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대형마트 구분할때
백화점 레벨에 nc백화점, AK plaza, 프리미엄 아울렛, 이케아 이런것도 넣어야 할까요?
대형마트는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킴스클럽 트레이더스 코스트코
만 넣으면될까요?
댓글
안녕하세요. 빙수님! 임장보고서 작성중에 환경 부분에서 고민이 되시는 것 같아요. 저도 이부분 참 많이 고민했었는데요~ 크게는 백화점, 말씀하신 대형마트, 스타벅스 등을 표기해서 주변 편의시설은 잘 갖춰져있는지 유해 상권은 없는지 보기 위함이에요! 그래서 실제로 임장시 대형마트도 직접 가보고, 백화점 같은 경우에는 롯데나 신세계 등 대형 백화점이 아닌 경우에는 카운트를 안 하지만 말씀하신 NC백화점, AK 프라자, 아울렛, 이케아 등도 충분히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고 잘 갖춰졌다면 따로 지도 위에 표기해두면서 상권이 어디에 잘 밀집되어있는지 체크해보는 편입니다. 임장보고서 화이팅입니다 빙수님!
안녕하세요 수박빙수님 임장보고서 환경 파트에서 백화점 기준을 고민하고 계시군요ㅎㅎ 저는 신세계백화점, 현대백화점, 롯데백화점, 갤러리아백화점을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임장보고서 환경파트에서 백화점 수를 넣는 이유는 지역의 소득과 소비수준을 파악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합니다. 말씀해주신 NC백화점, AK 플라자, 프리미엄 아울렛, 이케아와 같은 곳들은 백화점 수준의 고가 제품들이 적고 대부분의 사람들 또한 백화점으로 인식하지 않는 분들도 많아서 저는 제외시켰습니다. 추가로 백화점을 보실때, 매출액, 매출순위 등도 보시면 좋을것 같고 1층에 어떤 명품 매장들이 입점해있는지 확인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이 동시에 입점해 있는 곳이 전국에 별로 없습니다ㅎㅎ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화이팅
안녕하세요 수박빙수님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현대백화점, 더현대, 갤러리아 같이 큰 백화점인 경우 백화점으로 분류하시면 되고 AK플라자, NC백화점, 프리미엄아울렛, 이케아 등은 마트로 분류하시면 됩니다 백화점을 보는 이유는 그 지역의 소득수준을 보기 위함이고 좀 더 깊게 보자면 해당 백화점에 입점한 브랜드에 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 등 고급 브랜드가 있는지, 해당 백화점 매출순위가 어느정도인지까지 보시면 더욱 좋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깊게 보지 못하시더라도 백화점이 어디에 있는지만 보셔도 충분합니다 임보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