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 책 제목(책제목 + 저자) : 부의 전략수업 / 폴 포돌스키
- 저자 및 출판사 : 폴 포돌스키 / 필름
- 읽은 날짜 : 2025. 9월
- 핵심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투자 #자본주의 #가격
- 도서를 읽고 내 점수(10점 만점) : 7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거시 정치와 경제 관련 글을 쓰는 작가다. 월스트리트에서 20년 이상 일하며, 세계 최대 헤지펀드에서 전략가이자 파트너로 활동했다. 이전에는 기자로 활동하며 과 등에 기고했다. ‘폴 포돌스키 닷컴(paulpodolsky.com)’을 운영하면서 투자 관련 글을 포스팅하고 있다. 저서로, 부모가 되는 것에 관한 회고록 『도둑 키우기(Raising a Thief)』와, 재정 전쟁을 겪는 내용의 스릴러 『마스터 미니언(Master, Minion)』이 있다
2. 내용 및 줄거리
p32. 내가 좋아하는 것과 돈을 버는 것을 연결해야 했다.
p44. 지식의 공백을 메우고 이해를 넓히기 위해서는 좋은 사고의 틀, 즉 프레임위크가 필수적이다.
p45. 인플레이션의 구성 = 유가(기름값) 25% + 주거비 25% 임금 50%
p51. 돈은 많을수록 좋지만, 쓸데없이 낭비하지 마라
p57. 차분할수록 돈을 더 잘 다룰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첫 번째 단계다.
p59. 나는 건강한 사람이고, 소중한 사람들이 곁에 있으며,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스스로 상기시키자. 이처럼 차분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p80. 투자자로서 돈을 벌기 위해서는 군중심리에 휩쓸리지 않고, 시장의 감정 변화(낙관과 절망)를 읽어야 한다.
p82. 변동성은 변화의 속도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금융 분야에서 사용된다.
p84. 변동성은 피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돈을 잘 다루는 첫걸음은 변화가 닥쳤을 때 침착함을 유지하는 것이다.
p100. 근로 시장에서 경쟁하려면 자신만의 강점을 찾아야 한다. 물론 학교 교육이 어느 정도의 단서를 주기는 한다.
p131. 부란 자신이 지불하는 가격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에서 시작되다.
p142. 내가 소비에 있어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위치에 서려면, 누군가는 어려움을 겪어야 한다. 이는 또 다른 불편한 진실이다.
p144. 더 많은 돈을 벌기 시작하면서부터 과거처럼 검소하게 살 수 없었다. 오히려 과거에 비해 절약이 훨씬 어렵게 느껴졌다. 이는 돈이 가진 특유의 함정이다. 사람은 자신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필수적인 것’과 ‘적절한 소비’에 대한 인식이 바뀐다. 수입이 늘어나면 소비도 덩달아 증가하기 쉽다.
p151. 투자의 핵심은 현재 가격에 반영되어 있지 않은 무언가를 보는 것이다.
p195. 어떤 길을 선택하든.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명확히 파악해야 한다. 자연스럽게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게임을 선택해야 한다.
p199. 사내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방어책은 자신의 업무에서 탁월함을 증명하고 조직에 기여할 기회를 찾으며 타인의 필요에 집중하는 것이다.
p212. 사람들과 잘 지내는 것도 업무의 일부라고 생각했다. 이런 행동을 인사팀에서는 편향적이라고 싫어할 수도 있지만 나는 그것을 생존 전략으로 여겼다.
p226. 조직에서 성장하고 자신의 가치를 높이려면 반드시 레버리지를 확보해야 한다. 이것은 곧 당신을 더욱 가치 있는 존재로 만든다.
p282. 부채는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세입자’에서 ‘소유자’로 넘어가는 다리와 같다.
p334. 투자는 쉽게 익힐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평생에 걸쳐 지속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분야이다.
p432. 자신이 거래하는 시장의 역사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시장 흐름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p436. 평생의 공부를 통해 이해가 점차 깊어진다는 것이다.
p462. 돈을 걱정하되, 현명하게 걱정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p518. 돈이 행복을 만들어 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돈은 자율성을 준다.
3. 책을 덮고 나서 단 한 문장으로 표현하면?
돈, 커리어, 삶의 중심가치는 내가 설계하는 것이다.
4. 알게된 점, 벤치마킹 할 거
댓글
구리구리황동구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