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추천도서후기

[퓨미 독서후기] 인생의 컨닝페이퍼 - 박종경 (25년 9월 5번째 독후)

25.09.23

(키워드)

-부자

-돈

-절약

-습관

-생각변화

 

(줄거리 및 느낀점)

 저자는 변호사 일을 하면서 느껴온 사람들의 돈에 대한 가치관에 따라 어떤 삶을 살게 되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 간다. 세상엔 돈에 대한 다양한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있고 그 가치관이 얼마나 확실하게 기준이 잡혀 있는지에 따라 사람은 성공하고 망하고 결정이 된다 한다. 

 가장 기초는 벌고 모으고 불리고의 단계로 자산을 거쳐야 하는데 불리고의 단계에서 쉬운 길을 선택하면 망하는 길이라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굉장히 디테일 하고 경각심이 들게 이야기 해 준다. 내가 정확하게 아는 자산에 대해서만 투자 해야 하며. 큰 부를 쉽게 얻을 수 있는 방법 같은 건 없다는 말이 크게 귀감이 됐다. 

 내가 지금 하고 있는 투자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하게됐고 내가 지금 올바른 길을 걸어가고 있다는 확신을 들게 해준 책에 내용이었다.

 

(다시 보고싶은 문구)

86. 매일 주식 종목을 연구하고 기업을 분석하거나, 공학 기술의 최전선에 있었기에 기회를 잡은 것이다.

 그러나 분수에 맞지 않는 복이 들어왔을 땐 의심해야 한다. 노력 없이 얻은 기회와 이유 없는 소득은 항상 위험하다. 

(운이 운인 줄 아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다. 운으로 얻어진 것을 실력으로 착각 하지 않기. 나에게 운좋은 기회가 오고 운이 좋은 결과가 오더라도 실력으로 자만하지 않고  늘 시장 앞에 겸손한 투자자가 되자.)

 

291. 자산을 쌓기 위해서는 남들을 신경 쓰지 않는 용기와 대중의 흐름에 휩쓸리지 않을 판단력, 그리고 실행력이 필요하다. 

(지방임장 간다고 할 때 사람들의 반응을 보면 지금이 정말 지방에 기회이구나 라는 걸 깨닫는다. 실행하고 행동하자.)

 

366. 일하는 시간은 지나치지 않도록 신경 쓰면서 휴식에는 한계를 두지 않는 건 아닐까? 워라밸의 개념을 제대로 충족시키려면 휴식에도 한계를 두어야 한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에는, 휴식에 한계를 두지 않으면 나태로 직결된다는 내용이 나온다. 

(휴식이 무작정 쉬는 게 아닌 나에게 리프레시가 되는 것을 정확하게 알고 그 행동으로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시간만 사용 하자. 휴식도 계획적으로 해야 한다. 

내가 얼만큼 자야 피곤이 해소 되고, 어떤 행동을 해야 기분이 나아지는지, 6시간 이상은 자야 돼 피곤이 해소 되고, 운동을 해야 환기가 되는 걸 명확하게 안다. 시간을 정확하게 써서 너무 늘어지지 않게 일상에 적용 시키자.)

 

458. 시간을 복리로 늘어나는 자산이자 살아갈수록 희소해지는 자원이라고 생각하라. 그리고 그 소중한 시간을 자신에게 투자하라. 매 순간 그 가치를 느껴보려 노력한다면 의미 있는 삶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내가 하는 소비는 내 시간과 바꾼다는 내용이 굉장히 깊게 남는다. 이번 달 바보 비용이 너무 많았어서 많이 반성하게 됐다.)

 

460.  하루 8시간 근무로는 부를 얻을 수 없다. 성공한 사람들은 근로 시간을 따지지 않는다. 법정 근로 시간만 일하면서 타인보다 앞서가길 바라는 것은 요행을 바라는 것과 같다. 

(경제적 자유 경제적 안정을 원한다면 지금 더 바삐 움직여야 하고 자산을 쌓아 가야 한다. 내가 하고 있는 것에 의미를 알고 이 시간이 얼마나 나에게 귀한지 알고 있다. 잊지 말자.)

 

514. 그럼 6개월 공부해보고 피드백을 드리겠다”라고 답했다. 이 말을 듣고 나는 더욱더 그녀의 성공을 확신했다. 이런 모습이 진짜 자신감이다. 근거 없는 낙관에 취해 있는 것이 아니라, 삶에 최선을 다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능력을 증명해보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 그리고 그것을 통해 얻는 성과가 진정한 자신감의 원천이다. 

(행동까지가 수용성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멘토의 피드백을 행동하자, 그리고 나오는 결과를 복기 하고 개선하여 흡수하자. 이번 3개월 눈부신 성장하자.)

 

670. 먼저 자신에게 충분한 대우를 해줘야 열심히 일하겠다고 다짐하는 상황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는 전형적으로 빈곤해지는 사고방식이다. 세상은 내가 먼저 그 가치를 보여줄 때 반응한다. 그것도 즉시 응답하는 것이 아닌, 꽤 많은 시간이 지난 후에 말이다. 

(댓가를 바라지 않는 나눔에 대해 생각하게 해줬다. 댓가를 바라지 않고  인정을 받았는데도  오지 않고 피드백이 없다면 그땐 상대는 데이커임을 알아차리자.)


댓글


인생집중
25. 09. 23. 22:20

완독과 완독 후기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