표가 모두 첨부되도록 했습니다. (혹시모르니까..)
2) A/S 내용 명시
저같은 경우 A/S 1년, 페인트 3년, 도배 6개월 등의 조건을 걸었습니다.
3) 공사대금 지급방법
저는 계약 10% / 선금 60% / 현장 확인 후 잔금 30%로 진행했는데요.
잔금은 반드시 공사 완료된 후에 현장 확인 후 30% 지급하는 것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그래야 하자보수 요청하기가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4) 현금영수증 여부
만약에 샷시나 확장처럼 양도세 처리가 필요한 부분이 포함된다면
현금영수증을 꼭 요청하셔야 합니다.
나머지는 개인의 편익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 인테리어 진행
1) 인테리어 일정표
인테리어 시작 전에 사장님께 인테리어 일정표를 요청합니다.
(말 안해도 주실 수도 있어요)
저 같은 경우는 아래와 같이 받았습니다.
2) 소요 기간
인테리어는 20평대 올수리 기준으로
대략 3~4주정도 소요됩니다.
소요기간이 상당한데 저희는 전세를 맞춰야하는 입장이니까
가계약 하자마자 인테리어 업체알아보고
계약 하자마자 인테리어업체도 같이 계약하는 신속함이 필요합니다.
(★특히 인기 많은 업체는 미리 일정을 잡아야해요!!)
3) 현장 방문
개인적으로
철거 / 샷시 / 도배 / 타일 / 목공
등은 직접 현장에 가셔서
작업하시는 것을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해당 작업들은 마감이 중요한 작업들이며,
나중에 수정이 어려운 부분이라
현장에서 즉시 수정요청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위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신행중이라 현장을 가기가 어려웠는데요.
감사하게도 사장님께서 매일매일 작업 후에 아래와 같이
문자로 현황을 보내주셨습니다.
(철거 때는 혹시 모를 누수나 하자 꼭 확인해달라고 합니다 ★)
4) 하자보수
저 같은 경우에는 처음에 요구드렸던 사항과 일치여부를 확인했고,
마감이 부족한 부분이나 교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Word로 아래와 정리해서 드렸습니다.
(거의 한 6~7장 나온..^^.. 이 부분은 제가 유별날 수도 있어요
감사합니다 사장님..)
5) 추가금 발생
인테리어를 진행하다보면
철거 후에 집 상태에 따라 추가금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보일러 관이 노출돼서 보완이 필요하다던지,
저처럼 집이 낡아서 가벽을 헐고 문을 키워야된다던지..
계약 전에 추가금에 대한 부분은 협의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마무리
네.. 인테리어 대장정이 끝났습니다.
20평대 올수리 기준
인테리어 타임라인을 정리해보면 이렇습니다.
저는 운 좋게 인테리어 전에
세입자가 뷰만 보고 살겠다고 결정한 케이스라
공사가 더 빠르게 진행된 부분이 있는데요.
보통은 잔금이 3개월이시니
이것보다는 여유가 있으실 것 같습니다.
금액적인 부분은 매번 물가가 오르는 상황이고
선택하시는 퀄리티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겠지만
서울 기준
20평대 샷시포함 올수리 2000~3000만원
30평대 샷시포함 올수리 4000~5000만원
정도 예상되네요.
갓PT로 요약해보면 아래와 같으니 참고 부탁드리고,
모두들 인테리어 성공하세용 ♥
(인테리어 물어봐주신 마바님 감사합니다.
덕분에 정리 잘 할 수 있었습니다)
🏠 인테리어 경험 요약 (지방 30평대 / 서울 20평대)
✅ 1. 인테리어 범위 & 비용 설정
수리 범위: 도배, 장판, 조명, 화장실, 베란다 등 항목별 결정
예산 설정: 숨고 등에서 견적 확인 → 매매가 협상 시 활용
투자물건의 경우: 가계약 전에 범위·비용 검토 필수
✅ 2. 세부 요구조건 설정 & 스케줄
자재 선정: 광폭 합지, 1.8T 장판, 무광 포세린 타일 등 사양 정리
디자인 구체화: 평면도에 수리 부분 표시, 세부사양 문서화
도움 자료: 인테리어 강의로 기본 이해력 향상 추천
✅ 3. 견적 요청 및 미팅
업체 찾기: 단지 인테리어 경험 업체 우선 + 숨고/네이버/입주민 추천
최소 10곳 이상 견적 요청, 범위·가격·일정·A/S 등 비교
미팅: 현장 방문 or 포트폴리오 확인 → 마감 중요!
✅ 4. 계약 시 주의사항
계약서 첨부자료: PPT, 엑셀표 등 요구사항 반영
A/S 조건: 도배 6개월, 페인트 3년 등
대금 분할: 계약 10% / 선금 60% / 잔금 30% (현장 확인 후 지급)
현금영수증: 샷시·확장공사 시 필수 (양도세 관련)
✅ 5. 인테리어 진행
일정표 요청: 인테리어 시작 전 스케줄 확인
작업 현장 확인 추천: 철거, 타일, 도배, 목공 등은 직접 확인
하자정리: Word로 마감 상태 정리 후 보수 요청
추가금 발생 가능성: 철거 후 노후상태에 따라 발생
✅ 6. 전체 소요기간 & 비용
20평대 올수리: 3~4주 소요
비용 예상:
서울 20평대: 2000~2500만원
서울 30평대: 4000~4500만원
💡 핵심 팁 정리
단지 경험 있는 업체 우선
공사 전후 체크리스트 꼼꼼히
현장 방문 or 최소한 사진 확인 필수
마감 퀄리티는 사장님의 성향이 좌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