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초보자 BEST]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너바나, 주우이, 자음과모음


1개는 과거 지방 광역시에 투자했던 물건의 매도 잔금 계약서
나머지 1개는 수도권에 투자한 매수 계약서였습니다.
회사가 바빠 휴가를 내기 쉽지만은 않았기에
'등기로 서류 보내고 위임을 할까?' 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하지만 처음 투자했던 물건의 잔금이었고
오랜 시간 바래왔던 수도권 투자 계약이었기에
회사에 양해를 구해 휴가를 내고
새벽 일찍 운동화 끈을 묶었습니다.
쌀쌀해진 아침 공기에 외투를 단단히 여미고 기차에 앉아 생각에 잠겼습니다.
3년 전 사고처럼 일어났던 첫 투자.
많은 수익을 안겨주진 않았지만 정말 많이 배웠다.
사실 지난 4년간 10회 이상의 계약서를 썼다보니
계약서를 쓰는 것 자체에 대한 감회는 크게 없었습니다.
하지만 막연하게만 생각해왔던 미래들이
눈앞에서 조금씩 이뤄지고 있는 것을 보니
지금도 지방 어디에선가 고군분투하고 있을
월부의 후배님들이 생각이 났습니다.
지방 출신에 돈 한푼 없었지만
나도 하면 되는구나. 정말 되네? 다른 사람도 할 수 있겠다.
그래서 오늘은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투자에 임하면 좋을지 얘기드려보고 싶습니다.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투자를 하면 됩니다.
최근 정부의 규제나 시장 상황에 따라
마음이 힘들어하는 분들도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여러분 21년 말을 생각해보세요.
그 때에 비하면 지금은 아직도 투자하기 좋은 시장입니다.
수도권 비규제지역도 여전히 -15% 이상인 곳 뿐만 아니라
지방은 여전히 -30%인 곳들이 너무 많습니다.
투자를 할까 말까 망설이는 시간을 줄여야 합니다.
누구나 좋아하는 유명한 단지, 비싼 단지들을 투자하면 너무 좋죠.
그리고 처음부터 수도권을 하면 좋겠죠.
하지만 주어진 환경을 탓하고 부러워하기만
하고 있다면 바뀌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투자란 가격이 많이 올라갈 것, 좋은 것을 투자하는 게 아니라
싸고 저평가된 물건을 투자하는 것입니다.
돈에는 꼬리표가 없습니다.
스스로 공부하고 판단해서 잃지 않을 투자라고 생각된다면
적극적으로 코칭을 신청해보고 첫 발을 내딛어보세요!

최근 지방 광역시 및 중소도시 투자 시 2년간 수익률 및 수익금
언제든지 투자 할 수 있는 실력이 자산입니다.
투자를 하고 나서 투자금이 떨어지거나 혹은
실전/지투 임장지에서 나의 투자금과 맞지 않는 곳에
배정되거나 의욕이 떨어지는 순간들이 찾아 올 겁니다.
그리고 '이쯤하면 됐지.' 그만두고 싶은 순간들도 찾아올 겁니다.
저 또한 그랬습니다. 투자금은 떨어지고, 의욕도 사라지고
월부에서 활동하는 의미도 시들해졌었습니다.
하지만 지방아파트 한 채가 경제적 자유를 만들어주진 않습니다.
아직까지 가야할 곳이 많고 배워야할 것들이
너무나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특히, 돈이 없다면 더 실력을 쌓는 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당장 투자를 할 순 없을지라도 언젠간
갈아탈 단지를 손에 꼭 쥐고 있겠다는 결심과
반드시 바꿔내겠다는 마음을 꼭 갖고 계세요.
다른 사람과 비교하기 전에 스스로를 돌아봐야 합니다.
지금 당장 돈이 없다고 해서 시간을 그냥 흘려보낼지
아니면 당장 N천만원, N억 있으면 내가 아는
가장 좋은 투자를 할 수 있는 실력을 기를지 말이죠.
투자란 긴 시간을 버티는 싸움입니다.
투자를 해나가면 분명 어려운 문제들도 생길 겁니다.
저 또한 앞으로 남은 문제들이 적지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문제란
목적과 목표가 있기에 생기는 겁니다.
눈앞의 문제에 괴로워하면서, 그 동안 성장한 본인을 잊지 마세요.
열정이 있다면 모든 행동의 의의를 궁극적 관심, 즉 인생철학에 부합하는 데서 찾게 된다.
열정은 우선순위를 확실하게 만든다.
그릿이란 한 번에 한걸음씩 계속 나아가는 것이다. 흥미롭고 목적이 뚜렷한 목표를 굳건히 지키는 것이다. 매일, 몇 주씩, 몇 해씩 도전적으로 연습하는 것이다. 일곱 번 넘어지면 여덟 번 일어나는 것이다.
그릿 중 발췌
그 동안 마주쳐온 모든 문제들을 완전히 해결하고
앞으로 나간 적은 거의 없을 겁니다.
문제의 극복보다는 점차 나아지고 익숙해짐이
더 맞는 표현일 겁니다.
현재 눈앞의 힘겨움으로 인해 고개가
떨궈져서 발끝만 보고 있진 않나요?
다시 한 번 처음의 목표를 보기 위해 고개를 들고
본인의 행동과 생각이 그 목표에 부합하는지 되돌아보는 시간을 꼭 가지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