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음과모음] 서울 아파트 지금 사야 하나? 기다려야 하나? 타이밍이 고민이라면?!
오늘 일이 있어 지하철을 타고 이동하는데 월부 수강생분을 만났습니다. 음악을 듣고 있어서 곁에 계신지 몰랐는데..(빨리 알아차리지 못해서 죄송해요ㅠ) 저에게 정거장 내리기 전에 꼭 묻고 싶은 것이 있다고 말씀하셔서, 질문 하시라고 얘기하고 질문을 들어봤습니다. “자모님, 제가 3억이 있는데 0지역, 0지역, 0지역을 보고 있어요. 앞으로 진짜 투자하려면 어

[너바나] 결국 부자가 되지 못하는 사람들의 공통된 행동 3가지
(오늘 글은 답답한 마음에 조금 강한 논조로 글을 써봅니다. 멘탈이 약한 분이거나 부자 되고 싶지 않은 분은 뒤로 가기를 눌러주세요.) 안녕하세요? 너바나입니다. 얼마전에 어떤 분을 만났는데.. 그 분께서 제가 그러셨습니다. “제가 너바나님 책을 2015년에 읽었습니다.” “그 때 투자를 시작했다면 어마어마한 부자가 되었을텐데.. 아쉽네요.” 그 당시에는

[너나위] ○○세까지, ○억을 모으면 상위 0.9% 부자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너나위입니다. 얼마 전 첫번째 외부강연을 다녀왔습니다. 그 자리에서 많은 분들을 만날 수 있었고, 정말 우리 주변에서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돈 고민을 들어볼 수 있었습니다. 답할 땐 정신없었는데 기억에 남는 질문이 있습니다. "재테크를 시작하고 어떤 과정을 거쳐 부자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초보자 입장에선 여전히 어려운 자잘한 팁보다 전체적인


아직도 서울에 갭(gap)만 보고 투자하는 분들을 위한 해결책
안녕하세요 자음과모음입니다. 강의를 하면서 월부에 계시는 많은 분들의 각자의 고민을 듣습니다. 1채를 사려고 하는 분들, 다주택으로 가려고 하는 분들, 이미 다주택이신 분들의 다른 듯 하지만 같은 고민은 '그래서 내가 지금 이 시장에서 내 상황에 제일 들어맞는 선택을 하려면 무슨 선택을 해야해?' 인 것 같습니다. 다주택으로 가려고 하는 분들의 가장 큰 고


[너나위] 정부가 갑자기 이럴 줄은 몰랐습니다(부동산 정책 해설)
안녕하세요. 너나위입니다. 글을 적은지 좀 된 것 같기도 하고, 부동산 관련한 여러가지 특이사항들이 보여서 이렇게 키보드 앞에 앉았습니다. 강의하느라 구해줘월부 이슈편에서 시장 돌아가는 것에 대한 제 생각을 말씀드리지 못한 것도 있고요. 몇 가지 이야기를 좀 해볼까 합니다. (글을 읽어보시고 첨부해드린 기사 링크를 같이 보시면 공부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부자대디] 2억으로 살 수 있는 서울 역세권 신축 (feat. 지금 돈이 부족해서 서울을 놓칠까봐 걱정인 분들께)
안녕하세요^^ 월부에 오시는 분들이 더 부자가 되기를 진심으로 돕고 있는 부자대디입니다. 수도권에 기회가 오고 있다! 서울을 관심가지고 봐야 한다! 부동산에 관심이 많은 분이라면 이 이야기들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2억 정도 자금이 있다 생각하고 아는 단지들을 열심히 찾아봤습니다. 투자금 2억으로 살 수 있는 집을 찾았습니다. 마음은 이런 집을 사고 싶


부의 흐름을 읽는 첫걸음: 경제신문 이렇게 읽어보세요 (+템플릿 제공)
안녕하세요 오지랖 때문에 한가할 수 없는 부동산 투자자 한가해보이입니다. 제가 최근에 하나의 기사를 읽고 부동산 현장에서 느낀 것을 정리하며 '이 기사의 내용이 도대체 무엇을 이야기 하는 거야?' 라고 고민하시는 분들께 팁을 드릴 수 있는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341565 기사


"떨어진건 아는데 사고 싶진 않아요" 지금 전세가로 보는 서울 투자 타이밍
안녕하세요 자음과모음입니다 요새 많은 글과 유투브 기사에서 서울 하락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와중에 총선을 앞두고 있으니 총선이 지나고 나면 더 떨어질거라고 하는 분들도 많네요 서울에 내집마련을 하든 서울에 투자를 하든 서울 시장에 대해서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 다양한 의견 속에 여러분은 어떻게 기준을 잡고 부동산 매수를 하실


지금 서울 수도권 투자하려면 최소 '이 정도' 까지는 모아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금요일의 센쓰입니다 :) 서울 수도권에 기회가 온다고는 하는데.. 기회가 언제쯤 올 수 있을지, 지금 투자금은 얼마나 들어가는지 잘 몰라서 답답한 부분들이 많지 않으셨나요? 그래서 지금 현재 서울 수도권을 중심으로 얼마 정도의 가격대를 보이고 있고 투자금이 얼마 들어가는 시장인지 한 눈에 보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정말 쉽고 간단한 방법이니

