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원칙3부
저자 및 출판사 : 레이달리오
읽은 날짜 : 8월 셋째주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성과주의 #원칙 #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9점..
엄격한 사랑은 훌륭한 일과 훌륭한 관계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이다.
1.극단적 진실과 극단적 투명성을 믿어라
의미 있는 관계와 의미 있는 일은 극단적 진실과 극단적 투명성이 뒷받침될 때 상호보완적이다.
2.의미 있는 일과 의미 있는 관계를 구축하라
조직의 공동 임무에 충실하라. 그리고 지속적으로 조직의 임무를 수행하지 않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마라.
3.실수는 용인되지만, 실수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문화를 만들어라
고통 + 자기성찰 = 발전이라는 것을 명심하라.
4.조화를 이룩하고 유지하라
1+1=3 협력을 잘하는 두 사람은 각자가 개별적으로 일할 때보다 3배 정도 효율이 높다.
5.신뢰도가 결정에 영향력을 미친다
당신과 생각이 다른가장 믿을 수 있는 사람을 찾아라. 그리고 그들의 생각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라
6.견해차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배워라
7.누구인가가 무엇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하라
결과뒤에 있는 힘을 기억하라. 대부분의 사람은 주변을 보면서 결과를 만들어낸 힘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결과를 만든 힘은 특별한 방식으로 일하는 특유의 자질을 갖춘 사람들이다. 사람을 바꾸면 발전하는 방식이 바뀐다.
8.잘못된 채용의 대가는 막대하기 때문에 올바른 사람을 고용하라
9.사람들을 끊임없이 교육하고 검증하고 평가하고 분류하라
10.목표를 달성하려면 기계를 작동시키는 것처럼 조직을 관리하라
11.문제를 파악하고 용인하지 마라
12.근본 원인을 찾기 위해 문제를 진단하라
13.문제 해결을 위해 시스템 개선 방법을 설계하라
14.계획한 일을 하라
계획을 세우기 위해 사용한 시간은 실행하는 데 들어가는 시간에 비교하면 사실상 거의 아무것도 아닐 것이다. 계획은 실천을 훨씬 더 효과적으로 만들어줄 것이다.
15.일하는 방법을 정립하기 위해 도구와 규칙을 활용하라.
16.지배구조를 간과하지 마라.
종합정리
부록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가?
에이스반의 가장 좋은 점은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다. 피드백을 통해서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최근 궁금점이 생겼다. 그중에서도 감정을 빼고 어떻게 문제를 파악하는 부분이 가장 어려운데, 의미에 집착한다면 사실을 찾을 수 없다고 했다.
동료가 밤을 새서 6시간 동안 스스로의 피드백을 낱낱이 분해하는 경험을 듣고, 평을 통해서 성장하는 것은 저런 것이구나를 많이 느꼈고, 내가 이때까지 했던 피드백은 일시적인 문제해결과 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1)피드백을 사실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필요하다. (원칙) OT에서 알려준 WHY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고 기준을 갖고 피드백을 분해해본다.
2)피드백에 대한 솔직한 복기를 바탕으로 멘토님과 동료들에게도 솔직하게 오픈해야한다. 그리고 내가 잡은 방향성에 대해 묻고 열린자세로 받아드리는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나 이 과정에서 명확한 액션플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3)이런 피드백이 쌓이면 실수들 사이의 연관관계를 찾아서 목표를 달성하는데 큰 약점을 찾고 나에게 큰 도전 과제를 점차 찾고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정리: “WHY에서 시작한 피드백 분해→솔직한 복기→복기에 솔직한 질문과 방향성→구체적인 액션플랜→누적으로 인한 목표 달성” 으로 피드백에서 제대로 배우는 사람이 되고 싶다.
OT 읽고 기준을 세워 피드백 복기
p.698
브리지우터의 아이디어 성과주의를 위한 도구와 규칙이 소개 되어 있습니다.
여러분도 성장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와 규칙이 있는지, 도구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이야기 나눠보고 싶습니다.
댓글
BEST | 튜터님께서 깨달으신 바와 지난번 튜터링때 말씀해 주신 것을 적용해서 저도 8월 복기에는 이전 보다 조금 더 깊이있게, 솔직하게 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튜터님 독서후기 고생하셨습니다.피드백이라는것에 대해 튜터님의 후기를 통해 다시 생각해보았습니다. 저또한 피드백을 수용하고 개선하는것이 쉽지 않았는데...피드백에 대해 다시 새겨보는 시간 만들어주어서 감사합니다.🩷
튜터님과의 대화에서 저 스스로를 솔직하게 열어본다는 의미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았습니다. 그것은 곧 메타인지로 이어지면서 저란 사람을 성장시킬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음을 또한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실수와 실패를 덮어두려고 하는 행위 자체가 결국은 실패로 가는 지름길임을 깨닫고, 작은 실수와 실패가 모여 결국은 아주 큰 성과를 만들어내는 자세를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는 병가지상사 대화에서 저 스스로를 솔직하게 열어본다는 의미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았습니다. 그것은 곧 메타인지로 이어지면서 저란 사람을 성장시킬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음을 또한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실수와 실패를 덮어두려고 하는 행위 자체가 결국은 실패로 가는 지름길임을 깨닫고, 작은 실수와 실패가 모여 결국은 아주 큰 성과를 만들어내는 자세를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는 병가지상사(兵家之常事)라는 말을 올 해의 키워드로 삼고 있습니다. 하나의 실수, 하나의 실패를 통해 꼭 깨달음을 얻는 시간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튜터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