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투자스터디

나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미래 자산 및 수익률

25.08.21

 

1. DAY1 강의를 듣고 느낀점, 적용할 점

 

: DAY1 강의를 듣고 내가 돈이 필요한 이유와 그걸 가지고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목표가 명확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막연하게 돈이 많으면 좋으니까 벌어야지 보다는 내가 목표로 하는 것이 무엇이고 그래서 어떤 이유로 어느 정도의 돈이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계산해야 나에게 필요한 자산과 그 자산을 달성하기까지 필요한 원금 및 수익률을 구체적으로 계산할 수 있기에 목표달성을 위해서 과정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과정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2. 수익률 계산기를 통해 나온 

나의 은퇴 목표 금액, 목표 연수익률, 
가능한 은퇴 시기는 언제인지 적어보세요.  

(3단계 플랜 이미지 첨부) 

 

: 수익률 계산기를 통해 나온 저의 은퇴 목표 금액은 약 17억원 정도네요. 은퇴 이후 남은 시간을 약 30년으로 잡고 지금에서 30년 정도가 지난 시기이기에 물가 상승률이 2.5~3배 정도 된다고 생각했을 때 현재 기준으로 달에 150 정도를 쓴다고 가정하면 최소로 필요한 금액을 잡아도 이정도는 필요할 듯합니다. 

 수익률 계산기로 봤을 때 이정도 금액은 제가 년 2000만원씩 꾸준히 모은다고 했을 때 최소 7~8% 정도의 연수익률이 30년은 받쳐줘야 가능한 금액이었습니다. 물론 월급이나 저축가능금액이 변경되어 높아질 수도 있지만 그런 부분들을 제외하고 생각한다면 현재 기준으로 필요한 목표 연수익률은 안정적으로 10% 정도는 되면 좋겠군요.

이렇게 된다고 했을 때 가능한 은퇴시기는 남들보다 약간 이른 54세 정도가 되겠네요. 그래도 끝까지 직장에서 싫은 소리 다니며 듣지는 않을 수 있는 정도의 시기이겠습니다. 이때 상황을 고려해봐야겠지만 직업적인 만족도가 높다면 굳이 그만다닐 이유가 없고 그만두고 싶은 시점이라면 모아놓은 돈을 기반으로 배우자 혹은 자녀들과 함께 가까운 곳이라도 매주 놀러다니고 산책을 즐기며 맛있는 음식을 즐기는 삶을 누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달성계획 세우기.png

    다운로드

댓글


유르
25. 08. 21. 21:00

하진원님~ 은퇴 혹은 퇴사를 하고서도 충분한 수익이 들어올 수 있는 시스템을 우리함께 꼭 만들어봐요! 첫주차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