전세재계약 도와주세요 (친구 사례)
안녕하세요 저는 지방소도시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2년 전 전세계약금이 9,500만원인 집에 청년버팀목 전세대출을 받아 들어갔습니다 (그 당시 매매가 1억 1천~2천) 이후 올해 7월 갱신을 하려고 하는데 집주인이 전세금 9,100만원으로 첫 제시했습니다. 그리고나서 제가 은행에 알아보니,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에 가입하려면 매매가의 90%이하로 전세금이 측정되
월세계약 특약(임차인 입장)
안녕하세요 항상 많은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0호기를 매도하고, 월세로 이사가려고합니다 월세계약 전, 특약에 대해 검토받고자합니다 (임대인입장 부분은 제외하였습니다) *임대인은 근저당권 설정되어있는 상황입니다 (월세 특약)- 임차인 입장 1. 계약당시 권리관계를 잔금일 익일까지 유지하고 위반시, 계약은 무효된다 2. 임대인은 계약시점부터 만료 시까
전세재계약(감액) 특약 관련
제가 전세재계약(감액) 특약을 준비했는데, 검토 부탁드립니다 ㅠㅠ 본 계약은 기존 임대차 계약((2023.x.x~2025.x.x.)의 보증금xxxxxxx에서 xxxxxxx원을 감액하여 기간(2025.x.x.~2027.x.x.)연장하는 계약이며, 기존 임대차 계약의 효력은 그대로 존속한다. 감액분 xxxxxxxx원은 계약서 원본을 임대인이 받은 후, 임차인계
0호기 매도관련
0호기 매도하려고 부동산에 내놨습니다 지방소도시이며 아파트는 20년식 구축입니다. 매수때보다 가격이 떨어졌습니다.. 다시 오를것같진않습니다 그런데 지금 개인사정상 다른지역으로 이사가야하고, 겸사겸사 0호기 매도하려고합니다 로얄동로얄층인데, 가격을 저층과 비슷하게 내놨습니다 제가 4년전 매수하고 리모델링할때, 결로가 발견되었는데 탄성처리하고 거주하였습니다 그
전세재계약 관련
세안고 물건(전세6.3억)매수했는데, 올해 3월에 전세만기입니다. 지금 전세시세는 5.8-5.9억정도이고 5천이상 현금여유는 있습니다 (혹시 기존세입자 퇴거원할 시에 대비해 대출도 모두 알아봤고 대출가능할 것 같습니다) 내일 세입자와 협상을 하려고합니다 매매계약시에 세입자는 2년 더 거주를 원하였고, 만기가 3월인데 27년 5월까지를 원했습니다. 한번 더
1호기 전세재계약 관련
1호기 계약시(24년6월), 세입자가 2년 더 거주하고싶다는 의사를 밝혀서, 전세만기(25년3월)인데, 지금 거주의사를 물어보고 재계약을 원할경우 셀프로 전세계약서를 작성하려고합니다 그전에, 부동산에 전임을 해서 시세파악하려고하는데요! 매수담당해주었던 부사님께 전화드려도 되는건지;; 전세계약을 셀프로 하고싶은데ㅠ 괜히 전화드렸다가 오히려 관계가 애매해질까봐
잔금 준비 관련 질문입니다
1호기 세안고물건 계약을 마쳤습니다 곧 잔금일이 다가와서 질문드립니다 공동명의일 경우, 잔금시 필요한 서류 중에서 등본,초본, 가족관계증명서는 배우자도 따로 준비해가야하는거죠? 세입자(만기 내년3월초)에 거주중일 경우, 매도자에게 "공과금정산확인서" & 재산세 확인도 하는걸까요? 3.세입자가 만기를 내년 4월로 맞춰달라고 하셔서 협상을 해보려고 합니다. 전
1호기 세안고 물건 계약시
안녕하세요 1호기-세안고 물건 계약을 앞두고있습니다. 궁금한 점 있어서 남깁니다. 매매계약서는 "전세승계매매계약서" 작성해야하는지요? (아니면 일반계약서 특약에 전세승계함 추가?) 2.세입자 보증금(전세대출x)은 이동없이 제가 매도인에게 매전갭 만큼만 입금하면 될까요? 3.부사님께서 초안으로 보내주신 매매계약서는 그냥 일반 아파트 매매계약서이고(전세승계매매

구해줘월부를 마치고 [너나위]
방금 구해줘월부를 마쳤습니다. 두번째 사연자분 <마음은부자>님의 사연을 함께 하면서 여러가지 생각이 들었습니다. 새벽3시부터 오후 6시까지 도로 위에서 가족의 생계를 위해 고군분투하시는 화물차 운전기사분의 고단한 삶. 어렵게 모은 피같은 1억 5천으로 무작정 싼 집을 사고 조금이라도 지출을 줄여야겠다고 생각하시는 모습. 지방에서 <가치 대비 저렴하지만 좋은