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매수하고자 매물을 검토중인데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
월부선배님들의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현 매물은 전세세입자가 거주중이며 26년3월중순 만기라고 합니다.
세입자는 이 날짜 이후로 퇴거하기로 확정된 상태이고, 이사갈 집이 정해져있으나 날짜가 정해진건 아니라
협의하에 더 빠른시일내에도 퇴거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제가 이 물건을 매수하게 될 경우에 추후 새로운 세입자분이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전세자금대출규제로 소유권이전되는 물건에 대해 전세자금대출이 제한된다고 알고 있는데요.
방법1)
소유권 이전 후 3개월 지났으니 3월중순에 새로운 세입자가 전세잔금을 치를때 전세자금대출 받는거 가능한가요?
(4번이 안된다면 이 집을 안전하게 매수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방법2)
이럴경우 전세잔금? 매수잔금? 어떤게 먼저일까요?
새로운 세입자가 전세대출을 받아서 전세잔금을 친 뒤에 내가 잔금을 치고 소유권을 가져오는게 맞나요?
제가 생각한 방법이 실제로 가능한 방법인지,
리스크는 없는지에 대해서 초보 투자자인 제가 가늠하기가 너무 어렵네요…
추운날씨에 발품팔아 구한 매물인데 이대로 날려보내야할지도 걱정이구요…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추운 날씨에 감기 조심하세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깡총님 안녕하세요. 먼저 자세한 사항은 은행에 전세입자 버전으로 직접 문의하시는 것이 더욱 정확함을 알려드립니다! 추가적으로 1. 토허제가 아닌 지역이라 가정 2. 수도권이라 가정 해보겠습니다. 수도권이라 가정한 이유는 현재 전세가 별로 없기 때문에 말씀하신 방법에 대한 리스크가 더 적을것 같다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방법1. 말씀하신대로 잔금을 다 치루고 나서 등기부등본 가져오며 현재 세입자분의 전세 승계를 받습니다. 소유권 이전 이후에 3개월이 지나면 전세대출 해주는 은행이 있습니다. (더 보수적으로 보는 은행은 6개월을 보기도 하기 때문에, 3개월만 보는 은행을 잘 찾아보셔야 할 것 같네요.) 먼저 11월에 소유권이전을 하셨다고 가정해볼게요. 예를들어 11.10일에 등기쳤다고 해보겠습니다. 그로부터 3개월 이후인 26.02.10 정도에는 전세입자분께서 대출심사를 받으셔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3개월의 기준을 전세 잔금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소유권이전 ~ 전세대출 심사일) 이 기간을 3개월로 보수적으로 잡아보는 것이 더 리스크를 줄일 것 같습니다. 은행에서 등기부등본상의 소유권 변경을 확인하고 대출 심사를 진행하더라구요. 방법2. 해당 방법으로 협조 부탁드릴수 있습니다. 그러면 매도인께서는 3월에 새로 전세입자를 맞추고, 깡총님은 잔금을 그로부터 3개월 이후인 6월에 소유권이전을 하셔야, 새로 들어오신 전세입자 전세대출반환이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해당 부분 잘 검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깡총님 대출관련 고민이시군요 현재 보고 계신 지역이 어떤 지역인지 모르겠지만, 토허제로 묶인 수도권의 경우 실거주가 아니면 매수를 할 수 없습니다. 즉, 내가 11월 잔금을 치룬다고 한다면 그 물건에 대해선 전세대출이 나올 수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매수 후 4개월 이내 전입신고를 해야함. 만약 토호제가 아닌 지역을 보고 계신다면, 11월 잔금을 치룬 후 3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세입자를 맞추면 문제는 없다고 판단됩니다 깡총님 화이팅 :)
안녕하세요 깡총님, 새로 맞출 세입자의 전세자금대출에 대한 고민이시네요. 정리해주신 방법 두 가지 모두 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1번의 경우, 11월 중으로 소유권을 가져온다면 3월 세입자의 경우 전세자금대출은 원칙적으로 가능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제이든님 말씀처럼 은행마다 보수적으로 보는 곳도 있어서, 대출 관련해서는 미리 알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2번의 경우는 최근 세를 맞춰놓은 ‘세안고 물건’을 매수하는 구조와 비슷하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이번에는 그 주체가 깡총님이신 거고요. 새 세입자가 전세대출을 이용하려면 매수인 소유권 이전일로부터 3개월 이상 지난 시점이어야 하는 걸로 알고 있어서, 잔금을 그 이후로 잡고 소유권을 넘겨받는 방식이 안전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래서 새로운 세입자와 전세계약을 해달라는 것, 잔금을 조금 길게 잡아달라는 최소 2가지 협조를 구해야 할것같습니다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