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2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7기57조]

  • 24.02.16

지방투자 기초반 2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7기57조]


게리롱 튜터 강의 후기



좋았던점

1. 앞서 들었던 강사들과 확연하게 다른 내용.구성의 강의였다.

2. 투자기준에 대한 정량화된 방안 제시


배운점

1.게리롱 강사의 분석 자료를 보면서 확 느낀것

내가 하는 직장 분석은 단순히 "몇개 회사, 종사자 몇명" 수치만 확인 이었다.

그것보다 중요한것은 "대규모 직장 위치+주거지+직장종류+소득"를 연계해서 종합적으로 파악 하는 것이 중요한데 불구하고... 즉, 임보를 위한 임보를 작성 한것이었다.

-> 임보의 장수가 중요한게 아니다.

1장을 작성하라도 (1) 시간들이지 않고 효율적으로 작성하고 -> 그러기 위해서는 내 방식의 내 폼이 필요하다.

(2) 여러가지 item을 연계하여

(3) 종합적인 비교.분석.판단 을 하는것이 중요하다.


2.지방은 공급의 영향이 가장 중요한 요소임

-> 그렇다고 하면, 인허가 물량+착공물량+선분양물량+후분양물량+미분양 물량을 연계해서 파악하는 것도 중요할텐데.... 어떻게 자료를 취합하고 분석하는가가 앞으로의 숙제이다.



3.O0지역이 바닥 확인이 되었다.

-> 강의후 KB월간,주간 시계열로 확인 하니 바닥을 치고 반등이 시작됨을 확인 할수 있었다..

그런데.... 다른 지역 (평택,청주,천안)과 평균가를 비교 하였을때의 낮은 금액은 아니었다.(평균의 함정인가?)

=> 아하, 그래서 강사가 "예시를 들은 아파트"가 현재가격은 적정 한 가격이 아니다 했구나..!

4.선을 4개 이어서 전주의 입지 구분 확인 하라는 퀴즈

-> 흥미 유발, 신선한 방법, 이해하기 쉬운 입지구분. (cool!)


5.지방은 30평대를 선호한다. 그만한 가치가 없다면 20평대 지양하라.

-> 기본적인 내용은 이해를 했다.

-> 여기서 궁금한점 : 미래에는?? 해마다 가구당 인구수가 줄고 있으며, 올해 0.7대의 출생률을 기록하여 적어도 10년 후에는 이 수치가 더 낮아 질 것으로 본다.

부동산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것이 "주택 자체 수요에 대한 부분은 줄지 않을것이다" 라고 한다.

(부동산 전문가들이라기 보다는, 부동산 투자 전문가라고 하는것이 맞겠다.)

그러다 하더라도 선호하는 평수에 대한 부분은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변할것은 확신한다.

*과거 20년 전까지만해도 20평형대 선호도가 높았적도 있었다. "금융이 집값에 미치는 영향, 나홀로 족 증가, 독거노인비중증가"등을 종합적으로 보았을때, 앞으로는 대형 평수보다는 20평대 혹은 그보다 더한 평수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질수 있다고 본다.

그러면 이런 부분에 대해 투자로 어떻게 접근 하는게 좋을까?

물론 지방은 2년~3년 단타 전략을 취하라고 배우고 있어, 당장은 이 부분이 중요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궁금하다. 왜냐하면 우리가 투자를 2~3년만 하지 않을것이기 때문이다.



-끝-


댓글


케익교환권creator badge
24. 02. 16. 21:29

그렇기에 지방시장은 더 좋은 물건, 옥석을 가리는 능력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어스틴좌님 강의수강 수고하셨습니다~!

가을하늘12
24. 02. 20. 22:53

강의후기 잘 보고 갑니다!! 열심히 하는 모습에 많이 배우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