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몽치입니다.
지투기 3강은 저를 ‘몸치’라고 불러주신 지방마스터 자모님께서 강의해주셨습니다.
전부터 느끼는건데 자모님은 부산을 참 좋아해주시는 것 같아요. 그래서 현지인 이상으로 잘 이해하고 계신것 같기도 했습니다.
부산 러버 자모님 강의에서는 아래와 같은 내용들이 인상적이었습니다.
1. 광역시 투자, 입지&연식
전엔 안그랬는데 이번에 부산 앞마당을 만들면서 어려운게 있었습니다. 바로 입지vs연식인데요.
서울은 땅의 가치가 크다보니 입지평가로 순서가 정해졌던 반면, 부산은 연식이 이기는 경우가 많아서 헷갈리는게 컸습니다.
우선 지방광역시의 위상을 알려주시고, 이어서 부산의 위상을 보여주셨습니다.
중요한 건, 인구감소 및 지방 기피현상 모두 사실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선호도 좋은 걸 잘 선택하는 게 더 중요한 시장이 되었음을 느꼈습니다.
2. 구별 특징 및 인구이동(공급 영향 포함)
동부쪽은 저도 잘 알지만, 자모님 말씀대로 서부쪽은 잘 모르는데 덕분에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지금 앞마당을 파고있는 연제구를 진구, 동래구와도 비교하면서 볼 수 있었습니다.
저도 저렇게 크게 부산시 전체를 구별로 보고, 좁히고 싶은데 input이 적다는 걸 느꼈습니다.
또한, 인구이동의 의미를 다시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전입/전출이 일어나는 상대 지역구의 공급에 따라 인구이동이 내 지역구에서 빠질수도, 들어올수도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지금 부산 상황은 내년부터 남구를 제외하면 공급이 대부분 없어 안정적으로 볼 수 있었지만, 만약 공급이 여기저기 있었다면 저는 시뮬레이션을 여러모로 해봤어야 합니다.
언제든지 어디든지 투자할 수 있는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는 꼭 기억해야할 요소인 것 같아요
자모님처럼 지역 내 다른 구 공급도 다 봐야겠습니다.
3. 부산 현황 분석 및 전략
대장아파트의 중요성, 구별 구축 대장아파트!(이건 생각도 못했었습니다), 평당가의 의미 및 해석하는 법 등등 현란한 해석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너무너무 도움되는 내용들이었는데 이걸 제 임보안에 넣으려면 시간이 꽤 필요할 것 같아요…
일단은 강의를 듣고 교안을 보며 현 부산 상황을 열심히 이해하려고 했습니다.
1호기에 대한 가치와 상황도 살펴보며, 현 앞마당의 상황도 이해하려고 애썼습니다.
확실한 건, 지금 앞마당에서도 굉장히 분주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흐름을 이번 강의를 통해 알게 되었어요.
마지막엔 투자범위 설정 전략을 알려주시며 화룡점정으로 끝이 났습니다.
조원분들도 다들 자모님 강의를 너무 만족해했습니다. 저 또한 영양가 가득한 강의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항상 시간에 쫓겨 강의 2회독을 못돌렸는데 이번엔 필요에 의해서, 지금 이 시장에서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는건지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꼭 2회독을 해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이번 임보를 반드시 완료하고 강의를 2번 들으며, 다음 실전반을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몽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