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초보경험담

(사례 첨부) OOO의 중요성 2탄 [채너리]

25.09.11

안녕하세요~
20대 3년차 투자자 채너리입니다 :)

 

이전에 제가 구축 투자에서

“쾌적성”의 중요성을 이야기 했던 적이 있는데요,

 

오늘은 “부천”이라는 지역 내에서

사례를 조금 더 확장시켜서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

 

 

1. 단지 내 쾌적성

 

먼저 부천에서 가장 좋아하는 상동역 위에있는

라일락경남아너스빌 vs 다정한금강kcc 입니다.

 

 

 

잠깐 지역에 대해서 얘기를 해드리자면

상동역 위로는 아파트 단지들만 가는 상일초와

빌라가 섞여서 배정받는 상인초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상일초를 상인초보다 선호합니다.

 

그리고 이 상동역 윗 부분은 7호선 라인을 경계로

역에서 한 블럭씩 멀어질수록 비싸지는 경향이 있죠.

 

 

 

 

여기까지 들었을 때 여러분들은 

상동역에 더 가깝고 + 상일초 배정인 

라일락경남아너스빌

상동역에서 더 멀고 + 상인초 배정

다정한금강kcc 중에서

어느 단지를 선택하실 건가요?

 

 

가격을 한번 붙여보겠습니다.

 

 

뭔가 이상합니다. 만약 앞서 설명드린 

1) 상동역 접근성 2) 선호초 여부

두 가지로만 설명을 하려고 했더니

역설적으로 늘 다정한kcc가 

더 가격이 높은 것처럼 보입니다.

 

 

이건 왜 그런걸까요?

이미 제목에서도 정답을 공개했지만,

둘은 “단지 쾌적성”에서 차이가 납니다.

 

지도에서도 유추할 수 있지만

아파트 단지를 실제로 가보면

Kcc가 경남보다 훨씬 더 땅이 넓고 쾌적하죠. 

 

즉, 단지 쾌적성이 

선호초배정 여부를 뛰어넘는 것입니다.

 

다정한금강kcc

 

라일락경남

 

 

그렇다면 앞서 이야기했던

역에서 조금 더 가까운 건 어떨까요?

 

경남의 경우 역에서 조금 더 가까운 듯 해보지만

실제로 위치상으로는 약간 빗겨져 있어서

막상 현장에 가보면 사람들이 걸어서 이동하지 않고

버스나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는 편입니다.

 

즉, kcc와 경남 모두

보조수단을 이용해서 상동역에 접근하기 때문에

사실상 지하철이 좀 더 가까운지 보다는

단지 쾌적성이 훨씬 중요해지는 것이죠.

 

 


 

2. 단지 주변 쾌적성 적용 사례

 

라일락경남과 다정한kcc의 사례처럼

단지 자체의 쾌적성 또한 중요하지만 

주변 환경의 쾌적성 또한 매우 중요해집니다.

 

이를 부천에서도 똑같이 볼 수 있는데요,

바로 신중동역 쪽의 유흥 상권입니다.

신중동역 쪽은 상동역의 먹자 상권과는 다르게

유흥느낌이 강하게 드는 곳입니다.

 

신중동역 인근 먹자 상권 (유흥)

 

이 근처에는 그린타운과 미리내마을이 있는데요

실제로 이 아파트들은 예전에는 “계남 학군”으로

꽤나 선호도가 높았지만

최근에는 유흥상권으로 인해서

아이들 키우기가 어려운 환경이되자

가격의 힘이 빠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유흥상권이 생기기전과, 

계남 학군의 힘이 있었을 때는

부천시청역 인근의 보람마을아주 아파트와 

비슷한 가격 흐름을 보였지만

지난 상승장에서의 전고점과 현재의 가격차이가

벌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략 2억가량 차이가 났네요.

 

 

 

이처럼 단지 내의 쾌적성 또한 중요하지만,

단지 주변의 쾌적성 

“없어야 될 게 있는가?”

따져보는 것이 전제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3. 마치며

 

오늘은 간단하지만,

단지 주변의 쾌적성과 

단지 내의 쾌적성의 중요성을 알아봤습니다.

 

“더 버는 투자”를 위해서는

이런 디테일을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사례에서 같이 살펴봤듯,

입지 요소나 지도로만 판단하며

데이터로 생각하는 것보다

(ex: 계남 학군이 전통 학군지니깐,

이 단지가 역에서 좀 더 가까우니깐,

이 단지의 초등학교를 좀 더 좋아하니깐…)

 

실제 거주민들이 매일 느끼는

단지 내 쾌적성과, 단지 주변의 쾌적성을

현장에서 조금 더 예민하게 느끼는 것이

(ex: 여긴 단지 주변에 퇴폐 상권이 너무 많네 or

역이랑 조금 더 멀더라도 이 단지에 살고 싶겠다)

 

여러분들의 더 버는 투자를 위해서

훨씬 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됩니다.

 

여러분들의 앞마당 중

생각나는 다른 사례는 무엇인가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킴나두
25. 09. 11. 07:41

데이터로 생각하기 보다 실제 거주민들이 어떻게 느끼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튜터님 감사합니다♡

아처
25. 09. 11. 07:45

단지 내부와 외부의 쾌적성이 학군지와 역접근성보다 중요한 단지들도 있다는 것!! 감사합니다~~

240326
25. 09. 11. 08:13

감사합니다 튜터님 실제로 걸어보고 느끼는 것의 중요성 기억하겠습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