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AY1 강의를 듣고 느낀점, 적용할 점
투기와 투자에 대해서 자신있게 남편에게 설명하기 애매했는데, 이제 자신 있게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난 부동산에 투자하는거야~.”
또한, 토지,아파트,오피스텔의 편익과 비용에 대해서 정리해주셨는데, 안전하고 보다 쉬운(?) 아파트도 투자를 하면 되겠다는 확신이 생깁니다. 투자수익률 계산해보기 과제를 해보니, 저는 연30%수익률을 내고 싶더라구요. 하지만, 너무 욕심 내지 않고 20%정도 목표로 7년 정도 생각하고 열심히 투자해보고 싶습니다. 그런데, 20억 아파트가 있다고 볼 떄 20%수익률이 되려면 1년 후 24억이 되어야 하는데 가능할지는 잘 모르겠어요.ㅎㅎ 그럼 20억 아파트라고 볼 때 10%면 22억..
2. 수익률 계산기를 통해 나온 나의 은퇴 목표 금액, 목표 연수익률, 가능한 은퇴 시기는 언제인지 적어보세요.
1) 은퇴 목표금액 : 74억(실거주 포함)
실거주를 제외한 투자가용금액과 실거주에서 전세로 옮긴 후 가용금액을 최소로 했을 때 2가지 케이스로 나눠서 계산해보았다.
CASE1. 현재 투자 금액 2억 기준
| 저축만 | 플랜 A | 플랜B | 플랜C | 플랜D |
수익률 | 2% | 10% | 15% | 20% | 30% |
달성자금 | - | 19,793,052,892 | 7,604,050,837 | 7,990,246,651 | 7,230,854,287 |
필요 연수 | 노답 | 44년 | 24년 | 19년 | 12년 |
CASE2. 현재 투자 금액 2억 + 전세거주 뺀 10억 =총12억기준
| 저축만 | 플랜 A | 플랜B | 플랜C | 플랜D |
수익률 | 2% | 10% | 15% | 20% | 30% |
달성자금 | - | 6,475,406,343 | 6,717,295,387 | 6,408,325,074 | 7,871,982,268 |
필요 연수 | 노답 | 17년 | 12년 | 9년 | 7년 |
현금흐름이 좋지 않아 저축으로만 모으려면 100세까지 일해야 할 판이다..다행인건 실거주 자산이 있어서, 생각보다 빨리 은퇴가능할 것 같다. 그래서 무조건 자산을 만들어야한다는 거구나. 월급이 자산 상승분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말을 실감했다.
댓글
와바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