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쩡봉위" 입니다.
열반스쿨 실전반을 2년이 지난다음에 다시 수강하게 되었는데요.
이번 1강은 제주바다 멘토님께서 진행해주셨습니다.
제주바다 멘토님께서는 수도권 투자 전략과 각
생활권별 특징과 투자, 그리고 현재 시장 상황까지
점검해주시며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너무나 알찬강의였습니다.
현재 24년, 수도권 시장을 바라보아야하는 전략과
투자방법에 대해서도 세세히 말씀해주셨습니다.
수도권의 싸이클은 결국 상급지에서 하급지까지
오르는 큰 파도이기 때문에 이것을 이해해야한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상위급지일 수록
투자기회가 일시적으로 날라가버리기 때문에
이것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전세가율이 60%이상이라면 매매 절대가가
싼 구간에서는 선 매수 진입도 나쁘지 않은 선택임을
확인할 수있었습니다. 실제 저도 수도권을 공부하면서
갭만보고 진입이 아니라 선진입해서 매매가를 싸게 사서
수익을 거두고, 전세가를 올려받는것도 괜찮다고
생각이 들기도하며 그런 고민이 들었는데요.
멘토님께서도 이와같은 방향으로 말씀해주셔서 방향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하고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수도권에서는 가격이 싸다면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들도 확실히 보아야함을 멘토님의
강의를통해 다시금 깨닫게 되었습니다. 다만 전세는
실수요이기 때문에 상품성에 영향이 있기에 이 부분도
사실 고민이 필요합니다. 정답은 없지만 더 나은
선택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보게 되는 부분이었습니다.
그리고 급지(1~5급지)의 함정에 빠지지 않고
단지대 단지를 통해서 보다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할 수있는
사람이 되어야함을 강의를 통해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국 단지대 단지로 복합적으로 따져서 더 베스트 선택이
무엇인지 고민할줄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각 급지+상품성에 따라서 선 진입 전략
다만 급지가 떨어지는 단지(5급지 이하)에서는
매매가가 기적적인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기에
이런 부분도 사실상 고려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또한 권역별로 나눠서 살펴보면 동남부를
수도권에서 더 먼저 고려해보아야하는 이유도
도시별 특징을 통해서도 깨닫게 되었습니다.
서울5급지는 애매할바에야 경기도 4급지가
나은 선택일수 있음도 단지를 통해서 생각이 들기도
하는 부분이었습니다. 실제 수익률까지 고려했을 때
경기도라고해서 먼저 배제하는 것이
아님을 생각해보아야 겠습니다.
수도권 투자시 우리는 더 좋은 단지를
하는 것도 맞지만 전세 레버리지 투자에 유리한
단지가 무엇인지도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실제 전세가를 잘 받쳐줄 수있는 상품성 있는 단지를
먼저고려해서 투자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더 싼것에만
집중에서 매수하는지도 고려해보아야 합니다.
전세상승이 빠른 단지가 결국 돈이 다시 튀어나올
확률이 높은 단지임도 잊어서는 안될 것 같습니다.
수도권에서도 장기 보유전략을 세워야하기 때문에
공급에 대해서 어떻게 살펴보고
대비할지도 염두해두어야 합니다.
다만, 미래의 공급이나 리스크를
너무 염두해두기보다는
지금의 매수를 포커싱해서 매수하는 것등도
살펴보아야 겠습니다, 그리고 현재 수도권 시장을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를 고민해보며 내 포지션에 맞는
투자전략이라면 어떤 지역을 먼저 우선시하여 생각해보아야
하는지도 강의를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어차피 투자는 오래해야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혀 급할 것이 없고, 하나하나 해나가면 된다고
멘토님께서 말씀해주셨습니다.
뭐라도 심으면 30억 달성을 할 수있을도
꼭 믿어보아야 겠습니다.
긴 시간 강의해주신 제바멘토님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